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오랜만입니다 ㅠㅠ
바빠서 접속을 잘 못하게 된다는 ㅠㅠ....
하도 이번 정권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약사 죽이기를 해서..
그냥 뜬금없이 하소연이나 한번 써볼까 합니다 ㅠㅠ

1. 이번정권이 추진하는 의도는 일단 국민의 편의성이 문제가 아니라
일반의약품을 약사 손에서 대형 유통업체의 손으로 옮기면서
광고시장을 확대해서 조중동, 대형 편의점 업체의 이익을 증가 시키기
위해서란 불순한 목적입니다.
->슈퍼판매로 약값인하..? 될수가 없죠. 하다못해 지금 풀린 박카스만
보더라도 약국 500원 편의점 700원...?! 200원 오른게 인하인가요?

2. 국민들은 전부다 약에대해서 잘아는게 아닙니다.
보통 숙취로 머리가 아파서 두통약을 사러 오는분들이 많은데
숙취로 머리가 깨질꺼같이 아플정도로 술을 많이 마신 상황에서
일반 두통약을 임의로 먹으면...간세포에 너 죽어봐라~ 하는거랑
비슷한 의미...일단 저같은 경우에도 음주하신 분이 두통약 찾으러오면
권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편의점 알바가 가능할까요?
그리고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 까지도 약물에 대한 접근성이 과하게
높아져서 슈퍼 판매하는 국가에선 슈퍼판매약으로 이미 자살시도가...

->절대다수의 약간의 편의성이 한명의 목숨보다 더 귀중한거 같진 않습니다. 슈퍼 판매로인해 한명이라도 약화사고가 증가한다면...그건 실패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3. 마약제조 악용..
예전 뉴스에서 동남아 일대에 한국 감기약 껍대기가 대량 발견이 됬었죠
감기약에는 마약을 제조할수 있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일단 약국에선
종합감기약을 다량 구매시 신분 확인을 하는게 원칙입니다. 일반 편의점에선 그러한 안전장치를 철저히 할까요?

4. 책임소재 불명확
이번에 새로 입법되는 약사법에 따르면 편의점에서 약을 먹고 부작용 발생시 사먹은 당사자가 책임지도록 되어있습니다. 현재는 약국에서 충분히 부작용을 설명하거나 고지 하지 않을경우 약사도 일부책임을 지게 되어있는데 법이 바뀌면 전적으로 구매한 소비자의 책임이 되는거죠. 지금 같은경우 만약 문제가 생겼을 경우 소비자,약사 한편이 되어 제약회사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지만 슈퍼구매로 바뀌면 다른 소매품이랑 똑같이 불량 발생시 소비자가 직접 제약회사를 상대로 싸워야합니다. 어느게 더 소비자에게 유리한지는 명확하죠.

5. 국민 편의성?
국민이 편하려면 지역의 보건소나 중요의원들의 근무시간을 연장하여 급한 상황에서 1차 진료를 받을 수 있게만들어야지 중증환자들한테 진통제나 먹고 참아라하는건 말도 안됩니다. 실제로 24시간 약국에 근무를 해봤지만 제 임금조차도 나오지 않는 수요가 있었습니다. 약을 구매하시는 분들 다수가 택시기사님들이 대부분이고 일반 시민들은 글쎄.... 과연 일년에 밤에 약국에 문닫아서 불편했던 경우가 한번 이상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암튼 개인적으론... 뉴스나 정부나 자기 이익때문에 슈퍼판매를 찬성하는거지 실제로 국민들을 위해서 그런건 아니라는걸 말씀드리고 싶네요. 3S정책과 같은 맥락에 있다고 보시면 될듯....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