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에서 '비행선'이라는 단어는 모두 '천공'으로 변합니다. 다시 말해 비행선
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어서는 안될 듯 싶습니다.
오버 테크의 한계를 보여주는 비행선의 설정
1. 비행 원리
범선을 개조하여 만든 이 비행선은 아케인을 극도로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달
의 정기가 깃든 돌(가명 : 문스톤)이 에너지원이 되어 가동할 수 있는 엔진(리온
이 설계를 맡았다)이 프로펠러를 돌려 비행한다.
보조수단으로 5개의 수소 저장소가 있는데 이것은 비행시 어긋난 균형을 맞추거
나 이착륙시 동체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사용하며 만약 주변에 화재가 났거나 공격
을 받았다면 곧바로 밖으로 배출되도록 만들어져있어 직접 공격을 받지 않는 이상
폭발할 위험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동체는 범섬을 개조하여 만든 것으로 돛대가 없으며 외부는 가벼운 합금, 내부는
나무로 만들어져 있다. 아무리 범선을 기초로 하여 만들었지만 거듭된 개조로 인해
지금은 범선보다는 새, 혹은 물고기의 모양에 가깝다.
프로펠러, 엔진의 갯수는 각각 다르다, 수소 저장소는 공통적으로 5개다.
(천공 0호는 제외)
비행선의 조종 및 기관의 담당은 드워프와 인간이 맡으며 가장 중요한 엔진과 수
소 저장소를 다루는 일은 마법사가 맡는다.
전투 인원이 탑승하여서 내부로부터의 공격과 하늘에서의 공격에 대비한다.
엔진의 기본 원리는 이미 대륙에서도 많이 알려 졌으나 개발비용과 효용성의 문
제를 뛰어넘지 못했다. 이것을 리온이 기존 엔진에 많은 수정을 가해 현재의 엔
진이 개발되었다.
문스톤은 달의 정기가 깃들 수 있는 유일한 돌이며, 이 돌은 한번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면 재충전을 해야 다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재충전은 마법사가 담당하며, 사
용된 후에는 버리지 않고 비행선 자체에 있는 저장 창고에 보관합니다.
2. 비행선의 종류
<1> 천공 0호 - 바람
가장 처음 만들어졌고, 가장 많이 개조된 기체. 현재 주인공 리온이 타고 있다.
엔진과 문스톤을 반영구적으로 연결시킨 최신 기기를 달고 있기 때문에 엔진이 항
상 물에 잠겨있어 열기를 식혀야한다. 증발된 물을 채우기위해 다시 물을 부어야
하는데. 총 5L의 물이 필요하다. 1L의 물로는 2시간을 비행할 수 있으며 기체가
가벼워 비행선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보유하고 있다. 더군다나 천공 0호는 바람이
좋을 경우 엔진을 꺼도 장거리를 날아갈 수 있기에 비교적 효율적이라 할 수 있
다.
프로펠러 3개, 엔진 1개로 작동된다.
<2> 천공 1호 - 블루
승객 및 소형 화물을 담당하는 기체. 엘레드가 가장 좋아하는 색이 파란색이기에
리온이 블루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승무원을 포함해 최대 승선할 수 있는 인원은
150명. 귀족석 20석 일반석 80석으로 두 개 모두 상당한 고가를 자랑함에도 불구
하고 시도때도 없이 매진이 된다. 소형화물은 총 2톤까지 적재할 수가 있다.
프로펠러 8개 = 이착륙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전후진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엔진 4개
-> 인원이나 적재량은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3> 천공 2호 - 천둥
순수하게 화물을 담당하는 기체로 가장 거대한 덩치에 가장 거대한 엔진에 가장
큰 소음까지.
소형 화물부터 시작해 동물, 무기, 대형 화물, 최근에는 범선을 옮긴 적이 있어
화제가 되었다. 최대 적재량은 300t이지만 200t을 한계로 보고 있다.
프로펠러 10개 = 이착륙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6개 전후진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엔진 5개
-> 인원이나 적재량은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천공 4호 - 구원
정비정으로 중형 비행선에 속한다. 수리 및 연료 보급과 인원 보충 같은 역활을
하고 있으며 때로는 엘레드의 전용 비행선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행 횟수는 가
장 적다.
프로펠러 6개 = 이착륙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2개 전후진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엔진 3개
추가 사항
엔진 하나에 마법사 한 명이 담당한다.
비행선은 매우 높은 고도에서 날기 때문에 지상에서 격추시키는 건 천공 0호를
제외하곤 불가능하다.
때문에 외부의 적은 비행능력이 가능해야한다.
처음 운행 때를 제외하곤 모든 비행선은 직원만 있을 경우가 아니라면 절대 천공
섬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비행선이 이착륙하는 지점은 대륙마다 따로 있으며 그것
은 천공섬과 거래를 원하는 대륙에 있을 것이며 시사하는 바이다.
비행선의 속도는 배가 보통 가는 거리의 1/3을 단축할 수 있는 속도로 한다.
(범선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할 것을 요망한다)
- 속도에 관한 부분과 엔진의 개발에 관한 부분이 수정되었습니다.
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어서는 안될 듯 싶습니다.
오버 테크의 한계를 보여주는 비행선의 설정
1. 비행 원리
범선을 개조하여 만든 이 비행선은 아케인을 극도로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달
의 정기가 깃든 돌(가명 : 문스톤)이 에너지원이 되어 가동할 수 있는 엔진(리온
이 설계를 맡았다)이 프로펠러를 돌려 비행한다.
보조수단으로 5개의 수소 저장소가 있는데 이것은 비행시 어긋난 균형을 맞추거
나 이착륙시 동체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사용하며 만약 주변에 화재가 났거나 공격
을 받았다면 곧바로 밖으로 배출되도록 만들어져있어 직접 공격을 받지 않는 이상
폭발할 위험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동체는 범섬을 개조하여 만든 것으로 돛대가 없으며 외부는 가벼운 합금, 내부는
나무로 만들어져 있다. 아무리 범선을 기초로 하여 만들었지만 거듭된 개조로 인해
지금은 범선보다는 새, 혹은 물고기의 모양에 가깝다.
프로펠러, 엔진의 갯수는 각각 다르다, 수소 저장소는 공통적으로 5개다.
(천공 0호는 제외)
비행선의 조종 및 기관의 담당은 드워프와 인간이 맡으며 가장 중요한 엔진과 수
소 저장소를 다루는 일은 마법사가 맡는다.
전투 인원이 탑승하여서 내부로부터의 공격과 하늘에서의 공격에 대비한다.
엔진의 기본 원리는 이미 대륙에서도 많이 알려 졌으나 개발비용과 효용성의 문
제를 뛰어넘지 못했다. 이것을 리온이 기존 엔진에 많은 수정을 가해 현재의 엔
진이 개발되었다.
문스톤은 달의 정기가 깃들 수 있는 유일한 돌이며, 이 돌은 한번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면 재충전을 해야 다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재충전은 마법사가 담당하며, 사
용된 후에는 버리지 않고 비행선 자체에 있는 저장 창고에 보관합니다.
2. 비행선의 종류
<1> 천공 0호 - 바람
가장 처음 만들어졌고, 가장 많이 개조된 기체. 현재 주인공 리온이 타고 있다.
엔진과 문스톤을 반영구적으로 연결시킨 최신 기기를 달고 있기 때문에 엔진이 항
상 물에 잠겨있어 열기를 식혀야한다. 증발된 물을 채우기위해 다시 물을 부어야
하는데. 총 5L의 물이 필요하다. 1L의 물로는 2시간을 비행할 수 있으며 기체가
가벼워 비행선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보유하고 있다. 더군다나 천공 0호는 바람이
좋을 경우 엔진을 꺼도 장거리를 날아갈 수 있기에 비교적 효율적이라 할 수 있
다.
프로펠러 3개, 엔진 1개로 작동된다.
<2> 천공 1호 - 블루
승객 및 소형 화물을 담당하는 기체. 엘레드가 가장 좋아하는 색이 파란색이기에
리온이 블루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승무원을 포함해 최대 승선할 수 있는 인원은
150명. 귀족석 20석 일반석 80석으로 두 개 모두 상당한 고가를 자랑함에도 불구
하고 시도때도 없이 매진이 된다. 소형화물은 총 2톤까지 적재할 수가 있다.
프로펠러 8개 = 이착륙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전후진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엔진 4개
-> 인원이나 적재량은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3> 천공 2호 - 천둥
순수하게 화물을 담당하는 기체로 가장 거대한 덩치에 가장 거대한 엔진에 가장
큰 소음까지.
소형 화물부터 시작해 동물, 무기, 대형 화물, 최근에는 범선을 옮긴 적이 있어
화제가 되었다. 최대 적재량은 300t이지만 200t을 한계로 보고 있다.
프로펠러 10개 = 이착륙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6개 전후진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엔진 5개
-> 인원이나 적재량은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천공 4호 - 구원
정비정으로 중형 비행선에 속한다. 수리 및 연료 보급과 인원 보충 같은 역활을
하고 있으며 때로는 엘레드의 전용 비행선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행 횟수는 가
장 적다.
프로펠러 6개 = 이착륙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2개 전후진때 사용하는 프로펠러 4개
엔진 3개
추가 사항
엔진 하나에 마법사 한 명이 담당한다.
비행선은 매우 높은 고도에서 날기 때문에 지상에서 격추시키는 건 천공 0호를
제외하곤 불가능하다.
때문에 외부의 적은 비행능력이 가능해야한다.
처음 운행 때를 제외하곤 모든 비행선은 직원만 있을 경우가 아니라면 절대 천공
섬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비행선이 이착륙하는 지점은 대륙마다 따로 있으며 그것
은 천공섬과 거래를 원하는 대륙에 있을 것이며 시사하는 바이다.
비행선의 속도는 배가 보통 가는 거리의 1/3을 단축할 수 있는 속도로 한다.
(범선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할 것을 요망한다)
- 속도에 관한 부분과 엔진의 개발에 관한 부분이 수정되었습니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43 | 마법추가 - 소환(召喚 : Conjure) | 레인 | 2006/05/05 | 2327 |
» | 비행선에 대한 설정 - 수정판 1 | 컨 | 2006/05/01 | 2136 |
41 | 천공섬 - 일명 天空島 | 컨 | 2006/05/01 | 2150 |
40 | 브레 폰 알비스타 | 刈 | 2006/04/30 | 2199 |
39 | land of Oenothera odorata | 刈 | 2006/04/29 | 1673 |
38 | 국가설정 - 알스터 - 외교 관계 | 刈 | 2006/04/28 | 1717 |
37 | 그레이스 로즈 아카데미 | G | 2006/04/27 | 2318 |
36 | ☆가축 - 말 | [보리밥] | 2006/04/26 | 2017 |
35 | [알스터] 사관학교 | 刈 | 2006/04/26 | 2080 |
34 | 루퍼트 셸드레이크(셸트레이크) | 刈 | 2006/04/26 | 2027 |
33 | 아페리프 데바타 | [보리밥] | 2006/04/26 | 2041 |
32 | (급기야는) 무쿠 | [보리밥] | 2006/04/25 | 2143 |
31 | 라이너 반 에델슈타인 | 刈 | 2006/04/25 | 2160 |
30 | 셰어도어 린 카츠만 | 刈 | 2006/04/25 | 2144 |
29 | 포밍크리머 미테 | [보리밥] | 2006/04/25 | 2140 |
28 | [캐릭터] 이스마엘 & 에리아 | [성원] K. 離潾 | 2006/04/25 | 2006 |
27 | 카얀 에스카르고 (수정이 아주많이 필요) | [보리밥] | 2006/04/25 | 2279 |
26 | 리온 데카르나 | 컨 | 2006/04/25 | 2053 |
25 | 엘베 반 에델슈타인 | 刈 | 2006/04/23 | 2176 |
24 | [임시자료] 알렉산더 카렐린 | 刈 | 2006/04/22 | 2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