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초보자용 중국 도량형(度量衡)●



+1척(尺) = 약 30cm = 1자
+1섬(愍) = 석(石) = 10말
+1장(丈) = 10자(尺) = 3.03m
+1근(斤) = 16냥 = 600g
+1관(貫) =  3.75kg
+1정(町) = 360자(1자=10/33m)로서 1정=360×10/33m≒109m
+1리(里) = 1,296자 = 0.4km (1,296×1자(10/33m)=12,960/33m=0.392km=약 0.4km)
+1치(  ) = 1/10자 = 계량법에 따르면 1.1930inch, 3.0303cm
+1각(刻) = 15분

+자시(子時) = 23:00 - 01:00
+축시(丑時) = 01:00 - 03:00
+인시(寅時) = 03:00 - 05:00
+묘시(卯時) = 05:00 - 07:00
+진시(辰時) = 07:00 - 09:00
+사시(巳時) = 09:00 - 11:00
+오시(午時) = 11:00 - 13:00
+미시(未時) = 13:00 - 15:00
+신시(申時) = 15:00 - 17:00
+유시(酉時) = 17:00 - 19:00
+술시(戌時) = 19:00 - 21:00
+해시(亥時) = 21:00 - 23:00


●[항목] 척관법 [ 尺貫法 ]

도량형 단위계에는 척관법 이외에 미터법이나 야드-파운드법 등이 있다. 척관법에는 길이의 기본단위로 자 또는 척(尺), 무게의 기본단위로 관(貫)이 있으며, 유도단위인 면적의 단위는 평(坪) 또는 보(步), 부피의 단위는 되 또는 승(升)이 있다. 척관법은 옛날 중국 문명의 영향을 받아온 동남아시아 각국에서 이용되어 왔다.
1척 = 약 30cm

●[확장] 섬 [ 愍 ]
석(石)과 같은 단위이다. 1말의 10배이다. 신라시대 부피의 단위인 섬(愍:15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崔致遠)의 《연복사비문(演福寺碑文)》 주(注)에 '유제일두위섬(悌除一斗爲愍) 십육두위유(十六斗爲...

●[확장] 장 [ 丈 ]
1장은 10자[尺]이며 미터법의 3.03m에 해당한다. 중국 주(周)나라에서는 8척을 1장이라 하고, 성년 남자의 키를 1장으로 보았다(당시의 1척은 지금의 1척보다 작았다). 사람의 키만한 길이를 '한길'이라고 하는 것도 거기서 유래된 듯하다.

●[확장] 근 [ 斤 ]
1근을 16냥인 600g으로 계산하는 경우와 100돈인 375g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있다. 상품이나 지방에 따라서 16냥을 1근, 100돈을 1근으로 각각 상품이 거래되고 있으나, 미터법 통일로 법률상 상거래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근의 유래는 고대 중국에서 생긴 것으로, 한대(漢代)에는 약 223g, 당(唐...

●[확장] 홉 [ 合(합) ]
① 넓이의 계량단위인 보(步) 또는 평(坪)의 보조계량단위로 1홉은 1/10보 또는 1/10평이며, 약 0.33m2이다. ②부피의 계량단위인 승(升) 또는 되의 보조계량단위로 1홉은 1/10되이며, 약 180mℓ이다.

●[확장] 관 [ 貫 ]
1관은 3.75kg이다. 이 단위는 옛날 중국에서 곡식의 일종인 기장의 일정한 무게를 기본 질량단위로 1천(泉:돈쭝)의 1,000배를 1관으로 정한 데서 유래한다. 그 후 당나라 고조(高祖)가 621년에 주조한 개원통보(開元通寶)의 질량이 실용상 질량의 기준인 관으로 정립되었다. 1875년 국제 미터협약이 체결되어 미터법인...

●[확장] 작 [ 勺 ]
한 되의 100분의 1, 약 0.018ℓ에 해당한다. 또, 척관법에 의한 면적인 보(步:坪)의 보조계량 단위로서도 작이 있으며, 1평의 100분의 1, 약 0.033m2에 해당한다.

●[확장] 자
척(尺)이라고도 한다. 1치[寸]의 10배이고, 10/33m에 해당한다. 자는 손을 폈을 때의 엄지손가락 끝에서 가운뎃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에서 비롯된다. 자의 한자인 ‘尺’은 손을 펼쳐서 물건을 재는 형상에서 온 상형문자(象形文字)이며, 처음에는 18cm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이 차차 길어져 한(漢)나라 때...

●[확장] 간 [ 間 ]
1간은 6자[尺]로서 1.8181 m이다. 주로 토지 ·건물 등에 쓰인다. 척관법에 의한 길이의 단위에는 모(毛) ·리(厘) ·푼[分] ·치[寸] ·자 ·장(丈) ·간 ·정(町) ·리(里)가 있다.

●[확장] 말
척관법(尺貫法)에 의한 부피의 계량단위인 되[升]의 보조 계량단위로, 두(斗)라고도 한다. 1말은 10되에 해당하며 18ℓ(리터)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초기에 미터법이 한국에 도입되자 1되를 미터법에 의해 2ℓ로 하는 신(新)되가 출현하여 말도 신말(20ℓ)과 구(舊)말(18ℓ)로 구분되어 사용되다가, 1961년 5월 ...

●[확장] 평 [ 坪 ]
보(步)라고도 한다. 1평은 400/121 m2이다. 주로 토지 및 건물의 넓이를 나타낼 때 사용되나, 1983년 1월 1일부터 법률상 사용이 금지되었다. 유리나 타일 등의 넓이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평은 사방 6자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말한다.

●[확장] 정 [ 町 ]
1정은 360자(1자=10/33m)로서 1정=360×10/33m≒109m이다.

●[확장] 정 [ 町 ]
흔히 정보(町步)라고 한다. 1정은 1보(1보=400/127m2 )의 3,000배로서, 1정=3,000×(400/127m2)≒1만m2이다.

●[확장] 리 [ 里 ]
1리는 1,296자이며 1,296×1자(10/33m)=12,960/33m=0.392km=약 0.4km이다.

●[확장] 치
1자의 1/10에 해당하며, 계량법에 따르면 1.1930inch, 3.0303cm이다.



출처 : 북풍표국

-------------------------------------------------------------

●하이네 평
무협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내용中 5할정도는 아실거라 생각됩니다.
제목과 같이 초보자용이니 무협작품에 입문하신 분들은 꼭 아셔야
될듯 하구요, 주로 도시나 마을의 대장간, 인물의 추종술, 시간 개념에서
주로 사용되어질 것 같습니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910 [번역] 성 지침서 6장-색다른 성 억새풀 2004/11/12 3202
909 [번역] AD&D 책에 나온 예시 아티팩트 3개. Never-NeverLand 2004/11/12 3275
908 [번역] 섀도우런 2049-2060, 2060- Never-NeverLand 2004/11/12 3276
907 [번역] 섀도우런 2036-2046 억새풀 2004/11/12 2351
906 [번역] 섀도우런 2033-2048 억새풀 2004/11/12 2858
905 [번역] 섀도우런 역사-29.2030-2037 Never-NeverLand 2004/11/06 3051
904 [번역] 섀도우런 역사 2018-2029 억새풀 2004/11/06 2984
903 [번역] 섀도우런 역사, 2011,2012-2018 Never-NeverLand 2004/11/06 2583
902 [번역] 섀도우런-역사 서문, 1999~2010 억새풀 2004/11/06 3121
901 섀도우런 서문-사이버판타지 세계로의 초대 억새풀 2004/11/01 2138
900 [번역] 성 지침서 5장-성의 건설 억새풀 2004/11/01 2833
899 한번 97판으로 만들어본 몬스터매뉴얼 억새풀 2004/11/01 2616
898 한번 97판으로 만들어본 몬스터매뉴얼 억새풀 2004/11/01 2398
897 [번역] 성 지침서 4장-성의 진보 억새풀 2004/10/22 2805
896 [번역] 성 지침서 3장- 토너먼트 억새풀 2004/10/22 2105
895 [번역] 성 지침서 2장-기사의 하루 억새풀 2004/10/07 3980
894 [번역] 성 지침서 1장-중세 억새풀 2004/10/07 3367
893 [무협]가장흔한 심법/삼재심법(三才心法) 하이네 2004/10/05 3799
» [무협]초보자용 중국 도량형(度量衡) 하이네 2004/10/05 5201
891 [번역] 문 드래곤Moon Dragon 억새풀 2004/09/08 3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