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세우스 Perseus
제우스와 다나에의 아들. 아르고스의 왕이었던 할아버지인 아프리시오스는 딸이 낳은 자식에 의해 살해 될 것이라는 예언이 두려워, 딸인 다나에를 청동의 탑 또는 청동의 문이 달린 탑에 유폐시켰는데, 페르세우느는 탑 안에서 태어났다. 제우스는 다나에를 보자 그녀를 손에 넣기 위해 황금의 비로 모습을 바꾸고 다나에의 무릎 위에 내렸다. 그러자 다나에는 임신을 하게 되고 페르세우스를 낳았던 것이다. 아기가 태어났을 때 아크리시오스는 겁을 먹고 모자를 상자에 넣어 바다에 띄웠다. 그러나 제우스의 보호를 받은 그 상자는 표류하던 끈에 무사히 세리포스 섬에 도착했다.
이 섬에서 두 사람은 친절한 어부 딕티스('그물' 이라는 뜻)에게 구조 되었다. 딕티스는 이 섬의 왕인 폴리덱테스와 형제였다. 페르세우스는 이 어부의 집에서 자랐는데, 그가 청년이 되었을 때 폴리덱테스는 다나에를 사랑하게 되어 그녀에게 결혼을 강요했다. 그러나 페르세우스가 이를 반대했으므로 폴리덱테스는 어떻게 해서든 그를 제거하고자 기회를 노렸다. 폴리덱테스는 우선 주민들에게 세금으로 말을 바치도록 명했다(일설에 의하면, 피사의 히로다메이아와의 결혼을 위한 선물을 모집한다는 명목이었다고 한다). 페르세우스는 말이 한 마리도 없었으나, 다른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왕을 위해 구해주겠노라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자기가 원하던 바라고 생각한 왕은 페르세우스에게 고르곤의 하나인 메두사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했다. 그것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왕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아테나 여신은 자기를 모시는 신전에서 포세이돈과 정을 통한 메두사를 미워하고 있었으므로 페르세우스를 도와주기로 했다. 그녀는 페르세우스 앞에 나타나 그에게 청동으로 만든 방패를 주면서, 어떻게 하면 메두사가 있는 곳으로 갈 것인지 가르쳐 주었다. 그는 우선 아프리카의 산중에 있는 세 노파, 즉 그라이아이가 있는 동굴에 가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라이아이는 셋이었으나 하나의 눈과 하나의 이밖에 갖고 있지 않았으며, 그 눈과 이를 셋이서 교대로 갖기로 하고 있었다. 그녀들은 고르곤의 자매이므로, 페르세우스는 그녀들에게 도와달라고 설득할 필요가 있었다. 그는 책략을 써서 이 일을 성공 시켰다. 그는 그라이아이가 눈을 건네고 있는 사이에 손을 내밀어 눈을 빼앗고 고르곤과 님프들이 있는곳으로 가는 길을 가르쳐 달라고 요구했다. 님프들에게 도움을 청하라는 아테나의 지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라이아이가 할 수 없이 길을 가르쳐 주자 페르세우스는 그녀들의 눈을 트리토니스 호수에 던져버림으로써 후환을 미연에 방지했다. 님프들은 멀지않은 곳에 살고 있었다. 그녀들은 페르세우스가 과업을 완수하는 데 도움이 될 중요한 3가지보조품을 페르세우스에게 주었다. 머리에 쓰면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는 모자, 날개가 달린 신발, 그리고 메두사의 머리를 넣을 자루가 그것이었다. 님프들과 헤어진 직후 페르세우스는 헤르메스를 만났다. 헤르메스는 그의 미모에 반한 나머지 특별한 선물을 주었다. 쇠처럼 강한 금속인 '금강(金剛)'으로 만든 칼이었다. 그에게 날개가 달린 신발을 준 것은 님프가 아니라 헤르메스라는 설도 있다.
페르세우스는 날개가 달린 신발과 마법의 모자를 사용하여 오케아노스강 위를 날아 고르곤들이 사는 강기슭에 도착했다. 그녀들은 마침 잠을 자고 있었다. 페르세우스는 불사신인 스텐노와 에우리알레를 피해, 청동방패에 비추는 모습을 보면서 메두사 쪽으로 다가갔다. 고르곤의 얼굴을 똑바로 보면 곧 돌로 변하기 때문이었다. 그는 얼른 헤르메스가 준 칼로 메두사의 목을 자르고 그 머리를 가지고 있던 자루에 넣었다. 잠에서 깬 스텐노와 에우리알레가 추격해 왔으나, 페르세우스가 모자를 쓰자 더 이상 따라오지 못했다. 이라히여 그는 용케 도망할 수 있었다.
오비디우스의 설에 따르면, 페르세우스는 그리스로 돌아오는 도중에 폭풍을 만나 고생을 한 뒤 아틀라스의 영토를 지나게 되었다. 그의 아버지가 제우스라는 이야기를 들은 아틀라스왕은 페르세우스를 강제로 몰아내려고 했다. 앞서 테미스가 그에게, 언젠가 제우스의 아들이 헤스페리스들이 지키는 사과를 훔칠 것이라고 예언한 일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오비디우스에 의하면 또한 성난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보여 아틀라스를 돌로 변하게 하여, 하늘과 맞닿는 큰 산으로 만들었다고 한다(이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황금사과 이야기와는 모순된다. 그 이야기는 몇 세대 뒤의 것인데도, 아틀라스가 아직 살아있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페르세우스는 이집트의 상공을 날아가다가 켐미스에서 조상의 주거지를 발견했다. 그리고 페니키아 해안을 따라 내려다 보니, 바다 괴물의 먹이가 되기 위해 바위에 묶여 있는 안드로메다가 있었다. 그녀의 어머니 카시오페이아가 딸 자랑을 한 죄 때문에 딸인 안드로메다는 이런 벌을 받아야 한다고 암몬의 신탁이 명했던 것이다.
안드로메다의 아버지이자 이오페의 왕이기도 한 케페우스는, 만일 페르세우스가 괴물을 퇴치해준다면 딸관 함께 왕국도 그에게 주겠다고 했다. 이에 페르세우스는 안드로메다를 잡아 먹으려고 헤엄쳐오는 괴물을 헤르메스의 칼로 죽였다. 이리하여 결혼계획이 진행되기 시작했으나, 케페우스왕의 형제로 안드로메다의 약혼자였던 피네우스가 결혼 축하연을 혼란에 빠뜨리려 했으므로, 페르세우스는 피네우스와 그 부하들에게 메두사의 머리를 보여 돌로 변하게 만들었다. 안드로 메다는 페르세우스와의 사이에서 페르세스를 낳았다. 페스세우스는 페르세스가 이오페의 왕위를 잇도록 지시한 뒤 그를 케페우스한테 맡기고 이오페에 도착한 지 1년 만에 안드로메다를 데리고 세리포스로 돌아왔다. 세리포스에서는 다나에와 딕티스가 폴리텍테스의 박해를 피해 제단에 피난해 있었다. 페르세우스가 폴리덱테스를 만나 메두사의 머리를 가져왔다고 하자 그는 믿지 못하겠다는듯이 껄껄 웃었다. 이에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보였더니 그는 당장 돌로 변하고 말았다. 이리하여 페르세우스의 과업은 끝을 맺었다. 아테나는 페르세우스에게 모든 무기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돌라주도록 지시를 내리고 그의 곁을 떠났다. 페르세우스는 딕티스를 세리포스의 왕에 앉히고 나서 안드로메다와 함께 외할아버지의 왕국인 아르고스로 돌아왔다. 그러나 아크리시오스는 페르세우스가 돌아온다는 말을 듣자, 딸이 낳은 아들로 인해 죽게 된다는 식탁의 실현을 피하기 위해서 테살리아의 라리사로 피신했다. 페르세우스는 아무런 악의도 품지 않고 그의 뒤를 따라갔다. 그리고 이곳에서 테살리아의 왕 테우다미데스가 죽은 아버지를 위해 개최한 장례경기에 참가했다. 그런데 페르세우스가 원반을 던지자, 공교롭게도 그것이 외할아버지에게 맞아 결국 신탁이 실현되고 말았다.
페르세우스가 아르고스가 돌아와보니, 프로이토스(아크리시오스의 쌍둥이 형제, 또 일설에 의하면 페르세우스의 친아버지)가 왕위에 올라 있었다. 이에 페르세우스는 프로이토스를 돌로 변한게 하고 자신이 왕좌에 앉았다. 그러나 아크시리오스를 죽인 일로 그 나라를 통치하기가 싫어 메가펜테스의 영지인 티린스와 교환했다.
그런데 히기누스는 이상과 같은 신화상의 사건에 대해 이설을 제기하고있다. 그에 의하면, 폴리덱테스는 다나에와 결혼하여 아테나를 섬기면서 페르세우스를 양육한 친절한 사람이고, 또 아크리시오스는 세리포스에서 폴리덱테스에게 살해당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비디우스의 설과 일치하는 점이지만, 히기누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아버지인 프로이토스의 죽음을 복수하려 한 메가펜테스가 페르세우스를 살해했다고 한다. 그러나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는 오랬동안 티린스를 다스리면서, 아르골리스의 주변 지역인 미케네와 미데아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는 것이 통설로 되어 있다. 안드로메다는 페르세우스와의 사이에서 알카이오스, 스테넬로스, 헬레이오스, 메스토르, 엘렉트리온 다섯 아들과 딸인 고르고포네('고르곤 토벌' 이라는 뜻)를 낳았다.
페르세우스에 대한 신화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산실된 많은 희곡의 주제가 되어 있지만, 그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페르세우스는 당시 아르골리스 일대에 널리 퍼져 있던 디오니소스의 상을 레르네 호수에 던져,'호수에서 나온 여자들' 과도 싸웠다고 한다. 아테나 여신은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 바다의 괴물, 그리고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를 별자리로 삼아 하늘에 배치했다.
출처: 그리스.로마 신화사전-M.그랜트, J.헤이즐 공저/김진욱 옮김
------------------------------------------------------------
상당히 길군요;;
타자속도가 느린관계로 상당한 시간이;;;
음...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 당부 하고 싶은 말씀은 자신이 알고있는 내용과 다르다고해서 틀렸다고 하거나 부정하지는 말아주셨으면 하는 것입니다.
이건 신화니까요. 얼마든지 다를수 있다고 봅니다.
제우스와 다나에의 아들. 아르고스의 왕이었던 할아버지인 아프리시오스는 딸이 낳은 자식에 의해 살해 될 것이라는 예언이 두려워, 딸인 다나에를 청동의 탑 또는 청동의 문이 달린 탑에 유폐시켰는데, 페르세우느는 탑 안에서 태어났다. 제우스는 다나에를 보자 그녀를 손에 넣기 위해 황금의 비로 모습을 바꾸고 다나에의 무릎 위에 내렸다. 그러자 다나에는 임신을 하게 되고 페르세우스를 낳았던 것이다. 아기가 태어났을 때 아크리시오스는 겁을 먹고 모자를 상자에 넣어 바다에 띄웠다. 그러나 제우스의 보호를 받은 그 상자는 표류하던 끈에 무사히 세리포스 섬에 도착했다.
이 섬에서 두 사람은 친절한 어부 딕티스('그물' 이라는 뜻)에게 구조 되었다. 딕티스는 이 섬의 왕인 폴리덱테스와 형제였다. 페르세우스는 이 어부의 집에서 자랐는데, 그가 청년이 되었을 때 폴리덱테스는 다나에를 사랑하게 되어 그녀에게 결혼을 강요했다. 그러나 페르세우스가 이를 반대했으므로 폴리덱테스는 어떻게 해서든 그를 제거하고자 기회를 노렸다. 폴리덱테스는 우선 주민들에게 세금으로 말을 바치도록 명했다(일설에 의하면, 피사의 히로다메이아와의 결혼을 위한 선물을 모집한다는 명목이었다고 한다). 페르세우스는 말이 한 마리도 없었으나, 다른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왕을 위해 구해주겠노라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자기가 원하던 바라고 생각한 왕은 페르세우스에게 고르곤의 하나인 메두사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했다. 그것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왕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아테나 여신은 자기를 모시는 신전에서 포세이돈과 정을 통한 메두사를 미워하고 있었으므로 페르세우스를 도와주기로 했다. 그녀는 페르세우스 앞에 나타나 그에게 청동으로 만든 방패를 주면서, 어떻게 하면 메두사가 있는 곳으로 갈 것인지 가르쳐 주었다. 그는 우선 아프리카의 산중에 있는 세 노파, 즉 그라이아이가 있는 동굴에 가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라이아이는 셋이었으나 하나의 눈과 하나의 이밖에 갖고 있지 않았으며, 그 눈과 이를 셋이서 교대로 갖기로 하고 있었다. 그녀들은 고르곤의 자매이므로, 페르세우스는 그녀들에게 도와달라고 설득할 필요가 있었다. 그는 책략을 써서 이 일을 성공 시켰다. 그는 그라이아이가 눈을 건네고 있는 사이에 손을 내밀어 눈을 빼앗고 고르곤과 님프들이 있는곳으로 가는 길을 가르쳐 달라고 요구했다. 님프들에게 도움을 청하라는 아테나의 지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라이아이가 할 수 없이 길을 가르쳐 주자 페르세우스는 그녀들의 눈을 트리토니스 호수에 던져버림으로써 후환을 미연에 방지했다. 님프들은 멀지않은 곳에 살고 있었다. 그녀들은 페르세우스가 과업을 완수하는 데 도움이 될 중요한 3가지보조품을 페르세우스에게 주었다. 머리에 쓰면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는 모자, 날개가 달린 신발, 그리고 메두사의 머리를 넣을 자루가 그것이었다. 님프들과 헤어진 직후 페르세우스는 헤르메스를 만났다. 헤르메스는 그의 미모에 반한 나머지 특별한 선물을 주었다. 쇠처럼 강한 금속인 '금강(金剛)'으로 만든 칼이었다. 그에게 날개가 달린 신발을 준 것은 님프가 아니라 헤르메스라는 설도 있다.
페르세우스는 날개가 달린 신발과 마법의 모자를 사용하여 오케아노스강 위를 날아 고르곤들이 사는 강기슭에 도착했다. 그녀들은 마침 잠을 자고 있었다. 페르세우스는 불사신인 스텐노와 에우리알레를 피해, 청동방패에 비추는 모습을 보면서 메두사 쪽으로 다가갔다. 고르곤의 얼굴을 똑바로 보면 곧 돌로 변하기 때문이었다. 그는 얼른 헤르메스가 준 칼로 메두사의 목을 자르고 그 머리를 가지고 있던 자루에 넣었다. 잠에서 깬 스텐노와 에우리알레가 추격해 왔으나, 페르세우스가 모자를 쓰자 더 이상 따라오지 못했다. 이라히여 그는 용케 도망할 수 있었다.
오비디우스의 설에 따르면, 페르세우스는 그리스로 돌아오는 도중에 폭풍을 만나 고생을 한 뒤 아틀라스의 영토를 지나게 되었다. 그의 아버지가 제우스라는 이야기를 들은 아틀라스왕은 페르세우스를 강제로 몰아내려고 했다. 앞서 테미스가 그에게, 언젠가 제우스의 아들이 헤스페리스들이 지키는 사과를 훔칠 것이라고 예언한 일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오비디우스에 의하면 또한 성난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보여 아틀라스를 돌로 변하게 하여, 하늘과 맞닿는 큰 산으로 만들었다고 한다(이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황금사과 이야기와는 모순된다. 그 이야기는 몇 세대 뒤의 것인데도, 아틀라스가 아직 살아있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페르세우스는 이집트의 상공을 날아가다가 켐미스에서 조상의 주거지를 발견했다. 그리고 페니키아 해안을 따라 내려다 보니, 바다 괴물의 먹이가 되기 위해 바위에 묶여 있는 안드로메다가 있었다. 그녀의 어머니 카시오페이아가 딸 자랑을 한 죄 때문에 딸인 안드로메다는 이런 벌을 받아야 한다고 암몬의 신탁이 명했던 것이다.
안드로메다의 아버지이자 이오페의 왕이기도 한 케페우스는, 만일 페르세우스가 괴물을 퇴치해준다면 딸관 함께 왕국도 그에게 주겠다고 했다. 이에 페르세우스는 안드로메다를 잡아 먹으려고 헤엄쳐오는 괴물을 헤르메스의 칼로 죽였다. 이리하여 결혼계획이 진행되기 시작했으나, 케페우스왕의 형제로 안드로메다의 약혼자였던 피네우스가 결혼 축하연을 혼란에 빠뜨리려 했으므로, 페르세우스는 피네우스와 그 부하들에게 메두사의 머리를 보여 돌로 변하게 만들었다. 안드로 메다는 페르세우스와의 사이에서 페르세스를 낳았다. 페스세우스는 페르세스가 이오페의 왕위를 잇도록 지시한 뒤 그를 케페우스한테 맡기고 이오페에 도착한 지 1년 만에 안드로메다를 데리고 세리포스로 돌아왔다. 세리포스에서는 다나에와 딕티스가 폴리텍테스의 박해를 피해 제단에 피난해 있었다. 페르세우스가 폴리덱테스를 만나 메두사의 머리를 가져왔다고 하자 그는 믿지 못하겠다는듯이 껄껄 웃었다. 이에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보였더니 그는 당장 돌로 변하고 말았다. 이리하여 페르세우스의 과업은 끝을 맺었다. 아테나는 페르세우스에게 모든 무기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돌라주도록 지시를 내리고 그의 곁을 떠났다. 페르세우스는 딕티스를 세리포스의 왕에 앉히고 나서 안드로메다와 함께 외할아버지의 왕국인 아르고스로 돌아왔다. 그러나 아크리시오스는 페르세우스가 돌아온다는 말을 듣자, 딸이 낳은 아들로 인해 죽게 된다는 식탁의 실현을 피하기 위해서 테살리아의 라리사로 피신했다. 페르세우스는 아무런 악의도 품지 않고 그의 뒤를 따라갔다. 그리고 이곳에서 테살리아의 왕 테우다미데스가 죽은 아버지를 위해 개최한 장례경기에 참가했다. 그런데 페르세우스가 원반을 던지자, 공교롭게도 그것이 외할아버지에게 맞아 결국 신탁이 실현되고 말았다.
페르세우스가 아르고스가 돌아와보니, 프로이토스(아크리시오스의 쌍둥이 형제, 또 일설에 의하면 페르세우스의 친아버지)가 왕위에 올라 있었다. 이에 페르세우스는 프로이토스를 돌로 변한게 하고 자신이 왕좌에 앉았다. 그러나 아크시리오스를 죽인 일로 그 나라를 통치하기가 싫어 메가펜테스의 영지인 티린스와 교환했다.
그런데 히기누스는 이상과 같은 신화상의 사건에 대해 이설을 제기하고있다. 그에 의하면, 폴리덱테스는 다나에와 결혼하여 아테나를 섬기면서 페르세우스를 양육한 친절한 사람이고, 또 아크리시오스는 세리포스에서 폴리덱테스에게 살해당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비디우스의 설과 일치하는 점이지만, 히기누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아버지인 프로이토스의 죽음을 복수하려 한 메가펜테스가 페르세우스를 살해했다고 한다. 그러나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는 오랬동안 티린스를 다스리면서, 아르골리스의 주변 지역인 미케네와 미데아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는 것이 통설로 되어 있다. 안드로메다는 페르세우스와의 사이에서 알카이오스, 스테넬로스, 헬레이오스, 메스토르, 엘렉트리온 다섯 아들과 딸인 고르고포네('고르곤 토벌' 이라는 뜻)를 낳았다.
페르세우스에 대한 신화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산실된 많은 희곡의 주제가 되어 있지만, 그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페르세우스는 당시 아르골리스 일대에 널리 퍼져 있던 디오니소스의 상을 레르네 호수에 던져,'호수에서 나온 여자들' 과도 싸웠다고 한다. 아테나 여신은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 바다의 괴물, 그리고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를 별자리로 삼아 하늘에 배치했다.
출처: 그리스.로마 신화사전-M.그랜트, J.헤이즐 공저/김진욱 옮김
------------------------------------------------------------
상당히 길군요;;
타자속도가 느린관계로 상당한 시간이;;;
음...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 당부 하고 싶은 말씀은 자신이 알고있는 내용과 다르다고해서 틀렸다고 하거나 부정하지는 말아주셨으면 하는 것입니다.
이건 신화니까요. 얼마든지 다를수 있다고 봅니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890 | [번역] 썬 드래곤Sun Dragon | 억새풀 | 2004/09/08 | 3007 |
889 | [요청]억새풀님께 | 문화사랑 | 2004/09/06 | 1727 |
888 | [번역] 스펠재머 | 억새풀 | 2004/08/29 | 2470 |
887 | [번역] 래디언트 드래곤Radiant dragon | 억새풀 | 2004/08/28 | 2937 |
886 | 에... 시험삼아. | 억새풀 | 2004/05/27 | 1810 |
885 | [번역] 스텔라 드래곤Stellar Dragon | 억새풀 | 2004/08/19 | 3041 |
884 | [질문]드래곤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 무명씨 | 2004/08/06 | 1795 |
883 | [요청]무협에서... | 수련엄마 | 2004/08/02 | 2315 |
882 | [요청]비도에 대하여.. | 모.르.는.사.람. | 2004/07/23 | 1447 |
881 | 그리스.로마 신화-에키드나&티폰 | 윤영준 | 2004/07/20 | 2754 |
880 | 에키드나 퇴치의 역사적 의미 | 서희선 | 2004/07/20 | 1553 |
879 | 그리스.로마 신화-벨레로폰 | 윤영준 | 2004/07/19 | 1704 |
» | 그리스.로마 신화-페르세우스 | 윤영준 | 2004/07/17 | 1842 |
877 | 환상동물사전 일람 정리-1 | 서희선 | 2004/07/12 | 2824 |
876 | 수퉁(tuttungr)의 벌꿀주와 진 | 서희선 | 2004/07/12 | 2801 |
875 | 아웃레인지 공격-(쩝! 다음엔 좀더 긴 자료 올리겠습니다.) | 서희선 | 2004/07/12 | 2184 |
874 | 환타지 글 쓸때 제가 참고하는 자료들입니다. | 서희선 | 2004/07/12 | 2898 |
873 | [번역] 페이룬의 마법/마법의 이해 | 억새풀 | 2004/07/11 | 2536 |
872 | [펌]초보작가에서 벗어나는 길 | 시인의샤프 | 2004/06/18 | 1843 |
871 | 오랜만에! [펌]소설작가에게 종종 나타나는 문제점들 | 시인의샤프 | 2004/06/17 | 2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