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그동안 여기저기서 퍼오면서 모은게 이정도 됬군요. 공유할까 하고 올립니다.

--------------------------------------------------------------몬스터/종족편
가고일(Gargoyle) 비행 몬스터들 중에서 대표적인 몬스터. 중세 교회의 벽 장식으로 서 있
는 날개 달린 악마가 바로 가고일이며 이런 기원 때문에 대개의 경우 석상의 형태를 띄고
있다고 믿어진다. 즉 던전 같은 곳에서 석상처럼 꼼짝않고 앉아 있다가 갑자기 날아올라 모
험가들을 덮치는 장면으로 잘 알려져 있다. 민첩하고 강인할 뿐만 아니라 선악을 구분하지
않고 치열하게 공격한다. 악한 영혼이 교회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교회 바깥에 세워둘 정도
이니 그 흉포함을 짐작할 수 있다.

고블린(Goblin) 대표적인 인간형 몬스터로서 코볼드, 놀 등도 고블린의 일종으로 해석되곤
한다. 역시 인간보다 약간 작고 얼굴은 추하다. 몸집이 작아서 작은 무기 외엔 쓰지 못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보글이라고 불린다.

골렘(Golem)유대 신화에 기원을 둔 인조괴물. 자연 발생적인 몬스터와 달리 골렘은 인공적
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유대인들이 폭정에 억압받는 민중을 구원하기 위해 점토로 괴물을
만들어 생명력을 불어 넣은 것이 이 골렘인데 중세 유럽으로 넘어오며 연금술사들과 카발리
스트 그리고 흑마법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즉 무생명에서 생명이 탄생하게 된
다는 골렘의 상징성 때문에 생명의 신비에의 도전이라는 등식을 성립 시킬 수 있었던 것이
다. 환타지에서 골렘은 무생물이기 때문에 당연히 고통을 모르며 만든자의 명령에 따라서만
움직인다고 한다. 재질에 따라 클레이 골렘. 스톤골렘 아이언 골렘 플레시 골렘 등이 있다.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은 인간의 살로 만들어 졌으므로 플레시 골렘에 해당한다.)

놀 Gnoll:하이에나와 같은 머리를 가지고 있는 인간형 몬스터의 일종.

드래곤 Dragon:가장 유서깊고 강력한 두가지 원형이 결합된 최강의 몬스터 그 두려운 원형
의 정체는 새와 뱀이다. 자유이자 천향성이며 신에게로 날아가는 새, 그리고 집착이자 지향
성이며 땅 아래로 숨어드는 뱀. 이 두 가지 원형이 결합되어 나타난 드래곤은 동서 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유명한 몬스터이다. 이슬람 신화의 바하무트. 중근동의 티아메트. 북구 신화
의 미드가르드 뱀, 아서 왕 전설에 나타나는 켈트의 붉은 드래곤과 하얀 드래곤, [니벨룽겐
의 노래]에 나타나는 지크프리트의 드래곤, 유대신화(크리스트교)에서 나타나는 옛뱀(사탄,
드래곤), 중국의 용들…. 보물의 보관자이며 강탈자, 강력한 힘, 무한한 지식, 처녀의 약탈자
(유니콘이 순결에 굴복하는데 반해 드래곤은 순결한 처녀를 잡아 먹는다. 고찰해 볼만한 차
이점.) 영웅의 시련이자 동시에 구원

드워프 Dwarf난쟁이. 북구 신화에 기원을두었지만 현재는 J.R.R 톨킨이 확립한 모습을 주로
따른다. 북구 신화에서는 신들이 거인 이미르의 몸으로 대지를 창조했을 때 땅속으로 파고
든 종족이다. 솜씨좋은 대장장이이며 보석과 황금을 무진장하게 가지고 있어서 그것으로 신
들도 놀랄 보물과 무기들을 만들어 낸다. 던지면 반드시 명중하는 궁그닐의 창, 던지면 적을
치고 되돌아오는 토르의 해머 묘르닐, 자신을 재생하는 드라우프닐의 반지, 하늘과 바다 어
디든지 달리는 황금돼지 그린브르스티, 시프의 황금가발, 접어서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배
스키드브라드닐 등은 전부 드워프들의 작품이다.(북구 신화에서 드워프들의 제작품을 빼놓
으면 신들은 아무것도 가진게 없을 정도이다.) J.R.R 톨킨이 확립한 모습에 따르면 드워프는
발라이자 위대한 대장장이인 아올레가 만들어낸 종족이며 엘프들에 이세공품 제조가이자 광
부로서 손재주가 필요한 모든 일에 능통하다. 드래곤과 맞먹을 정도로 보석에 대한 탐욕을
가지고 있으며 절대로 지배당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당연히 키는 작고 무성한 수
염이 드워프를 상징한다.

라미아 Lamia 그리스 신화에 기원을 둔 몬스터. 베로스와 리비아 사이에 태어난 딸로 그리
스 신화의 모든 처녀들의 공적인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서 아기를 낳았으나 헤라의 시기 때
문에 모두 죽었다. 그래서 비탄에 잠긴 나머지 몬스터가 되었고 아기를 훔치는 버릇을 가지
게 되었다. 상반신은 여성이고 하반신은 뱀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 중국 신화의 여와와도 비
슷한 모습이며, 그 배경신화 때문인지 환타지 세계에서는 주로 아기를 잡아먹는 몬스터로서
악명을 떨치게 된다.

라이칸스롭 Lycanthrope 동물 변신 몬스터. 유명한 것은 역시 늑대인간 이지만 대개 그 지
역에서 가장 무서운 동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유럽에서는 늑대지만 아시아에서는 호랑이
라는 식으로)누구나 알 듯이 마력이 가장 충만한 시간인 보름달 아래에서 변신하게 된다.
은제 무기와 마법 무기에 상처를 입으며 뱀파이어와 마찬가지로 라이칸스롭에 공격당했을
경우 라이칸스롭이 되는 경우가 많다.

레드드래곤Red dragon: 붉은 드래곤 파이어 브레스를 내뿜으며 오로지 탐욕과 폭력의 가치
만을 추종한다. 그 힘은 막강하고 대단히 난폭한 드래곤.

미노타우로스Minotauros:역시 그리스 신화에 기원을 둔 몬스터로 크레타의 왕 미노스의 아
내인 파시파에가 다이달로스의 도움으로(발명가 다이달로스는 암소 모양의 틀을 만들어 그
안에 왕비가 들어가도록 했다.)황소와 교접하여 낳은 자식이다. 몸은 사람의 몸인데 머리는
황소의 머리인 데다가 흉폭하기 짝이 없어서 골치를 썩히던 미노스 왕은, 역시 다이달로스
에게 명령하여 저 유명한 크레타의 미궁을 만들어 미노타우르스를 가둬버리고는 그 음식 조
달을 위해 아테네 측에 인신 공양을 강요한다. 하지만 결국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가 이
미궁속의 몬스터를 물리친다. 역시 배경 신화 탓에 미궁과 비슷한 던전에 자주 출현하며 사
람을 잡아먹는 경향이 있다.

발록:Barlog: J.R.R. 톨킨의 [반지의 군주] 에 기원을 둔 몬스터. 저 강인한 드워프들이 고향
을 버리고 피난가게 만들 정도로 난폭한 무시무시한 악마이며 오른손에 들고 휘두르는 채찍
이 그를 상징한다. 또한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어 마법에 능수능란하다. 드래곤정도는 우습
게 때려 잡을 수 있는 무서운 악마지만 다행히도 지하를 더 좋아하는 성격이라 지상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블랙드래곤Black dragon:검은 드래곤. 사악한 성격이며 난폭하다고 알려져 있다. 강력한 애
시드 브레스를 뿜어낸다.

샐러맨더 Salamander:불의 하급 정령.

슬라임:  Slime: 젤리 형태의 부정형 몬스터 몸이 부정형이라 천장에 붙어있다가 상대를 덮
어 씌워서 강한 소화액으로 녹여 공격하곤 한다. 좁은 틈도 마음대로 지나다닐수 있지만 이
동속도는 느린 편이다.

엘프Elf:드워프와 마찬가지로 북구 신화에 기원을 두지만 [반지의군주]덕분에 더 유명해진
종족. 북구 신화에서는 드워프와 마찬가지로 거인 이미르의 몸에서 생겨난 종족이지만 드워
프가 땅 아래로 파고 든 데 반해 엘프는 땅 위에 남게 되었다. 북구어로는 알펜 Alfen. 뇨르
트의 아들이자 풍요의 신 프레이의 지배를 받으며 알펜하임이라 불리는 자신들 만의 아름다
운 고장에서 산다. 각 가정에 붙어서 그 가정의 대소사를 도와주는 필기엔, 그리고 프레이
자신도 엘프에 속하는 경우가 있다. 신장은 엄지손가락 정도로 기본적으로 선량하지만 장난
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J.R.R톨킨의 반지의 군주로 넘어오게 되면서 엘프의 성격은 많이
바뀌게 되는데 발라중의 발라 에루에 의해 최초로 태어난 엘프는 원래 대지와 세계의 주인
이라 할 수 있다. 훤칠한 키와 잘생긴 용모, 그리고 무한한 지식과 품위, 용기, 선을 추구하
는 자이며 기본적으로 불사의 존재이다. (반지의 군주)의 무대가 되는 중간계에서 엘프들은
살해 당할 수 있다. 하지만 죽은 엘프들은 원래의모든 기억을 가진채로 다시 부활할 수 있
다.) 이들은 중간계의 다른 유한 생명체들이 바라보기엔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상한 존
재이며 세계의 어지러움과 악덕에 슬퍼하는 존재였다. 시와 노래를 사랑하지만 적들을 향해
검을 드는 것을 꺼리지는 않는다. 그리고 반지의 군주에서 부터(정확하게는 실마릴리온에서
부터)비롯된 엘프와 드워프의 반목은 유명한 것이다. 놀랄정도의 용모와 뾰족한 귀가 특징.

오거Ogre:흉폭한 식인 몬스터 덩치가 크고 대단히 힘이 세다. 거인보다는 더욱 몬스터 답게
생겼으며 지성은 빈약하지만 무기를 다루는 전투기술은 굉장한 편이다. 주식은 길 잃은 여
행자이며 야참 생각이 날 경우 마을에 내려와 잠든 사람을 잡아간다.

오크Orc: 인간형 몬스터이자 역시 J.R.R톨킨 덕분에 유명해진 몬스터 돼지 머리를 하고 있
다. 고블린이 땅속 요정에서 파생되는 개념인데 반해 오크는 완전한 몬스터이자 하나의 종
족이며 인간과 혼혈이 가능할 정도로 인간과 가깝다.….라는 설도 있다.(반지의군주에서는
백색의 마법사 사루만이 인간과 오크의 혼혈인 하프오크를 만들어 내었음을 암시하는 대목
이 있다.)

위어울프Werewolf:라이칸스롭 중에서 가장 유명한 늑대인간(호랑이로 변신하면 위어 타이
거, 쥐로 변신하면 위어랫이라고 한다.)보름달을 바라보며 늑대로 변신한다.

코볼드Kobold: 인간보다 조금 작으며 개와 유사한 머리를 가진 소형 인간형 몬스터 동료들
끼리 말 할 수 있을 정도의 언어능력을 지니며 주로 지하의 광물을 지키는 파수꾼. 지하의
못된 몬스터 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지하의 요정이 그 기원이다.

키메라chimaera:그리스 신화에 기원을 둔 몬스터. 뤼키아 산에 사는 괴물로서 사자, 염소,
뱀(드래곤)의 모습이 뒤섞인 흉포한 몬스터인데 그 형태는 두가지 설을 가지고 있다. 즉 몸
의 앞부분은 사자, 중간은 염소, 그리고 꼬리는 뱀이라는 설과 하나의 몸통에 사자, 염소, 뱀
의 세가지 머리를 가졌다는 설이 있다. 어쨋든 이런 괴상한 모습을 가지고 있어 존재할 수
없는 것이라는 원형을 가지며 식물 세포의 키메라 유전자 역시 이런 의미에서 비롯된 말이
다.


트롤Troll:북수 신화에 기원을 둔 몬스터로서 식인 몬스터이며 오거보다 더 저조한 지성을
가지고 있다. 유명한 트롤로는 로키와 결혼하여 세아이(라그나로크 때 오딘을 잡아먹은 최
후의 늑대 펜릴, 지구를 둘러싼 미드가르드 뱀, 지옥을 의미하는 헬)을 낳은 여성 트롤 앙그
르보다Angrboda가 있다. 딱딱한 피부 때문에 방어력이 대단히 높고 상처를 입어도 단시간
에 재생해 버리는 권능을 가지고 있다.(힐링포션은 트롤의 피를 가공하여 만들어 진다고 한
다.) 곤봉 정도의 간단한 무기도 잘 다루지만 몸 자체를 무기로 쓰는 백병전에 능하다.

퓨리아Furia:그리스 신화에 기원을 둔 몬스터. 라미아처럼 여자와 뱀이 합쳐진 몬스터로서
복수의 여신 에뤼뉴스를 말한다. 푸리아이.

화이트 드래곤 white dragon: 물론 몸이 하얀 드래곤. 드래곤들 중에선 난폭한 성격이며 욕
심이 많고 우둔한 존재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드래곤인지라 인간보다는 훨씬 지
혜롭다. 극지에 주로 산다고 하며 닿은 물질을 꽁꽁 얼어붙게 만드는 차가운 브레스를 뿜어
낸다.
아메바 G(AMOEBA GiIANT)

단세포 생물의 대표격인 아메바도 RPG에서는 훌륭한 몬스터로 등장한다.
아메바의 크기는 원래 미크론 단위인데, 인간을 습격할 정도의 크기인 몬스터는
엄청난 크기의 비율로 커진 것을 말한다. 그러나 아무리 크다고 해도 단세포는
역시 단세포일 뿐, 분열을 하고 나면 그것으로 끝이다.
모습은 슬라임과 비슷하지만, 슬라임의 전투방법이 다양한 데 비해 아메바의 전
투방법은 별로 다양하지 않다. 상대방에게 덥치거나 신체의 아래 부분에 있는 입
으로 잡아먹거나 대미지를 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아메바는 세포분열을 하므로 두 동강을 내도 2마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서식장소로는 습기가 있는 장소, 즉 축축한 던전이 주로 이용된다. 건조한 장소
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오크 젤리(OCHRE JELLY)라고 불리는 아메바도 있다.


앤트 자이언트(ANT GIANT)

모습은 보통의 개미와 같지만 몸 크기가 50~60센티 정도나 된다. 보통의 동물을
대형 몬스터로 했을 경우 크기가 2~3배 정도로 확대되는 것이 보통인 데 반해
이 개미는 몇 백 배나 더 커진 것이다.
몸은 크지만 개미의 특징인 집단행동의 성질은 그대로 이어받고 있으며, 많을
경우에는 몇 백 마리나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대형 병대(兵隊) 개미는 입 안의 혀에서 독을 내뿜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그다지 강력한 독은 아니다.


앤트 라이온(ANT LION)

이름을 보면 강력한 사자라는 이미지를 갖게 되지만, 앤트 라이온은 명주잠자리
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렇지만 몬스터로 등장하는 것은 명주잠자리의 유충, 즉
개미귀신으로서이다.
예전에 한 과학잡지에서 신사(神社)의 경내 밑의 모래땅에 서식하고 있다고 소
개된 적이 있는 것으로, 그것을 본 사람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것이다.
원래 보통의 크기라면 무섭지 않지만 거대한 몬스터가 되면 그렇지 않다. 모래
땅에 서식하고 있으며 역원추상(逆圓錐狀)의 덫을 놓고 접근해 오는 동물을 기다
린다.
일단 덫에 빠지면 주위의 모래가 점점 무너져 내려앉아 탈출할 수가 없다. 이
개미귀신이 나와 발버둥치고 있는 동물의 피를 빨아먹는 것이다.
울트라맨에 나왔던 앤트라는 바로 이 개미귀신 몬스터였다. 이 대형 몬스터는
SF가 아니었으면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에이프(APE)

에이프란 대형 육식유인원(肉食類人猿)을 말한다. 그 이미지는 고릴라에 가깝지
만 육식을 안하는 점이 다르다. 정글 등에 살며 노획물에 기습공격(SUPRISE
ATTACK)을 가하는 것이 주특기이다.
공격방법은 힘센 팔을 마구 휘저으며 양팔로 비틀어 당기는 것이다(RENDING).
서식장소는 정글 등의 삼림지대가 주무대이지만, 다른 장소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애스코모이드(ASCOMOID)

애스코모이드는 ASCOMYCETE, 즉 버섯의 일종으로 ASCONOID 전체가 난형(卵型)을
한 해면의 특징을 합친 몬스터이다.
버섯과 해면을 합친 몬스터라고 해도 상상하기 어려울텐데, 구형(求刑)의 버섯
을 머리에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즉, 구형인 ASCONOID 몸에 많은 구
멍이 뚤려 있는(多空質)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생물로서의 특징은 버섯, 즉 식물로서의 특징이 강하다. 그 표면의 구멍
에서 포자를 날리므로 지능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법을 사용하
기는커녕 사고능력도 없다.
공격할 때는 회전하면서 상대에게 덮쳐온다. 그 대미지는 애스코모이드의 크기
에 따라 달라진다.
에스코모이드를 공격할 때는 볼을 공격하는 것처럼 하면 된다. 즉, 맞지 말고
자르거나 찌르면 간단히 쓰러진다.


어쌔신 버그(ASSASSIN BUG)

파리와 비슷한 이 벌레 몬스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살인 몬스터이다(모든
몬스터가 살인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몬스터가 살인 몬스터라고 불리는 것은 암수가 함께 행동하는 것에서 기인한
다.
사람을 발견하면 산란을 위해 유일한 공격수단인 마비를 시키는 독(PARALYZE)을
주입하여 자신의 알을 낳는다. 그 알은 짧은 기간에 유충으로 변하여 인간의 육
체를 파괴시키면서 성충이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어쌔신 버그는 살인 몬스터라
고 불리는 것이다.
그 모습은 파리와 비슷하지만, 단지 파리가 확대된 것만은 아니다. 몸 길이가
50~60센티 정도이지만, 팔다리가 모두 4개밖에 없으며 인간처럼 서서 행동한다.
인간에게 상처를 입히기 위해 공격하는 것은 아니지만, 앞서 서술한 것처럼 마비
성이 있는 독을 가지고 있으므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
어쌔신 버그는 먹이(즉, 인간)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나 존재한다.


액스 비크(AXE BEAK)

대형 타조와 닮은 조류의 일종이다. 부리 끝이 도끼처럼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
한 이름이 붙여졌다.
공격시 도끼를 닮은 이 부리를 사용할 경우가 많은데, 이 외에도 발톱이 있는 2
개의 다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주로 산악지대에 살고 있으며 낮에만 활동한다. 따라서 동굴 등 어두운 장소에
서 마주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오히려 낮이 더 위험한 몬스터이다.


아저(AZER)

불의 원소계(元素係) 몬스터로 노인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털과 수염이
불꽃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피부는 금속성이다. 따라서 방어도구를 갖추지 않아
도 상당한 아마클래스(AC)가 있다.
보통의 무기를 사용해 공격하지만 몸이 뜨겁기 때문에 상대에게 무기와 열의 두
가지 대미지를 동시에 가할 수가 있다.
아저는 독자적인 생활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속에서 나오지 않는 한 다른 장
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불 계통의 몬스터이므로 당연히 파이어 볼 등의 공격을 하기 마련이다.
컴퓨터 RPG에서는, 하이드라이브 II에 등장하며, 불 구슬을 다루지만 직접 공격
할 수 있는 능력은 없다. 수준이 높은 아저라면 불 구슬을 다루는 정도는 가능하
더라도 공격을 직접 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다소 의아스럽다.


바쿠(BAKU)

중국에서 전래된 상상 속의 동물로, 인간의 악몽을 먹는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바쿠라는 동물도 있지만 이 몬스터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
그 모습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곰을 닮은 몸에
다 코는 코끼리처럼 길고, 눈은 꼬뿔소, 꼬리는 소, 발은 호랑이와 닮았다고 한
다. 몸에 흑백의 반점이 있으며 머리는 의외로 작다.
바쿠는 인간에게 적의를 가지고 있다고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인간에
게 호의적인 몬스터이다. 그러나 사람에게 모습을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만일 바쿠의 모피를 손에 입수하게 되면 그것을 깔고 자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사악한 것이 접근하는 일은 없을테니까.


밴더스내치(BANDERSNATCH)

밴더스내치란 루이스 캐롤 원작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가 아님)'에 나오는 몬스터를 가리킨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는 자바워키의 시 중에서 '사납게 날뛰는 밴더스내치에
게 접근하지 마라'는 귀절이 있다.
또 사자와 유니콘의 장에서도 '시간을 멈추게 하는 일은 밴더스내치를 잠재우는
것 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밴더스내
치는 매우 난폭한 몬스터이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는 밴더스내치의 모습에 대한 묘사가 없으므로 일러스트
에 나온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일러스트를 보면, 상당히 커다란 개의 모습
을 하고 있으며 몸에는 반점이 나 있다. 이빨과 발톱이 날카로우므로 공격시에는
사람이라도 간단히 찢어 죽일 수가 있다.
루이스 캐롤의 작품에 나오는 몬스터이긴 해도 인간의 편에 서는 선량한 몬스터
가 아니다. 자신의 눈에 띄는 것은 모두 죽이려고 든다. 버서커같은 몬스터이다.


밴디츠(BANDITS)

밴디츠란 도적단을 말한다. 보통은 BANDIT라고 단수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
은데, 혼자서 출현하는 도적은 단순한 도둑(THIEF)이 된다. 어떤 세상이라도 악
인은 도당(盜黨)을 조직하고 싶어하며, 혼자서 걷고 있는 사람이나 상인 집단 등
을 습격하여 도적질을 한다.
밴디츠는 RPG의 세계에도 역시 출몰한다. 그러나 도적이라고 해도 기본적으로
인간의 집단이므로 별로 무섭지는 않다. 지능이 아주 높지는 않으므로 마법을 사
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힘이 센 파이터 집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밴시(BANSHEE)

GROANING SPIRIT라고도 불리는 밴시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에 전해져 내려오는
여자 요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날개 달린 천사라기 보다는 흐릿하게밖에 보이지 않는 유령에 가까운 모
습을 하고 있다. 아일랜드의 전설에서 밴시는 그 집에 사람이 죽었을 때 혹은 사
람이 죽은 후에 나타나 그 죽음을 슬퍼하며 슬피 운다고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경우도 있다. 뭔가 원한을 가지
고 있던 사람이 죽었을 때, 그것을 보고 기뻐서 우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몬스터로 취급되는 밴시는 언데드 몬스터에 가까운 느낌으로 등장한다. 공격방
법으로는 한기(寒氣)에 의한 것과 우는 소리(KEENING)에 의한 것이 있다.
마법에 걸린 무기가 없으면 밴시에게 상처를 입힐 수가 없다. 그러나 마음의 마
법(SLEEP, CHARM 등)은 전혀 효과가 없다.


발로그(BARLOG)

역사적인 유래가 없는 몬스터이지만 유럽에서는 매우 유명한 몬스터이다.
왜냐하면 D&D 세계의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는 J.R.R. 톨킨 원작의 '반지 이야
기'에 등장하는 몬스터이기 때문이다. 이미 소설로도 발로그의 무서움은 익히 알
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반지 이야기'가 비디오로도 나와 있으므로 그 모습이 어
떤지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 모습은 TV, 데몬을 의식한 것답게 새까많고 고릴라 같은 얼굴에 등에는 박쥐
같은 날개를 달고 있으며 눈은 빨갛게 타고 있고 좌우에 회초리를 들고 있다. 신
장은 5미터 가까이 되며 날개를 이용하여 날 수가 있다.
'반지 이야기'에서는 모리어의 갱도에서 주인공들이 트롤과 고블린의 습격을 받
았을 때 나타난다. 이 때 마법사 갠덜프가 혼자서 발로그를 상대한다. 그것은 발
로그가 상대하기 쉬운 적이라서가 아니라 오히려 매우 두려운 적이었기 때문에
자신이 방패가 되어 동료들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갠덜프는 발로그를 골
짜기 밑으로 떨어뜨려 버렸다.
발로그는 악마의 이미지로 만들어진 몬스터이므로 당연히 인간을 증오하는 존재
이다. 따라서 발로그를 만난 인간은 싸움에서 이기지 않는 한 도망치는 것이 불
가능하다.
발로그는 지능이 높아 마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골치아픈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바질리스크(BASILISK)

바질리스크를 코카트라이스(COCKATRICE)와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여기서
는 그러한 오해가 없도록 명확히 구분해 보겠다.
바질리스크는 뱀의 왕이라고 불리는 몬스터이다. 그 모습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그 기본적인 특징은 대형 도마뱀으로 다리가 8개나 있으며 머리에
는 왕의 표시인 계관(볏)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가장 큰 특징은 노려보는 상대를 돌로 변하게 만드는 능력일 것이다(메듀사의
능력과 같음). 몸에는 독이 있는데, 만일 창으로 바질리스크를 찌르면 창을 통해
독이 몸에 퍼질 정도로 강력한 독이다.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입으로 물어뜯는 공격방법도 있지만, 보기만 해도 상대방
을 돌로 만들어 버리는 능력 만큼 강력한 것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무적처럼 보이는 바질리스크에게도 뜻밖의 약점은 있다. 그것은
족제비와 암탉의 울음소리에 약하다는 것이다. 족제비는 바질리스크가 노려봐도
돌로 변하지 않고(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공격을 계속 해 온다. 암탉의 울음소
리를 들으면 바질리스크는 도망가 버린다.
보기만 해도 상대방을 돌로 만들어 버리는 몬스터를 대했을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거울이다.
서식장소는 사막이라고 하는데, 처음부터 사막이었던 것은 아니다. 바질리스크
는 동물 뿐만 아니라 식물도 돌로 만들어 버리므로 어느 샌가 서식장소가 사막으
로 바뀐 것이다.


배트 G(BAT GIANT)

배트란 황금박쥐로 친숙한(조금 오래된 감은 있지만) 박쥐를 말한다. 날개를 펼
치면 30센티 정도 되는 것이 보통의 박쥐이지만, 몬스터로 등장하는 배트는 그
크기가 1미터 정도라고 한다.
그 특징은 뭐니뭐니해도 역시 눈으로 보는 대신 초음파를 내보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날아다니는 점일 것이다.
배트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여 주로 밤에 활동한다. 던전 등의 어두운 장소에서
서식하고 있는 배트는 시간 등에 구애받지 않고 행동한다.
이 몬스터의 이미지로는 수많은 박쥐가 접근한 사람에게 '키키키키-'라는 소리
를 지르면서 느닷없이 덥쳐오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한 마리 한 마리는 별로 강하지 않지만 여러 마리가 함께 공격해 오는 것이 이
몬스터의 특징이므로 조심해야 한다. 실제로 약한 상대에게 뜻밖에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남미 등에 사는 흡혈 박쥐가 뱀파이어로 모습을 변신한 경우가 있으므로
뱀파이어와 배트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트의 종류는 흡혈 배트(뱀파이어 배트의 새끼로 등장하는 것)와 뱀파
이어가 모습을 바꾼 뱀파이어 배트(매우 강하지만 단독으로밖에 나타나지 않는
다)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흡혈 배트에게 피를 빨리면 병에 걸리고 뱀파이어 배트에게 물리면 뱀파이어가
된다.


베어(BEAR)

베어(곰)의 종류는 상당히 많다. BLACK, BROWN, CAVE, POLE, GRIZZLY가 주된 것
이다.
POLE BEAR는 북극곰으로, 한냉지에서만 살며 보통의 RPG에 등장하는 경우는 거
의 없다.
GRIZZLY BEAR는 회색곰으로 미국 서부와 로키산맥에서 산다. 몇 년 전 영화로도
상영되었으므로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성격이 난폭하므로 아무리
죽은 체 해도 소용이 없다.
곰의 공격방법은 주로 입과 날카로운 발톱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상대방을 끌어
안아 등뼈를 부러뜨리는 BEAR HUG도 자주 사용한다.
주로 삼림지대에 살고 있지만 다른 장소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게다가 주야를
불문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비 G(BEE GIANT)

BEE는 벌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벌은 꿀벌을 가리키지만, 벌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것은 역시 말벌일 것이다.
이 말벌은 RPG에서 와스프(WASP), 호넷(HORNET)이라고 불린다. 말벌에 대해 서
는 따로 소개할 예정이므로 여기서는 꿀벌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비 G는 보통의 꿀벌이 30~50센티의 크기로 확대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확
대된 비 G도 역시 꿀벌의 특징인 집단행동을 한다. 즉, 한 번에 몇 십 마리의
대군으로 습격한다. 한 마리 한 마리는 대단한 것이 아니지만, 이 정도 숫자로
공격을 해 오면 감당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그러나 비 G는 일반 꿀벌과 마찬가지로 일단 침을 한 번 쏘고 나면 침이 빠져
죽게 된다. 보통의 꿀벌에 쏘여서 사람이 죽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거대한
꿀벌의 경우는 그렇지가 않다. 상당수가 죽게 되며 죽지 않더라도 독이 퍼질 것
은 분명하다.


비틀 G(BEETLE GIANT)

음악과 자동차로 유명한 비틀은 투구벌레(투구풍뎅이)를 말한다. 얼핏 생각하면
종류가 적을 것도 같지만, 크게 6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투구벌레의 공통점을 살펴보자.
몸 전체가 갑라(甲羅)로 덮여 있기 때문에 아마클래스(AC)가 낮으며, 큰 각도로
공격을 해 온다. 또 하늘을 날 수가 있으므로 상당히 유리하게 전투를 진행시킬
수 있다.
각 종류별로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봄바디어(BOMBARDIER)

번역하면 폭격수(爆擊手)가 되는데, 따로 폭탄을 떨어뜨리는 것은 아니다. 공격
시 자신의 주위에 불의 벽을 만들어 방어하면서 동시에 가스도 내보내 그것을 마
신 상대를 기절시키는 능력이 있다. 몸 길이는 1미터 이상이며 삼림지대에서 산
다.

보잉(BORING)

보통 몬스터로 등장하는 투구벌레가 이 보잉이다. 몸 길이가 3미터나 되는 대형
몬스터이다.

파이어(FIRE)

몬스터로서는 가장 작은 70센티 정도밖에 안된다. 이름은 FIRE이지만 특별히 불
을 뿜어내는 것은 아니다.

라이노스로스(RHINOCEROS)

라이노스로스란 코뿔소를 말한다. 이름 그대로 뿔이 특징인데, 뿔만 2미터 가까
이 된다. 몸 길이는 4미터 정도이며 GIANT BEETLE 중에서는 가장 크다.

투구벌레 뿐만 아니라 갑라가 있는 모든 몬스터는 배 부분에는 장갑(裝甲)이 없
다. 따라서 이곳을 공격하는 것이 전투의 핵심이다.


베히모스(BEHEMOTH)

베히모스는 고대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대형 포유류이다. 크기는 일어서면 6미터
정도이며, 전체 길이가 15미터나 되는 거대한 몬스터이다.
베히모스의 어원은 헤브라이어의 짐승(B, HEMAH)의 강조복수형이다. 보통이 넘
는 크기 때문에 한 마리의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복수형으로 부르는 것이
다.
공격방법은 꼬리를 휘두르는 것과 이빨로 물어당기는 것 정도이지만, 문제는 방
어수단이다. 베히모스의 피부 두께는 20센티 정도나 되므로 보통의 공격으로는
대미지를 입히기가 어렵다.
정글 등의 열대지방에서 산다.


버서커(BERSERKER)
몬스터가 아니라 사람이다. 직역을 하면 광폭한(용맹스러운) 전사가 된다. 즉,
오로지 싸움만을 생각하는 파이터를 말한다.
싸우는 데 능숙하므로 같은 무기라도 상대방에게 보통 이상의 대미지를 가할 수
있고, 공포심이 없으므로 아무리 불리한 상황이라도 도망가지 않고 최후까지 싸
운다(언데드 몬스터처럼).


블랙 푸딩(BLACK PUDDING)

푸딩이란 말은 소맥분을 재료로한 젤리 형태의 음식을 말한다. 그러나 여기서의
푸딩은 음식이 아니라 흐물흐물한 몬스터를 말한다. 슬라임과 비슷한 느낌인데,
몸 크기는 3미터 정도 되며 히트포인트도 5배 가까이 된다.
블랙 푸딩은 몸이 상당히 유연하여 아주 미세한 틈새도 빠져나갈 수 있다.
더구나 그 타액은 나무와 금속을 녹이는 효과가 있다. 에를 들어 CHAIN MAIL도
한 번의 전투로 녹여 버리는 힘을 가지고 있다.
방어능력도 매우 뛰어나므로 마법의 LIGHTING BOLT(電光), COLD(추위) 계통의
마법은 전혀 효과가 없다. 그러나 FIRE의 마법에는 대미지를 입는다.
이름은 블랙이지만 블루, 브라운, 화이트 등의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색에 따른 능력의 차이는 전혀 없다.


블링크 도그(BLINK DOG)

외형은 보통의 개이지만 텔레포테이션(순간이동)이라는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별로 넓지 않지만, 전투중에 그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가 있다.
공격시에 상대방의 뒤로 이동하여 방어가 허술한 틈을 노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텔레포테이션이 반드시 성공하는 것만은 아니다.
블링크 도그는 온순한 성격이므로 공격을 먼저 걸어 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새끼는 매우 귀중하므로 상당히 고가에 팔린다.


블러드웜 G(BLOODWORM GIANT)

블러드웜이란 지렁이를 말한다. 보통은 10센티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몬스터로
등장하는 지렁이는 몸 길이가 몇 미터나 된다. 그러나 아무리 커도 지렁이는 역
시 지렁이, 어차피 사람을 습격하는 따위의 공격은 상상할 수도 없다.
그러나 이 블러드웜은 다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피를 빨아먹는 몬스터
인 것이다. 이 블러드웜에게 공격을 받아 대미지를 받으면 피를 빨려 체력(STR)
과 내구력(CON)이 없어지게 된다.
서식장소는 습기가 어느 정도 있는 어두운 곳이다. 그러나 물 속에서는 살지 못
한다.


보글(BOGLE)

BOGGLE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고블린의 스코틀랜드어의 변형이다.
즉, 보글도 보글린과 같은 귀신 종류의 몬스터이다.
전설에서는 보글이 단지 귀신으로 취급되고 있으며 이렇다 할 특징이 없다. 그
러나 RPG에서는 귀신 집단의 소형 몬스터로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
고 있다.
즉, 고블린에 비해 지능 정도가 낮으며 회화능력도 없다. 무기, 방어도구 등도
당연히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그 반면에 고블린보다 민첩하고 히트 포인트도
높은 몬스터이다.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뿔로 받거나 이빨로 물어뜯는 정도의 공격을 하므로 별로
큰 대미지를 입히지 못한다. 그러나 나무에 올라가는 것이 능숙한 보글은 나무에
매달려 뒷 발로 상대방을 쳐서 대미지를 가하는, 매우 재미있는 공격방법을 사용
하기도 한다.
특별히 인간에게 적대감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난폭하고 공격적이므로 조
심하는 것이 좋다. 대화로 해결하려고 해도 말이 통하지 않으므로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브로(BROO)

생소한 이름의 몬스터이지만, 미술 교과서 등에서 그 모습을 본 적이 있는 사람
은 많을 것이다.
브로란 양의 머리를 한 인간으로, 서양에서는 악마의 화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양의 머리를 가진 인간이 악마와 관련되었다고 보는 것은 기독교와 관련이 있다.
기독교는 순종적인 신도를 표현하는 데 양을 즐겨 사용한다. 양의 온순함에 비
해 상대적으로 거칠은 염소는 신에게 대항하는 동물, 즉, 악마의 동물로 자주 사
용되기 때문이다.
중세가 되면 브로는 단순한 이미지상의 악마가 아니라 마녀의 우두머리로 등장
한다. 브로는 매우 노련하게 마법을 사용하며, 힘이 세고 인간처럼 무장을 해서
공격한다.
악마로서의 이미지가 강한 브로는 매우 흉악하며 용서를 모르는 몬스터이다.


브라우니(BROWNIE)

스코틀랜드에 전해져 오는 요정의 하나. 요정이라고 해도 소인이며, 키가 인간
의 약 1/4 정도밖에 안된다.
스코틀랜드에서 브라우니는 깨끗한 요정으로, 가족이 잠든 사이에 부엌을 정돈
하거나 접시를 닦아 놓는다고 한다.
인간에게는 호의적이므로 이쪽에서 먼저 공격하지 않는 한 절대로 먼저 공격해
오지 않는다. 만일 공격을 받아도 부라우니는 소인이므로 대미지가 거의 없다.
그러나 매우 날렵하므로 공격을 잘 피한다. 마법도 사용하지만 상당히 미약하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일 뿐이다.
물론 브라우니는 마법을 사용할 정도이므로 머리가 매우 좋으며 사람의 말도 알
아 듣는다. 만일 브라우니를 만났을 경우에는 우호적으로 말을 거는 편이 좋을
것이다.


버그베어(BUGBERAR)

곰의 일종인 것 같지만, 사실은 고블과 같은 귀신의 일종이다. 고
블린보다 대형으로, 약 2배 정도 더 크다. 고블린과 다른 점은 햇빛을 무서워하
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점은 귀신 종류로는 상당히 특이한 것이다.
또한 조용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기습공격을 가하는 것이 주특기이다. 나타날
때는 고블린과 코볼드 등의 소형 귀신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공격할 때는 인간과 같은 무기를 사용한다.


카벙클(CARBUNCLE)

카벙클이란 붉은 보석, 즉 자크라돌 혹은 루비를 가리킨다.
보석의 이름이 몬스터의 이름이 된 까닭은 16세기경 남미의 스페인 사람이 어느
동물에게 카벙클이라고 이름붙인 것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이다. 그 동물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알 수 있는 것은 그 동물의 머리에
붉은 보석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이 보석을 가진 사람은 부와 행복을 약속받는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 동물을 찾
으려고 남미의 정글을 온통 다 헤집고 다닌 사람도 많다고 한다. 그러나 이 동물
을 발견한 사람은 아직까지 없다.
RPG에 나오는 카벙클도 매우 흔치 않은 동물로 알려져 있다. 만일 발견할 수 있
다면 쓰러뜨리는 일은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 머리에 붙어 있는 보석을 입
수할 수만 있다면 향후 부와 행복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캐리온 크롤러(CARRION CRAWLER)

이 몬스터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것은 바로 호랑나비의 유충
이다. 크롤러의 색깔은 녹색이지만 찌르면 오렌지색의 뿔(?)을 내미는 나비의 유
충이다.
즉, 캐리온 크롤러는 녹색에다 입 주위에 오렌지색의 촉수가 몇 가닥 붙어 있는
거대한 유충이다.
유층의 뿔이 상대방을 놀라게 하기 위한 것인 데 비해 캐리온 크롤러의 촉수는
먹이를 잡아먹기 위한 것이다. 이 촉수에 닿아 마비가 된(PARALYZE) 사이에 먹이
를 잡아먹는 것이다.
캐리온 크롤러에는 역시 유충답게 촉수 외에 달리 공격할 만한 무기가 없다. 그
러나 어디라도 돌아다닐 수 있는 흡반 상태의 발은 의외로 쓸모있는 경우가 많
다. 천정 등에 붙어 있다가 느닷없이 머리 위에서 공격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나는 울티머 I에서 그 무서운 눈과 마주친 적이 있다).
캐리온 크롤러의 피부는 별로 딱딱하지 않다. 그러나 머리는 딱딱한 각질로 덮

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던전 등의 어두운 장소에서만 서식한다.


카토블레파스(CATOBLEPAS)

카토블레파스는 그리스어로 '고개숙인 자'라는 뜻이다.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
는 움직이는 것이 너무 느리고 머리가 무거워서 긴 목으로는 도저히 지탱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카토블레파스가 잘 움직일 수 없는 점이 상대방에게는 유
리할 것이다.
이 카토블레파스는 바질리스크와 코카트라이스처럼 그 눈을 본 상대를 돌로 변
하게 만드는 능력이 있다. 카토블레파스가 이러한 능력을 가지게 된 것은 바질리
스크 등의 몬스터를 알고 있었던 고대인이 누의 모습을 보고 착안한 것이라고 한
다.
상대방을 눈으로 죽이는 공격방법이 가장 강력하지만, 몸 중에서 유일하게 가장
빨리 움직이는 꼬리도 또한 유효하다.
서식장소는 역시 습지대이다.


케이브맨(CAVEMAN)

번역하면 혈거인(穴居人)이 된다. 특별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원시인 같은 느낌인데, 동굴 등에서 살며 지능이 낮
다. 무기를 사용해서 공격하는데, 무기로는 곤봉(CLUB)이나 나무 창 등을 주로
사용한다. 따로 방어장비를 가지고 있지는 않으며, 천으로 몸을 감고 있는 정도
이다.
어두운 곳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피부 색이 희며 어둠을 꿰뚫어보는 능력
(INFRAVISION)이 있다.
게임에서는 파이어크리스탈에 나오는 몬스터이다.


켄타우로스(CENTAUR)

반어인(半漁人), 우주인 및 중간 종족이 이 켄타우로스이다. 상반신은 인간, 하
반신은 말이라는 균형있는 모습을 한 이 몬스터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한다.
켄타우로스의 출생에 관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잘 알
려진 이야기는 테사리아의 왕 이크시온과 제우스가 유노의 모습과 닮게 만든, 구
름과의 사이에서 난 아이라는 것이다.
켄타우로스는 인간과 접촉하는 것이 허락되어 있으므로 인간에게는 우호적이다.
그러나 원래 성격이 난폭하여 문제를 자주 일으킨다. 그 중에서도 라피테누족과
의 전투는 유명하다.
결혼식에 초대된 켄타우로스들은 술을 마시는 것이 처음이었다. 술에 취해 신부
에게 난폭하게 굴려고 하자 이에 화가 난 라피테누족과 싸움이 벌어졌다. 물론
켄타우로스족 모두가 그렇게 난폭했던 것은 아니다.
의학, 수렵 등에 능통하며, 아킬레우스와 이어손을 제자로 거느리고 있던 케이
론은 그 우수함과 공정함을 인정받아 사후에 성좌(星座)가 되었다. 이것이 사수
좌(射手座)이다.


大무가데(CENTIPEDE GIANT)

대무가데(지네)라고 해도 실제로는 40~50센티밖에 안된다. 그러나 얕잡아 보고
덤벼서는 안된다. 지네는 독을 가지고 있으므로 만약 대미지를 입게 되면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히트포인트는 강하지 않으며, 박쥐(BAT) 정도이다.
어느 곳에서나 다 출현한다.


켈베로스(CERBEROS)

켈베로스란 '지옥의 파수꾼'이라고 불리는 몬스터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되
었다. 영웅 헤라클레스는 12가지 난행의 마지막에 하데스가 지배하는 저승세계의
입구를 지키는 켈베로스를 지상으로 데려왔다. 그것이 이 몬스터이다.
그 모습은 기본적으로 개와 같지만, 3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고 목 주위에서 무
수한 뱀이 달려 있으며 뱀의 꼬리를 하고 있다. 가운데 머리에는 독이 있으며,
각각의 머리의 눈에는 상대방을 노려보기만 해도 돌로 변하게 만드는 능력이 있
다. 이 머리들의 공격능력은 매우 높으며, 1회의 공격으로 보다 차원 높은 캐릭
터라도 죽일 수 있는 힘이 있다.
방어능력은 트롤과 마찬가지이며, 상처를 입어도 빠른 시간에 회복된다. 헤라클
레스는 이 켈베로스가 지칠 때까지 목을 졸라 무찔렀다고 한다.
지옥에 살고 있으므로 굳이 자신이 지옥에서 이 몬스터를 데려오지 않는다면(헤라
클레스처럼) 이 몬스터와 만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캐론(CHARON)

캐론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지옥세계의 강을 건네주는 사공이다. 일본식으로
말하면 지옥의 입구에 있는 三途川의 사공이라고 할 수 있다. 캐론은 긴 수염을
늘어뜨리고 더러운 옷을 입은 초라한 노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지옥세계의 강(여담이지만, 록 그룹 STYX는 이 강을 가리킨다)을 건네주는
요금이 1오로보스였으므로 옛날 그리스에서는 죽은 자의 입에 1오로보스의 동화
(銅貨)를 입에 물리는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캐론은 수수한 존재이지만 그리스 신화에는 의외로 자주 등장한다. 지상에 나오
기 전에 아내의 모습을 본 오르페우스가 아내를 다시 보려고 했을 때 이것을 거
절한 것이 캐론이었다.
또한 푸시케가 아프로디테의 명령을 받아 지옥세계의 페르세포네(지옥세계의 왕
하디스의 왕후)가 있는 곳에 화장품을 받으러 갔을 때에도 캐론은 등장한다.
그밖에도 여러 가지 예가 있겠지만, 살아 있는 사람이 어떤 이유로든 지옥세계
에 떨어졌을 때 반드시 만나게 되는 것이 이 캐론이다.
지옥을 다스리는 사람의 하나이므로 역시 악마 같은 인상이 있다. 실제로 RPG에
서 캐론은 매우 강력한 데몬의 하나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강력한 마법을 사
용하기 때문에 노인임에도 불구하고 힘이 매우 세다고 알려져 있다.


키메라(CHIMERA)

키마이라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키메라의 모습에 대해서는 2가지 설이 있다.
몸의 앞 부분은 사자, 가운데는 염소, 뒷 부분은 큰 뱀, 혹은 용이라는 설과 일
러스트처럼 염소, 사자, 용의 3가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사자의 상반신, 용의
날개, 염소의 하반신을 가졌다는 설이 있다. 어느 쪽도 모두 불을 뿜어내는 무서
운 몬스터이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몬스터로, 류키아 거리를 휘젓고 다니는 것을 그라우코
스의 자식 페레로폰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말 페가수스(후술)의 도움을 받아 퇴치
시켰다는 이야기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바보 같은 모습을 한 몬스터를 잘 만들어 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
다. 그 유래에 대해서는 류키아 거리의 화산을 모토로 했다는 설-불을 뿜어내며,
산기슭에는 큰 뱀, 중턱에는 염소, 정상 근처에는 사자가 살고 있었기 때문-과,
용, 염소, 사자의 모습을 한 해적선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모두 무서
운 몬스터로서 불길, 이빨, 날개 등의 무기를 가지고 있다.
게임에서는 위저드리의 깊은 지하에서 자주 출현하는 몬스터이다.


촌촌(CHONCHON)

어쩐지 기분나쁘게 생긴 몬스터인 이 촌촌은 귀를 날개로 한 인간이 하늘을 나
는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 이러한 이름이 붙은 까닭은 하늘을 날으면서 '촌촌
(딱, 딱)'이라고 기분나쁜 울음소리를 내기 때문이라고 한다.
촌촌은 원래 아르헨티나, 페루 등 남미 여러 나라의 전설에 등장하는 몬스터이
다. 그 전설에 따르면 촌촌은 마법을 사용하는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마법을 사
용하지 않고는 그 모습을 볼 수 없다고 한다. 보통은 소리밖에 들리지 않으며 그
존재를 알아채기는 힘들다고 한다.
RPG에서도 촌촌은 마법의 힘을 가진 몬스터로 등장한다. 그 공격으로 대미지를
입게 되면 상처는 없으나 그 캐릭터가 가진 마법을 잃어 버리게 된다(MAGIC
POINT DRAIN).
모습을 볼 수 있으면 촌촌을 쓰러뜨리는 것이 쉽지만, 그 모습을 볼 수 없는 것
이 문제이다. 일설에는 솔로몬의 표시를 한 마법을 사용하면 촌촌을 지상으로 떨
어뜨릴 수 있다고 한다.
출현장소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활동하는 것은 밤, 그것도 달이 없는 깜
깜한 밤에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한다.


코카트라이스(COCKATRICE)

사막에 살고 있는 뱀의 왕 바질리스크를 일컬어 코카트라이스라고 부르는 경우
도 있는데, 그 구별은 확실치가 않다. 여기서는 새 모양을 한 코카트라이스에 대
해 설명하겠다.
열대지방에 사는 이 새는 일러스트를 보면 상당히 클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닭 정
도의 크기밖에 안된다. 그러나 체력은 상당히 강하므로 일격에 쓰러뜨리기는 힘
들다.
코카트라이스의 공격방법은 부리를 사용하는 것뿐인데, 이것으로 공격을 받아도
상처를 입지 않는다. 그러나 코카트라이스의 몸에 직접 닿은 사람은 돌로 변해
버린다.
바질리스크는 자신을 본 상대방을 돌로 변하게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뱀의 머리털로 유명한 메듀사의 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코카트라이스의 특징이기도 한 긴 꼬리는 뭔가 도움이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아무 쓸모가 없다.


코아틀(COUATL)

코아틀은 남미의 아스테카 문명의 신의 하나로, 거대한 뱀의 등에 날개가 나 있
는 모습을 하고 있다. 신이라는 것만 봐도 선량한 몬스터이다. 당연히 인간의 말
을 할 수 있으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신화 부분에서 아스테카 관련
신화는 소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신화와 마찬가지로 아스테카의 신도 위대한 힘
을 가지고 있다.
코아틀의 공격방법은 주로 마법, 그것도 강력한 마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벰의
특징이기도 한 독이 묻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코아틀에게 공격을 받으면
아무리 노련한 집단이라도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된다. 상대가 선량한 몬스터이므
로 온순하다고만 생각하면 큰 코 다친다.


그래브 G(GRAB GIANT)

그래브 G는 대형 게이다. 몸의 크기가 2미터 가까이 되며, 2개의 가위도 그것에
비례해서 커진다.
공격할 때는 커다란 가위를 사용하여 공격한다.
서식장소는 물가, 특히 숨을 장소가 있는 모래땅이나 모래사장인 경우가 많은
데, 모래땅에서는 눈만 내놓고 먹이를 기다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크로커다일(CROCODILE)

크로커다일은 악어의 일종이다. 악어 중에서도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악어를 말
한다.
미국 남부와 중국에 있는 악어는 알리게이터(ALLIGATOR)라고 하며, 인도에 사는
것은 게이비얼(GAVIAL)이라고 부른다. 몸의 형태와 크기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정글에서 악어를 만나게 되면 총이 있는 현대에도 위험한데, 하물며 칼이나 화
살밖에 없는 RPG의 세계에서 악어는 더할나위없이 위험한 동물이라고 할 수 있
다.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는 입과 긴 꼬리를 사용해 공격해오는 데다 몸은 딱
딱한 각질로 덮혀 있으므로 쉽게 쓰러뜨릴 수 없다.
서식장소는 당연히 물가이다. 보트 등으로 이동할 때나 물가에 다가갈 때 가장
조심해야 할 몬스터 중의 하나이다.


크로 G(CROW GIANT)

크로는 까마귀를 말한다. 전세계에는 수십 종의 까마귀가 있다. 그 중 유명한
것으로는 하시보소 까마귀(CARRION CROW), 시야마 까마귀(ROOK), 와타리 까마귀
(RAVEN), 베니하시 까마귀(CHOUGH) 등이 있다. 이것들을 일일이 다 설명할 수는
없고, 여기서는 까마귀의 총칭인 크로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까마귀는 옛날부터 불길한 새로 알려져 왔지만, 북유럽의 신화에서는 오딘의 신
하로서 그날 그날 본 세계를 보고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것을 보면 까마귀가
머리가 좋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교활하다는 이미지가 더 강하다.
까마귀가 인간을 습격한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데, 영화 '오멘'에서도 까마귀
는 악마의 사자로서 인간을 죽이고 있다.
그러나 보통의 까마귀는 상대방이 약자이거나 죽은 사람이 아니면 습격하지 않
는다.
공격방법은 보통의 까마귀와 마찬가지로 부리와 발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인간
의 머리 위에 올라가 눈알을 쪼는 공격이 영화 등에서 보면 가장 일반적이다.
까마귀에게는 빛이 나는 물건이 있으면 그것을 모으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까마
귀 둥지 속을 보면 깡통 뚜껑 따위가 들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RPG의 세계에서는 까마귀 둥지 속에서 보석 등이 들어 있을 가능성이 높
다. 만약 둥지를 발견하면 까마귀가 없는 사이에 꺼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까
마귀가 있다면 물론 틀림없이 필사적인 공격을 받겠지만...
까마귀는 야행성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역시 새의 눈인 탓에 어둠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활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사이클로프스(CYCLOPS)

큐클로프스라고도 불리는 이 몬스터는 외눈박이 거인이다.
원래 사이클로프스는 '둥근 눈'이라는 뜻인데, 이것은 사이클로프스의 얼굴 한
가운데에 눈이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 신화의 오딧세우스의 모험에 등장하는 몬스터로, 오딧세우스 일행이 트
로이 전쟁 후 자신들의 나라로 돌아가는 길에 들렸던 섬(현재의 시실리섬)에 살
고 있다고 전해지는 몬스터이다.
식량과 물을 보급하기 위해 오딧세우스가 상륙했을 때 그들은 동굴 하나를 발견
했다. 안에 들어가 보니 양이 사육되고 있었으며 버터 등이 놓여 있었다. 나중에
사이클로프스가 돌아와 오딧세우스 일행을 그곳에 가두어 버렸다.
오딧세우스는 뭔가 이야기를 건네려고 했지만 그 사이에 동료들은 하나 둘씩
잡아먹혔다. 이에 오딧세우스는 계략을 짜서, 사이클로프스에게 술을 먹여 잠든
사이에 눈에 나무말뚝을 박았다.
오딧세우스는 일단 탈출에 성공했지만 사이클로프스는 죽지 않고 배로 도망친
오딧세우스 일행을 향해 거대한 바위를 던졌다고 한다.
결국 오딧세우스 일행은 탈출에 성공했는데, 이 이야기에서 사이클로프스에 관
한 몇 가지 특징적인 사항을 발견할 수가 있다.
즉, 우선 양을 키운다는 점과 인간의 언어를 쓰며 인간을 잡아먹는다는 것, 눈
이 급소라는 점(죽지는 않지만) 등을 알 수 있다.
이 이야기를 보면 일본의 옛날이야기에 나오는 귀신과 상당히 많이 닮은 것 같
다(특히 술을 권하여 잠들게 하는 것 등이 매우 닮았다).
공격방법은 곤봉이나 바위 등을 던지는 것이다. 오딧세우스의 모험에서도 오딧
세우스의 동료는 벽에 던져져서 죽었는데, 이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이클로프
스는 결국 힘만 센 몬스터라고 할 수 있다.
사이클로프스는 사물을 만드는 신 헤이파스토스의 심부름꾼으로서 망치로 때리
는 모습이 유명하다. 이 사이클로프스는 몬스터라기 보다는 반신(半神)에 가깝
다.



데블, 데몬(DEVIL, DEMON)

데블과 데몬을 구별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현재는 양자 모두 악마라고 불리지만, 옛날에는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여
기서는 우리가 관찰한 데블과 데몬의 차이점을 살펴보겠다.
데블은 신과 대적하는 존재로서 천국에서 쫓겨난 천사장(天使長) 루시퍼가 인솔
하고 있다. 기독교가 확상됨에 따라 비천한 존재, 신의 존재를 위협하는 것 등,
기독교에서 상황이 나쁜 것 등은 모두 데블의 탓으로 되어 있다.
즉, 데블=신에 대적하는 존재=몬스터인 것이다.
한편, 데몬은 데블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이다. 기독교에만 국한되지 않고,
어떤 지역의 인간들에게 자신들이 믿고 있는 신을 믿게 하는, 즉 개종시키려는
수단으로서 그 때까지 그 지역의 사람들이 믿고 있던 '신'을 악마적인 존재로 만
들어 버린 신이 데몬이라고 한다.
데블을 보통 '악마'라고 쓴다면 데몬은 원래 '악신(惡神)'이라고 쓰는 것이 정
확하다. 즉, 데몬=타종교의 신인 것이다.
그럼, 데블과 데몬의 특징을 설명해 보자.


데블(DEVIL)

악마의 존재는 옛날부터 여러 나라에서 얘기되어 왔지만, 그 대부분은 악마라기
보다는 신에 대적하는 신, 즉 데몬이었다. 신에게 확실하게 대적하는 존재로서의
악마인 데블이 등장한 것은 기독교가 확산되고부터이다. 기독교 신자가 많은 서
구에서는 데블이 신에게 대적한다는 것만으로도 두려운 존재가 된 것이다.
그러한 사고방식이 없는 일본에서 데블과 같은 존재를 이해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지옥의 왕 엠마대왕도 다만 지옥을 지배하면서 죽은
자들을 다스리는 존재이며 신에게 대적하는 존재가 아닌 것을 봐도 분명히 알 수
있다.
악마 중에서는 데몬처럼 원래는 다른 종교의 신이었던 것도 있다. 그러나 기독
교가 확산됨에 따라 그러한 내력은 잊혀졌다.
이 악마가 가장 활발하게 활약했던 것은 중세 유럽에서였다. 기독교가 세계를
널리 강타했던 시대는 또한 마녀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대이기도 하다. 이
마녀를 조정했던 것이 악마였다.
악마 중에서도 하급 악마는 인간과 같은 모습에다 뿔이 난 머리, 앞에 가시가
돋힌 꼬리를 가지며, 거대한 포크를 무기로 가지고 있다. 옛날부터 서양의 미술
작품 등에 자주 등장하는 것이 이 악마이다.
이러한 악마의 역할은 오로지 상급 악마의 명령을 받아 인간을 괴롭히는 일이었
다. 따라서 강력한 힘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수가 많은 데다 하늘을 날 수 있으므로 싸우게 되면 불리하다.
언제나 마녀의 주위에 항상 따라다니는 임프도 하급 악마의 일종이다.
분명하게 악마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이 하급 악마 정도이며, 다른 악마의
모습은 확실치가 않다. 악마의 왕이라고 불리는 상급 악마에게는 명확한 모습이
있지만, 그밖의 악마는 몇 천, 몇 만 종류나 있으므로 세계적인 악마 연구가라도
그 전모를 다 알 수는 없을 것이다.
악마가 사는 곳은 수차례 말한 것처럼 지옥이다. 그러나 이 지옥에 대해서도 여
러 가지 설이 있다. 일반적으로 서구에서 지옥이라고 부르는 장소는 세 군데가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하데스가 지배하고 있던 저승세계(그 이름을 따서 하데스라고
부른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그리스 신화의 저승세계의 밑에 있으며 티턴 신족
(神族)이 유폐되었던 장소로 잘 알려진 탈라로스, 그리고 성서 속에 등장하는 게
헤나(예루살렘 근처에 있다)가 그것이다.
그럼, 저 유명한 악마에 대해 설명해 보자. 유명한 악마란 악마의 세계를 다스
리는 상급 악마를 말하는데, 보통 악마의 왕이라고 부르는 사탄도 이에 속한다.
각각의 고유명사가 있고 독자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점은 마법을 사용
하는 것이 주특기이고 어떤 마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투에 있어서 강력
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이 상급 악마에게는 마법이 걸린 무기를 사용해도 대미지를 입힐 수가 없다.
이 악마를 자기 편으로 하기 위해서는, 매우 위험하긴 하지만 혼을 팔아 넘기면
된다. 마치 파우스트 박사가 메피스토펠레스에게 혼을 팔아 넘긴 것처럼 말이다.
또한 이 악마를 불러내려면 특수한 도형과 주문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것을 간단
히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유명한 악마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사탄(SATAN)

사탄이란 헤브라이어로 '적'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원래 천국에 살던 사탄이 루
시퍼가 신에게 반역했을 때 반역군의 사령관이 된 데서 유래한다. 그리스도가 죽
어서 지옥에 내려왔을 때 이것을 두려워한 지옥의 악마들은 사탄을 쫓아 버렸다
고 한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사탄은 세간에서 말해지는 것처럼 특별한 악마는 아니
다. 일설에는 지옥에서 세번째로 높은 악마라는 이야기도 있다.
사탄의 신장은 비정상적으로 큰데, 자그마치 4만 피트나 된다고 한다.

루시퍼(LUCIFER)

사탄 항목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루시퍼는 악마의 대명사로 불리는 사탄을 만들
어 낸 원인을 제공한 악마이다. 그러나 루시퍼가 악마로 활약했다는 이야기는 거
의 없다. 오히려 루시퍼는 악마의 이미지로서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개성이
있는 특별한 존재는 아닌 것 같다.

벨제부브(BEELZEBUB)

시리아.페리시테인들 사이에서 신으로 추앙받고 있던 벨제부브는 하에를 살해한
신으로 숭상되어 왔었다. 그러나 기독교에 의해 하에를 살해한 신이 아니라 하에
의 모습을 한 악신이 되어 버렸다.
벨제부브는 성서에서 더 나쁜 인상을 가진 몬스터로 나와 있다. 악령의 우두머
리, 악마 가운데 두번째의 실력자(혹은 첫번째) 등의 호칭을 가지고 있다.
악마로 의인화되었던 벨제부브는 하에의 인상을 강하게 남기고 있으며 특히 눈
이 하에와 똑같다.

메피스토펠레스(MEPHISTOPHELES)

독일의 전설에 등장하는 유명한 악마이다.
괴테의 '파우스트'에 등장하는 악마로 이미 알고 있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과
학자이면서 마법을 배웠던 파우스트 박사는 메피스토펠레스를 불러내어 악마와의
계약을 실행한다. 이 이야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메피스토텔레스는 마법을 매우
노련하게 쓸 줄 아는 악마이다.

아스모데우스(ASMODEUS)

유태인들 사이에 널리 전해지고 있는 악마의 왕이다. 이 악마는 성서에서도 그
대로 등장하며, 악마의 왕으로 군림한다. 모든 악마는 아스모데우스의 부하라고
할 수 있는데, 사탄, 벨제부브 등과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다.

몰록(MOLOCH)

구약성서에 나오는 세무족의 신의 이름이다. 몰록을 신봉하고 있었던 사람들은
이 신을 달래기 위한 제물로서 어린아이들을 태워서 바쳤다고 한다. 이 잔혹한
행위 때문에 몰록은 두려운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베리얼(BELIAL)

루시퍼와 함께 천국에서 추방당한 악마 중의 하나. 원래는 천사였으므로 외모는
아름답고 우아하며 위엄이 가득 차 있다고 한다. 그러나 외모의 아름다움과는 정
반대로 마음이 사악하며 지옥에서 가장 비천한 존재라고 한다.
구약성서에서 신에게 멸망당한 거리로 잘 알려진 소돔에서 신봉되고 있다는 설
도 있다.

그밖의 악마로는 드래곤이 있다. 사악한 드래곤의 왕인 티어맷도 악마의 일종이
다.
또 그리스 신화에서 복수의 여신으로 불렸던 에리뉴스(ERINYES)도 악마이다. 에
리뉴스는 여자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날개가 달렸고 머리카락이 뱀인 무서운 형
상을 하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클레스에게 소를 도둑맞았던 게류온도 악
마의 일종이다.


데몬(DEMON)

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데몬은 원래 신이었다. 따라서 데블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데블이 하급 전투원을 거느리는 데 비해 데몬은 따로 전투원을 거느리지 않으
며, 그 추종자인 반신(半神)이 호위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스 신화에서 악마로
취급되는 것도 데몬이지만, 여기서 말하는 데몬과는 조금 다르다.
데몬의 발상지는 동양이라고 한다. 아마도 기독교가 서양에서 동양으로 확산되
는 과정에서 동양의 이교도(異敎徒) 신들이 데몬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페르시아
의 악의 신 알리만 등도 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일설에 의하면 데몬은 옛날에 신과 사람 사이에 있으면서 신이 전하고 싶
은 것을 인간에게 전해 주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
데몬은 전투에 있어서 실패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무기에 의한 공격으로 대
미지를 입는 경우는 거의 없다. 반대로 데몬이 무기를 사용해 공격해 오는 경우
도 적지만...
데몬은 주로 마법을 사용하여 공격한다. 사악한 신이라고 말해지는 것처럼 사악
한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에 대해서는 가차없이 공격해 온다.
그럼, 그 유명한 데몬을 살펴보자.

서큐버스, 인큐버스(SUCCUBUS, INCUBUS)

나이트메어의 일종인 서큐버스는 별로 세지 않으므로 데몬이 되어 버렸다.
서큐버스는 여자, 인큐버스는 남자 데몬을 가리킨다. 서큐버스는 밤에 최고의
남자의 정액을 훔치는 데몬, 인큐버스는 서큐버스로부터 정액을 받아 최고의 여
자에게 그 정액을 주입하는 데몬이다.
현재의 RPG에는 이러한 장면이 없으며, 오로지 생명력을 빨아들이는 형태로만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밤에 나타나는 몬스터의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데모고곤(DEMOGORGON)

유럽의 고대 말기에 등장했던 신. 이 신은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공포의 대상이
었다.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그 모습이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고 있다. 따라서 데모고곤의 모습을 특정지을 수는 없다. 일설에는
인간의 모습과 조금도 닮지 않았으며 강력한 마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마네스(MANES)

그리스 신화 시대의 영혼의 호칭이기도 한 마네스는 죽음의 신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바뀜에 따라 죽은 자의 영혼과 신을 합친 것 같은 데몬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따라서 마네스는 신이라기 보다는 몬스터에 가까운 존재이다.

이 외에 데몬이라고 불리는 몬스터로는 인도의 악령 디바(DEVA),이슬람교의 진
의 두령 에블리스(EBLIS), 페리시테인의 바다의 신 다곤(DAGON), 아스타로스 등
이 있다.



데루비시(DERUVISH)

데루비시란 이슬람교의 수도승을 가리킨다. 각지를 순회하면서 집집마다 탁발을
하는 것이 일이다.
밴디츠가 파이터 집단이라면 데루비시는 승려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밴디츠가 악마의 집단이라면 데루비시는 선인(善人)의 집단이라는 점도 다르다.
따라서 이쪽에서 먼저 데루비시에게 공격을 가하지 않는 한 전투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데루비시와 흥정을 하여 마법(HEALING)을 받는 편이 이익일 것이다. 데루비시와
마주치게 되는 곳은 큰 길가이다. 흥정할 때는 식량 등과 교환하도록 하면 이야
기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디노사우르스(DINOSAUR)

고대에 살았던 대형 파충류, 즉 공룡을 말한다. 갑각이 있는 것, 발이 빠른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여기서 다 소개할 수는 없다.
공통점은 모두 커다란 파충류라는 것이며, 불을 뿜는다든가 독을 사용한다든가
하는 특별한 공격방법은 없다육지, 바다, 하늘 등 거의 모든 장소에 까지 미치지만 게임 설
정이 특수하지 않는 한 게임중에 출현하는 일은 거의 없다.


도그(DOG)

인간의 애완용 동물로 길러지는 개도 몬스터로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몇 가지
종류를 살펴보겠다.
우선 인간의 명령에 따르는 개의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 전투용 개(WAR DOG,
ATTACK DOG)가 있다. 이것은 토좌견(土佐犬) 같은 투견을 상상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들개, 미친 개, 광견병에 걸린 개(WILD DOG, MAD DOG)라는 이미지가 있
다.개의 공격방법은 역시 이빨로 물어뜯는 것일 것이다. 개는 어느 곳에서나 출현
한다.


도펠겡거(DOPPELGANGER)

도펠겡거란 독일어로 '이중으로 걷는 자'라는 뜻이다. 즉, 자신의 분신을 가리
키는 것이다. 자신의 분신이라는 사고방식은 옛날부터 여러 나라에서 전해지고
있는데, 그 대부분은 죽음과 관련된 것이다.
즉, 자신의 모습을 본다는 것은 죽음이 임박했다는 징조이다. 이것을 몬스터로
한 것이 도펠겡거이다. 생긴 것은 인간의 모습과 똑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인간
과 만나면 그 인간과 똑같은 모습으로 변한다.
도펠겡거는 쓰러뜨린 상대를 대신하여 파티에 참가하기도 하므로 조심해야 한
다. 복수로 출현하는 경우도 있다.

드래곤(DRAGON)

RPG뿐만 아니라 환타지의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몬스터가 이 드래곤이다. 드래곤은 서양뿐
만아니라 동양(일본의 용의 신처럼)에서도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몬스터다. 드래곤의 전설
을조사하다 보면 그 많은 숫자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리스 신화에도 황금 양의 모피의
전설가운데 모피를 지키는 역할을 가진 잠을 모르는 드래곤이 출현한다. 그러나 그리스 신
화 시대에는도마뱀을 닮은 거대한 동물이면 모두 드래곤이라고 불렸으므로 그 당시의 드래
곤이 현재의드래곤과 같은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헤라클레스가 퇴치했다고 하는 드
래곤은 히드라였다.북유럽 신화에는 인간의 영웅 시굴트가 드래곤을 퇴치했다는 전설이 남
아 있다. 이 이야기 속에는드래곤의 특징이 몇 가지 나와 있다. 먼저, 드래곤의 피를 마시면
동물과 이야r기를 할 수 있게된다. 마법 중에 동물과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있을 정도이니
드래곤의 피에는 마법의 힘이 들어있다는 것일까? 드리틀 선생도 깜짝 놀랄 것이다. 또한
드래곤으로부터 약을 얻는다는 이야기도상당히 많이 있다. 플리니우스는 드래곤의 눈알을
말려 벌꿀과 혼합하면 악몽에 잘 듣는 약이된다고 한다. 어느 것이든 드래곤의 몸에는 마법
이 걸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죽으로 만들어진드래곤의 옷은 어떤 공격도 물리칠 수 있으
며, 드래곤 슬레이어라는 이름의 마검은 드래곤을 죽인검으로 후세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또
한 드래곤은 실제로 마법을 사용한다고도 한다. 예를 들어 시굴트가 죽인 드래곤은 죽는 순
간에 자신의 보물에 주문을 걸었다. 이 주문 때문에 시굴트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을 정도이다. 보물을 지키려고 한 드래곤의 집념은 굉장한 것이다. 그리
스신화에서 황금 양의 모피를 지키고 있던 드래곤도 단 한 순간도 잠을 자지 않았다고 하는
데,여기서도 자신의 보물을 목숨걸고 지키려는 드래곤의 성질을 잘 알 수 있다. 켈트 신화에
서도 '드래곤=보물을 지키는 자'라는 드래곤의 성질이 잘 나와 있다. 중국의 전설에 남아
있는 드래곤의 일종인 지하용도 지하에 묻힌 보물들을 지키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전설이
많으므로 드래곤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금은보화가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드래
곤은 보물을 좋아하여 그 보물을 얻기 위해서는 사람까지도 살해하며, 보물을 얻게 되면 우
호적으로 변하는 몬스터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는 '드래곤=몬스터'라는 관점에서 설명하
였는데, 세계 각지에 남아 있는 드래곤의 전설에는 '드래곤=신'이라는 이야기도 적지 않다.
이러한 이야기에는 인간보다 머리가 좋아 마법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드래곤의 현재의 특
징이 잘 나타나 있다. 신으로서의 드래곤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
하는 티어맷의 이야기(신화의 항 참조)일 것이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티어맷은 다른 신
들을 만들어 내는 근원적인 신이었는데, 어떤 이유로 다른 신들과 싸우게 되었다. 마지막으
로 알도크라는 신과 싸웠을 때 티어맷은 드래곤의 모습을 하고 싸웠다고 한다. 드래곤은 이
슬람교의 전설에도 등장한다. 신은 대지를 받드는 것으로서 천사를 만들었다. 이 천사를 받
드는 것으로 루비의 바위산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바위산을 받드는 것으로 바하무트라는
이름의 드래곤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바하무트는 드래곤이 아니라 거대한 고기였다는 설도
있는데, 북유럽 신화에서 우주나무의 뿌리를 베어먹었던 니드헤그라는 이름의 드래곤(독이
있다)과 닮았다고 한다. 신으로서의 드래곤을 가장 신봉하고 있었던 곳은 중국이다. 네 마리
영수 중의 하나로서(다른 세 마리는 봉황, 거북, 기린이다) 황제의 상징이었다. 중국의 드래
곤은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신의 궁전을 떠받치고 있는 천용 바람과 비를 관리
하는 신용, 강의 흐름을 지배하는 지용 등 모두 신을 도와 주는 드래곤이다. 이처럼 드래곤
이 신성한 존재로 남아 있는 곳은 중국뿐만이 아니다.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도 비슷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 일본의 '가구점 여자' 이야기에서 가구점 여자가 결혼 조건
으로 여의주를 가져 오라고 말한 것도 용이 신과 같은 존재이므로 쉽게 접근할 수 없기 때
문이었다. 이쯤에서 신화의 세계는 접어두고, 비주얼 측면에서의 드래곤을 소개하겠다. 드래
곤의 분위기를 실제로 알고 싶다면 영화 등에서 그 모습을 보는 것이 가장 빠를 것이다. 일
본 영화로는 고지라 시리즈에 나오는 킹기드라가 그 이미지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킹기들
러는 이 영화에서 괴수 중의 하나일 뿐이다. 서양 영화로는 뭐니뭐니해도 '드래곤 슬레이어'
가 최고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드래곤은 예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진짜(?) 드래곤을
보고 싶은 사람은 반드시 봐야 할
영화이다. 시그루트의 이야기도 영화화되었다. 그 영화 속에 나오는 드래곤은 공룡으로, 드
래곤의 이미지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다. 드래곤의 모습을 문자로 표현하자면, 거대한 도마뱀
에 뿔이 달리고 목이 길며 박쥐의 날개를 단 것이라는 표현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그리고
몸에는 쇠보다도 딱딱한 비늘이 달려 있고 손발에는 예리한 발톱이 있으며 끝이 두 개로 갈
라진 혀를 항상 날름거리고 있다.
이것이 서양에서의 드래곤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일 것이다. 그러나 게중에는 날개가 없는
드래곤이나 머리가 많이 달려 있는 드래곤도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드래곤은 날개가 없다.
말과 같은 머리에 몸은 뱀, 독수리 같은 발톱을 가진 4개의 다리, 사슴의 뿔, 악마의 눈을
가지고 있다. 중국의 드래곤은 진주를 좋아하여 반드시 진주를 가지고 있다고 전해진다. 중
국의 드래곤이 한 가지 종류밖에 없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
다고 한다.무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드래곤이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드
래곤 브레스일 것이다. 브레스란 호흡을 말하는데, 드래곤 브레스는 불길이나 가스를 뿜어내
는 능력을 말한다. 이렇듯 불을 뿜어낸다는 것은 몬스터를 무섭게 묘사하기 위해 옛날부터
자주 사용되는 수법이다. 이러한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의 드래곤에는 불 외에도 염소
가스나 냉동 가스를 토하는 것이 있다. 또 뿜어낸 가스가 날아가는 방법도 여러 가지 패턴
이 있다. 그 날아가는 방법은 가스의 성분에 따라 달라진다. 불길은 화염방사기에서 뿜어내
지는 것 같은 궤적을 그리며 날아가고, 기체에 가까운 가스의 경우는 뿜어낸 후 확산되어
피해를 입힌다. 전광 같은 브레스는 뿜어낸 후 직선 상태로 목표물을 향해 날아간다. 가스의
성분에 따라 브레스가 날아가는 방법과 대미지의 크기도 달라진다. 불길
처럼 방사 상태로 날아가는 브레스는 상대에게 가하는 대미지가 그렇게 세지도 약하지도 않
다. 가스처럼 확산되는 브레스는 많은 사람에게 대미지를 가할 수는 있지만 별로 대단한 것
은 아니다. 전광처럼 직선 상태로 날아가는 브레스는 하나의 목표밖에 공격할 수 없지만 그
대미지는 치명적이다. 드래곤은 명이 매우 길어 죽지 않는 한 몇 천 년이라도 살수 있다고
한다. 원래 머리가 좋은 데다 장년의 지혜가 축적된 결과 여러 가지 마법을 외우고 있다고
한다. 그 마법도 매우 강력한데, 심리적인 측면에 작용하는 마법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신화 등의 세계에서 드래곤은 마법을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마법보다는 변신하는 것을 주
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시그루트가 쓰러뜨린 드래곤 '파브닐'도 변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파브닐의 경우는 드래곤이 인간으로 변신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드
래곤으로 변신한 것이다. 중국의 드래곤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천인이 용의 모습을 하
거나 혹은 용이 천인의 모습을 하여 지상에 내려온다는 것이다. 드래곤이 사용하는 마법에
강력한 것이 많은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기독교는 단지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다는 이
유만으로 드래곤을 악마로 만들어 버렸다. 악마가 된 드래곤은 다른 악마와 마찬가지로 사
악한 마음, 높은 지능, 강력한 마법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독교의 전설 중에는 악마인
드래곤을 무찌르기 위해 성인이 활약한다는 이야기가 남아 있다. 기독교가 확산될 때까지
드래곤은 별로 사악한 몬스터가 아니었다. 중국의 드래곤이 신성한 몬스터였던 것처럼 서양
에서도 악마로 불리는 몬스터는 아니었다. 그러나 기독교의 영향으로 드래곤은 몬스터 중에
서도 가장 무서운 몬스터가 되어 버렸다. 공격방법은 앞서 소개한 브레스와 마법 외에 네
발의 발톱, 예리한 이빨이 나 있는 입, 털이 난 꼬리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공격방법들
은 모두 인간을 간단히 죽일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가진 것이다. 드래곤이 아무리 무서운
몬스터라 해도 항상 반드시 싸울 필요는 없다. 드래곤에게는 지성이 있으므로 무리하게 싸
우지 않고도 끝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드래곤의 종류에 따라서는 인간에게 우호적
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있다. 드래곤은 몸의 색깔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렇지
만 확실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D&D의 분류를 소개하겠다.

블랙 드래곤(BLACK DRAGON)

몸 색깔은 검은색. 성격이 난폭하며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직선 상태로 날아가는 강한
산성의 브레스를 뿜어낸다. 습지대에 산다.

블루 드래곤

몸 색깔은 파란색. 성격이 온후하지만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직선 상태로 날아가는 전광
을 뿜어낸다. 사막 등 건조지대에 산다.

브래스 드래곤(BRASS DRAGON)

몸 색깔은 황동색. 성격이 난폭하지만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최면 효과가 있는 가스를
뿜어낸다. 사막의 동굴 등에 산다.

브론즈 드래곤(BRONZE DRAGON

몸 색깔은 청동색. 성격이 온순하며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직선 상태로 날아가는 전광과
전투의욕을 없애는 가스를 뿜어낸다. 바다 근처의 동굴에 산다.

크로매틱 드래곤(CHROMATIC DRAGON)

머리가 5개나 달린 드래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티어맷의 모습이라고도 한다. 머
리 색은 흰색, 검은색, 녹색, 붉은 색 등으로 각각의 드래곤과 같은 특징이 있다. 성격은 온
순하지만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카파 드래곤(COPPER DRAGON)

몸 색깔은 구리빛. 성격이 난폭하지만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직선 상태로 날아가는 산과
적의 움직임을 늦추는 가스를 뿜어낸다. 바위산 등에 산다.

골드 드래곤(GOLD DRAGON)

중국에 전해지는 드래곤이기도 하다. 몸 색깔은 황금색이고 성격이 온후하며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불꽃 브레스를 방사하며 염소 가스를 뿜어낸다. 높은 산의 정상 등에서 산다.

그린 드래곤(GREEN DRAGON)

몸 색깔은 녹색. 성격이 온후하지만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염소 가스의 브레스를 뿜어낸
다. 삼림지대 등에 산다.

플라티나 드래곤(PLATINUM DRAGON)

몸 색깔은 백금색. 이슬람교의 전설에 등장하는 바하무트라고도 생각된다. 성격이 온후하며
선한 마음을 가졌다. 한기, 소리, 열 등의 브레스를 마음대로 구사한다.

레드 드래곤(RED DRAGON)

몸 색깔은 빨간색. 성격이 난폭하고 악한 마음을 가졌다. 불길의 브레스를 방사한다. 바위산
의 지하 등에 산다.

실버 드래곤(SILVER DRAGON)

몸 색깔은 은색. 성격이 온후하며 선한 마음을 가졌다. 냉동 가스를 방사하며 몸이 마비되는
가스를 뿜어낸다. 산의 정상 등 높은 장소에 산다.

화이트 드래곤(WHITE DRAGON)

몸 색깔은 흰색. 성격이 난폭하며 악한 마음을 가졌다. 냉동 가스를 방사한다. 한냉지대에
산다.

그밖에 드래곤의 아류가 있다. 거북과 드래곤의 혼혈인 드래곤 터틀(일명 섈드래곤), 라이온
과 드래곤의 혼혈인 드래곤 누, 요정 세계의 드래곤, 페어리 드래곤, 해용이라고도 불리는
씨 드래곤(일명 시더펜트) 등이 그것이다. 또 아직까지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어린 드래곤을
드래곤 파피라고 부른다. 드래곤 파피는 브레스도 약하고 공격력도 빈약하다. 그러나 어린이
라 해도 드래곤은 역시 드래곤이다. 그렇게 간단히 물리칠 수 있는 몬스터가 아니다. 만의
하나 드래곤 파피를 죽이게 되면 부모 드래곤은 자기 새끼를 죽인 장본인을 찾아낼 때까지
먹지도 않고 복수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

드래곤뉴트(DRAGONEWT)

드래곤뉴트는 종족 항에서 간단히 언급했지만, 여기서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드래곤과
인간의 중간적 존재인 드래곤뉴트는 리저드맨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스마트하며
사람의 몸매와 비슷하다. 사람보다 키가 크며 지능도 매우 높다. 무기, 방어도구도 인간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또 지능이 높기 때문에 마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드래곤뉴트는
드래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므로 드래곤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자주 있다. 특별히 인
간과 적대관계에 있는 것도 아니지만 사이가 좋은 것도 아니므로 마주쳤을 경우에는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

드래곤플라이(DRAGONFLY)

드래곤플라이라고 해도 특별히 하늘을 날으는 용이라는 것은 아니다. 대형 잠자리의 일종이
다. 공중에서의 운동능력이 매우 뛰어나 기습공격시에 그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곤 한다.
또 방어능력도 뛰어나므로 보통의 공격으로 드래곤플라이를 명중시킨다는 것은 상당히 어렵
다. 그러나 이름에 비해 별로 강력하지 않으며 공격방법도 이빨로 물어뜯는 정도이다. RPG
에서는 액슬러드와 위저들리에 등장하는데, 위저들리에서 브레스하는 모습은 약간 우스꽝스
럽다.

드루이드(DRUID)

기원 0년 무렵까지 갈리아, 브리타니아, 게르마니아 근방(이탈이아를 제외한 서유럽)에
살았었던 켈트족의 사제이다. 수수께끼 같은 민족인 켈트족의 사제는 유럽에서는 마법사라
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으며, RPG에서도 가끔씩 마법사의 일종으로 등장한다. 승려계의
마법사로서 공격용 마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게임에서는 울티마 III에 등장한다.

듈라한(DULLAHAN)

이 몬스터의 최대 특징은 아무래도 그 외모일 것이다. 자신의 머리를 겨드랑이에 끼우고 다
니는 머리가 없는 기사의 모습은 보기만 해도 공포감을 불러일으킨다(우리는 블로켄 백작을
떠올리며 눈물을 흘렸다). 개그 같기는 하지만, 확실한 유래가 있다. 듈라한은 아일랜드의
전설에 나오는 몬스터이다. 마차를 타고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그 마차도 목이 없는 말이
끌고 있다. 마차는 인가 앞까지 달려가서 그 집 문이 열리기를 기다렸다가 느닷없이 한통
가득 피를 쏟아붇는다고 한다. 아일랜드에서는 듈라한이 집 앞에 나타나면 그 집의 사람이
죽는다는 징조로 여겨 두려워한다. 몽환의 심장 II에 등장하는 인상적인 몬스터이다.

이글(EAGLE)

새의 왕이라고 불리는 독수리를 말한다. 독수리는 그 모습의 아름다움과 강함으로 인해 몬
스터의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그리폰, 록, 페닉스 등 하늘을 날으는 몬스터 중에서 독수리
의 이미지를 가진 것은 수없이 많다. 그러나 독수리 자체가 몬스터로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아마도 독수리는 정의의 편이라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독수리는
집이나 나라의 상징인 문장 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 주력 전투기의 이름도 '이글'
이다.

일(EEL)

뱀장어를 말한다. RPG에서는 물 속에 사는 몬스터로 등장한다. 당연히 대형 뱀장어로 등장
하는데, 공격할 때는 날카로운 이빨로 덥쳐온다. 이 공격은 상대방을 익사시킬 정도의 대미
지를 입히므로 공격력을 월등히 향상시켜 준다.
또한 뱀장어의 일종인 전기 뱀장어(ELECTRIC EEL)는 상대방을 마비시키는 힘을 가졌으므
로 가까이 접근하는 것 자체가 위험하다. 하이드라이드에 등장하는 몬스터인데,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270 저기님들 음... 마법 1클래스때 쓸수있는마법들좀 아르켜주새염 그럼 백승민 2002/07/14 1268
269 [요청]판타지 내의 차원 역학...에 대해 HiroUki 2002/07/13 1198
268 바람의 마법에 대하여...*^^* 포로리 2002/07/12 1237
267 불의 마법에 대하여...*^^* 포로리 2002/07/12 1346
266 빛의 마법에 대하여... *^^* 포로리 2002/07/12 1451
265 [요청] 마족에 관하여 알려 주세요 천재적작가 2002/07/11 1026
264 교통수단과 아이템들입니다. 폐인앙노운 2002/07/02 1639
263 [요청]마법1~9써클까지 오영민 2002/07/01 1212
262 [요청]오크 오거 트롤에대한 자료점....... 문화사랑 2002/06/26 1136
261 [요청]성직자에 대해... 이즈엘리멘탈 2002/06/24 1139
260 ㅜㅜ 판타지에 나오는 검술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ChaoticBlue 2002/06/20 1254
259 4대정령과 그를 다스리는 자 - 월록과 크리스천 로젠크로이츠 반요괴 2002/06/12 1383
258 [요청]음식에 관한 것 샤르미안 2002/06/10 1307
» 판타지 자료.종족편입니다 세상을사는이유 2002/06/08 3624
256 [요청] 드래곤의 종류와(무슨 젬드래곤도 있다던데)9클레스마법의 종류 케라드리안 2002/06/01 1323
255 magic of faerun 에서 assasine 의 마법 幻魔 2002/06/01 1301
254 [요청]총에 대에서 알고 싶습니다. 카리스마 동자 2002/05/31 1254
253 [요청]자신의 죄 모모모 2002/05/26 1249
252 [타로카드]약간.. 아는 것에 대해 올리겠습니다. 샤르미안 2002/05/23 1517
251 슬레이어즈 소설판에 대해... 판타지乃 2002/05/23 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