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사투르누스
고대 이탈리아인의 신. 이 신은 그리스의 신 크로노스와 동일시되고 전설에 의하면 아들 제우스에 의하여 폐위되자 이탈리아로 도망하여 세칭 황금시대라고 불리어지고 있는 동안 그곳에서 재위하였다고 한다.

파우누스 Faunus
사투르누스의 손자. 들과 목자의 신으로 숭배되었고 예언의 신으로서도 숭배를 받았다. 그리스 신화의 판과 동일시된다. 그의 이름의 복수형인 파우니는 그리스의 사튀로스와 같이 익살스런 신들의 일단을 의미했다.

플로라 Flora
꽃을 주재하는 여신

퀴리누스
전쟁의 신. 이 신은 로마의 건설자이고 사후에 신위에 오르게 된 로물루스 자신인 것이다.

벨로나 : 전쟁의 여신

테르미누스
토지 경계의 신. 그의 상은 거친 돌이나 기둥으로서 들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세워져 있었다.

팔레스
가축과 목장을 주재하는 여신

포모나 Pomona : 과일나무의 여신
루키나 : 출산의 여신

베스타 Vesta
그리스의 헤스티아. 국가의 솥과 가정의 솥을 주재하는 여신. 베스타의 신전에선 베스탈이라고 하는 여섯명의 처녀 제사가 수호하고 있는 성화가 타고 있었다. 로마의 신앙에 의하면 국가의 안녕은 이 성화의 보존과 관계있으므로, 처녀 제사의 태만 때문에 그것이 꺼지는 일이 있을 때는 그녀들을 엄벌했고 꺼진 불은 태양광선에 의하여 다시 점화되었다.

리베르
박코스(디오니소스를 가리킴)의 라틴 명

물키베르 : 불카누스의 라틴 명

야누스 Janus
야누스(Janus)란 로마신화에 등장하는 사물의 시초를 주관하는 신.로마의 건국자인 '로물루스'의 뒤를 이어 왕이 된 '누마'는 출입문의 수호신이며 전쟁의 신이기도 한 야누스에게 바치는 신전을 지었다. 야누스신은 반대방향을 향한 두 개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누마는 완성된 야누스 신전의 앞문과 뒷문을 백성들에게 보여주고, 이 문은 전시에는 열리고 평화시에는 닫힌다고 말했다. 그러나 누마가 로마를 다스린 43년동안, 이 문은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영어로 1월을 'January'라고 하는데, 그것은 '야누스의 달'이라 하여 야누스신의 이름을 따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페나테스
가족의 행복과 번영을 지켜주는 신들로 생각되었다. 그들의 이름은 페누스, 즉 식료품을 넣는 찬장이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리고 찬장이 이 신들의 성소로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한 가정의 주인은 모두 자기 집의 페나테스의 제사(祭司)였다.

라레스
가정을 지키는 신들. 가정의 라레스는 자손들을 감독하고 보호하는 영혼으로 생각되었다.

텔레스 Tellus
대지의 여신. 그리스신화의 가이아. 결혼과 출산, 그리고 양육의 여신이었으며, 과일과 꽃, 그리고 곡식의 여신이기도 했다.

파르카이 Parcae
운명의 여신들. 그리스신화의 모이라이에 해당한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