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용》
중국인들은 우주 창조와 관련해서 "음(陰)과 양(陽)"이라는 영원
한, 그리고 상호 보와적인 두 가지 요소의 율동적인 결합에서 만
물이 태어났다고 이야기한다. 응축이나 어둠, 수동성, 그리고 짝수
와 추위 같은 것은 음에 속하고, 성장과 빛, 격렬함과 홀수, 더위
따위는 양에 속하는 것이다. 음의 상징은 여성, 땅, 오렌지 색, 계
곡, 강 바닥, 호랑이 따위이고, 양은 남성, 하늘, 파란 색, 산, 용,
기둥 따위이다.
중국의 용은 네 가지 신비한 동물 중 한 가지이다(나머지 세가지
는 일각수-기린, 봉황, 거북이다). 여러 가지 경우에서 서양의 용은
사람들에게 공포를 주고, 잘해봐야 우스꽝스러운 존재인데 반해서,
전통적인 중국의 용은 반대로 신성한 것으로서 사자(獅子)라고도
할 수 있는 천사와 같은 존재이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라는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공자(孔子)는 현인인 노자(老
子)에게 자문을 구하러 갔다. 공자는 그를 만난 뒤에 의견을 피력
하였다.
"새들은 날아다니고 물고기는 헤엄쳐다니며 육지 동물들은 뛰어
다닌다. 뛰어따니는 것은 덫에 걸릴 수 있으며 헤엄쳐 다니는 것
은 그물에 걸릴 수 있고 날아 다니는 것은 화살에 맞을 수 있다.
그러나 용이라는 것이 있다. 용이 바람 속을 어떻게 날아가는지,
어떻게 하늘로 올라가는지 나는 알 수 없다. 오늘 노자를 만났다.
나는 감히 용을 만나고 왔다고 얘기할 수 있다."
용 혹은 용마(龍馬)는 황하에서 솟아올라, 양과 음의 상호작용을
상징화한 유명한 둥근 태극 기호를 황제에게 가르쳐주었다. 어떤
임금은 마차를 끄는, 혹은 의자로 쓰는 용을 소유하였고, 또 어떤
임금은 용을 기르기도 하였다. 이런 임금들의 나라는 번영을 구가
할 수 있었다. 위대한 시인은 임금의 위급함을 이렇게 노래하기도
하였다. "일각수는 차갑게 식은 요리 신세가 되었고, 용은 고기 만
두 신세가 되었다."
'역경(易經)'에서 용은 현자를 상징한다.
수세기에 걸쳐서 용은 제국의 상징이었다. 황제의 의자는 용상(龍
床)이라고 불렀고, 황제의 얼굴은 용안(龍顔)이라고 하였다. 황제가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알릴 때에는 용을 타고 하늘로 승천하였다
는 표현을 썼다.
사람들의 상상력은 용을 농부들이 열망하는 구름이나 비, 그리고
수량이 풍부한 강과 연결시켰다. "대지가 용과 일체가 된다"는 것
은 비를 의미하는 일상적인 어구였다. 6세기경 장승요(張僧繇)가
벽화를 그렸는데 그 그림에는 네 마리의 용이 형상화되어 있었다.
그림을 본 사람들은 모두 그를 비난하였는데 그 이유는 그가 용의
눈을 그리지 않았다는 것 때문이었다. 기분이 상한 그는 다시 붓
을 들어 살아 움직일 듯이 생동감 있는 그림에 마지막으로 두 마
리 용의 눈을 그려넣었다고 한다. 그러자 "번개와 천둥이 치면서
벽이 갈라지고 용들이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 그러나 눈을 그려넣
지 않았던 두 마리는 제자리에 남아 있었다고 한다.
중국의 용은 뿔과 발 그리고 비늘이 있고, 척추는 가시처럼 꼿꼿
하다. 그리고 언제나 내뿜었다 삼겼다 하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중국인들은 이 여의주에서 모든 힘이 나온다고 믿고 있다. 따라서
여의주를 빼앗기면 용은 무기력해진다.
장자(壯者)는 고집이 센 인물에 대해서 우리에게 이야기한바 있
다. 그는 3년 동안 각고의 노력 끝에 용을 무찌를 수 있는 무예를
닦았다. 그러나 일생 동안 단 한차례도 그 무예 실력을 발휘할 기
회를 잡지 못하였다고 한다.
+장승요 : 6세기 초엽에 양(梁)의 무제(武帝)가 궁중화가로 임명한
대화가로서 육조시대의 3대가(大家) 중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용과
인물을 잘 그렸으며, 인도에서 전래되었다는 부조(浮彫) 화법을 사
용하였는데 이것이 당나라의 회화를 형성하는데 유력한 기초가 되
었다고 여겨진다.
《동양의 용》
용은 다른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용이
변한 모습을 알아낼 수 없다. 일반적으로 용은 말의 머리와 뱀의
꼬리에 옆구리에는 커다란 날개가 달려 있고 발이 네 개라고(각각
에 네 개의 발톱이 달려 있다) 이야기한다. 용은 또 다른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용의 뿔은 사슴의 뿔을 닮았으며 머리는 낙타를,
눈은 악마의 눈을, 목덜미는 뱀을, 배는 연체동물을, 비늘은 물고기
를, 발은 독수리를, 발목은 호랑이를, 그리고 귀는 소를 닮았다고
이야기한다. 또 어떤 사람은 용은 귀가 없으며 대신 뿔로 소리를
듣는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리고 용은 일반적으로 여의주로 상
징된다. 여의주는 용의 목에 걸려 있는데 태양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 여의주에서 용의 모든 힘이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여의주를 빼
앗기면 모든 힘을 잃게 된다.
역사에 의하면 최초의 황제들은 용이었다. 용의 뼈와 이빨을 그리
고 침에는 약효가 있다고 한다. 용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서 인간에
게 보일 수도 있고 또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봄이 되면
하늘로 올라가고 가을이 되면 물 속 깊숙히 들어간다. 우리가 아는
용은 몇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늘에 사는 용은 신들의 궁전을 등에
지고 다니며 신들의 궁전이 땅에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성스러운
용은 인간을 위해서 바람을 일으키고 비를 내리세 하는 힘이 있다.
지상에 사는 용은 하천의 흐름을 결정한다. 그리고 지하에 사는 용
은 감추어진 보물을 인간이 찾지 못하도록 지킨다. 불교도들은 용
의 숫자가, 중심이 동일한 많은 바다들에 사는 물고기의 숫자보다
적지 않다고 믿고 있다. 또한 우주의 어떤 곳에 용의 숫자를 적어
놓은 신비한 암호가 있다고 믿는다. 중국민족은 다른 어떤 신보다
도 용이 더 신성하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변하는 구름의
모습 속에서 아주 빈번하게 용의 모습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하게 셰익스피어 역시 용 모양을 한 구름을 본 적이 있다고 기
록하였다(우리는 가끔 용 모양을 한 구름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용은 산을 다스리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흙으로 보는
점 혹은 풍수와도 관련이 있다. 용은 묘지 가까이에서 사는데 이는
공자의 숭배와 관련이 있다. 용은 바다에서는 넵투누스가 된다. 그
리고 대륙에서도 모습을 드러낸다. 바다에 사는 용들의 임금 즉 용
왕은 휘황찬란한 궁전에서 살면서 오팔과 진주를 먹는다. 이러한
용왕은 다섯 명이다. 한가운데에 가장 힘이 센 임금이 살고 있고,
나머지 네 명은 각각의 방위에서 살고 있다. 이들의 길이는 십여
리에 이른다고 한다. 그래서 몸을 틀면 산들이 서로 부딪히게 된다.
용은 마치 갑옷을 입은 듯이 비늘로 덮여 있다. 그리고 주둥이 아
래쪽에는 수염이 나 있으며 다리와 꼬리는 털로 덮여 있다. 타는
듯한 눈동자 위에는 불룩 튀어나온 이마가 있으며 귀는 조그맣고
투박하게 생겼다. 언제나 입을 벌리고 있으며, 혀는 기다랗고 이빨
은 날카롭다. 입김은 물고기가 튀겨질 정도로 뜨겁고, 몸에서 나는
광체는 물고기를 구워버릴 정도로 강력하다. 용이 바다 수면으로
올라오면 소용돌이와 태풍이 일어난다. 그가 하늘을 날아가면 도시
에 있는 집들의 지붕이 날아가고 들녘에 홍수가 날 정도로 강한 폭
풍우가 친다. 이러한 용은 영원히 죽지 않으며 서로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직접 말을 하지 않고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한다.
그들은 세 번째 달에는 자기들 직속 상관인 하늘에 연례보고를 한
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110 | 몬스터 - 펌 | 아이티 드 레드 | 2001/12/28 | 1785 |
109 | 전설의 검 - 퍼옴 | 아이티 드 레드 | 2001/12/28 | 2502 |
108 | 검술 - 퍼왔습니다. | 아이티 드 레드 | 2001/12/28 | 1829 |
107 | [악마 시리즈] 데빌, 데몬의 개요 | 아이티 드 레드 | 2001/12/26 | 1683 |
106 | [악마 시리즈] 루시퍼의 개요 | 아이티 드 레드 | 2001/12/26 | 1723 |
105 | 『 약용식물 정리 』 | 시란 | 2001/12/25 | 2212 |
104 | 『 창 』 | 시란 | 2001/12/25 | 1849 |
103 | 『 방어구 』 | 시란 | 2001/12/25 | 1850 |
102 | 『 초심리학(Parapsychology)과 초능력(ESP(Extra-Sensory Perception)) 』 | 시란 | 2001/12/25 | 1907 |
101 | 『 천사의 계급과 설명, 역활에대한 천사명 』 | 시란 | 2001/12/25 | 4912 |
» | 『 중국의 용, 동양의 용 』 | 시란 | 2001/12/25 | 1863 |
99 | 『 유니콘 』 | 시란 | 2001/12/25 | 1659 |
98 | 『 몬스터 모음 』(종류 UP) -3- | 시란 | 2001/12/25 | 2447 |
97 | 『 몬스터 모음 』(종류 UP) -2- | 시란 | 2001/12/25 | 2569 |
96 | 『 몬스터 모음 』(종류 UP) -1- | 시란 | 2001/12/25 | 2307 |
95 | 『 몬스터 모음 』 | 시란 | 2001/12/25 | 1851 |
94 | 『 환타지 관련자료 』 (편집본) | 시란 | 2001/12/24 | 2489 |
93 | 『 보석들의 이름과 유래, 의미 』 | 시란 | 2001/12/24 | 2636 |
92 | 『 도교의 신들 』 | 시란 | 2001/12/24 | 1996 |
91 | 『 무기정리 』(혼합입니다.) | 시란 | 2001/12/24 | 43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