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파
-구파일방의 하나.
-호북성(湖北省) 균현(均縣) 무당산(武當山).
-북송(北宋-서기 960년에서 1126년까지) 휘흠시(徽欽時) 무당산(武當
山:균현 남쪽 100리 지점에 위치한 명산)의 선인(仙人)이었던 장삼봉
(張三峯)을 시조로 꼽는다. 또는 원말명초(元末明初)에 역시 무당산에
은거하던 선인 장삼봉(張三 :장군실(張君實) 혹은 장전일(張全一)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웠다)을 시조로 꼽기도 한다. 불문무학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소림사의 무학과 더불어 무당파의 무학은 도가무학의 원류로
서 중원무학의 이대지류(二大支流)에 해당되며, 소림사의 무학이 강
한 발력(發力) 위주<主剛)>의 외가공부(外家功夫)인데 반하여 무당파
의 무학은 철저한 발경(發勁) 위주<主柔>의 내가공부(內家功夫)라고
할 수 있다(무당파의 주장). 명사(明史) 방기전(方技傳)에는 장삼봉(張
三 )의 금단(金丹:선도), 부록(符 :예언 등), 권술(拳術), 검술(劍術)
이 실려 있는데, 장삼봉은 이 네 가지 비법을 각기 거어(居於), 전기
(展旗), 남엄(南嚴), 오룡(五龍)의 네 제자에게 나누어 전수했으며, 그
뒤 이 네 명의 제자들은 다시 회선관(會仙?)이라는 곳에 모여 주진득(周
眞得)이라는 인물의 일신(一身)에 모든 것을 전수했다고 한다.
-조사전(祖師殿), 자소궁(紫 宮), 진무관(眞武觀), 해검지(解劍池).
-왕종악(王宗岳).
-태극신공(太極神功), 양의무극신공(兩儀無極神功), 현허칠성신공(玄虛
七星神功), 무당구양신공(武當九陽神功), 무당구음신공(武當九陰神
功), 양의신공(兩儀神功), 양심신공(兩心神功), 진산장(震山掌), 무당
면장(武當綿掌), 유운장력(流雲掌力), 태극신권(太極神拳), 칠성수(七星
手:권법), 양의권법(兩儀拳法), 무당장권(武當長拳), 태극신지(太極神
指), 유운지(流雲指), 태극십삼세(太極十三勢:금나수), 호조절호수(虎爪
絶戶手:금나수), 십팔소금나수(十八小擒拿手), 제운종(梯雲縱:신법),
유운신법(流雲身法), 칠성둔형(七星遁形:보법), 태극혜검(太極慧劍),
현허칠성검법(玄虛七星劍法), 칠십이초요지유검(七十二招繞指柔劍), 유
운검법(流雲劍法), 양의검법(兩儀劍法), 신문십삼검(神門十三劍), 삼재
검법(三才劍法), 현허도법(玄虛刀法),
1. 무당의 소재지 무당은 산의 이름으로 호북성 균현에 위치해 있다. 남
웅주기에 의하면, 무당산은 하늘로 높이 솟아있고, 그 모양은 향로 같으
며 사시사철 안개에 싸여 있다고 한다. 그리고 형주기에 의하면, 무당산
은 균현 남쪽 이백 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오악의 하나라고 한다.
수경주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무당산은 산세가 수려해 봉우리가
향로 같으며 증수가 산기슭에서 발원된다." 무당산기에는 보다 자세한 설
명이 수록되어 있다. "무당산의 둘레는 사,오백리. 많은 봉우리 중에 삼
령이란 봉우리가 있는데 높이가 이십여리에 달하며 늘 흰구름에 싸여 있
다. 해가 이곳에서 떠올라, 이곳에서 저물어 또한 일조산이라 한다. 하
여 많은 참배자가 모여들며, 도관이 많이 세워져 있다." 여지기에 의하
면, "무당산은 모두 72봉과 36암, 24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천주봉. 일명 자소봉이라 한다." 삼재도회무당산도고에는 무당
의 위치가 옛이름으로 적혀 있다. " 무당산은 양양부 균주성에 위치해 있
다."
2. 무당산의 이름과 신화 형주기에 의하면, 무당산은 일명 선실, 일명
태화라 한다. 수경주에 의하면, 무당산은 태화산, 혹은 삼상산,혹은 선실
이라 한다. 그외에도 무당산은 사라산, 태악, 대악으로도 불리워졌다. 무
당산이란 이름은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원나라 대오룡령응만수궁비에 의
하면 "양한 균방 부근에 산이 있어 그 둘레가 팔백리에 달하니...산의 이
름은 태화였다. 한데 원무신이 이 곳에서 득도하여 이름을 무당이라 고쳤
다. 원무신이 아니면 이 산을 당할 수 없다는 데에서 유래된 것이다."
명나라 때 유삼오가 쓴 무당산오룡령비에 의하면 전설로 내려오는 이야기
가 있다. "원천지기의 신이 건원씨 때 정락국에서 태어났다. 열다섯이
되던 해, 그는 요마를 소탕하겠다는 일념으로 부모의 곁을 떠났다. 하여
옥청자원군으로부터 무극상도를 전수받았다. 그후 바다를 건너 중원으로
돌아와 명산을 순례하던 중 어느날 한 산봉오리에 올랐다. 당시 그 산에
는 자소면양이란 요귀가 기거하고 있었으니 원천지기의 신은 검은 낙타
의 뿔로 만든 검으로 요귀를 죽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했다. 그 산이 바
로 무당산이다." 원나라 성거천의 대천일진경만수궁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산봉우리의 최고봉은 남암이라 한다. 암앞에 동굴이
두개 있으니... 이름하여 대안황애와 천연정극풍천이라 한다. 위로는 뜬
구름 아래로는 가파른 절벽. 원숭이가 떼지어 살며 야수들이 우굴거린
다. 사람은 이곳으로 한 걸음도 들여놓기 어렵다. 그런데 용한년대 허위
지정이 내려와 사람으로 둔갑하여 산에서 수도를 했다. 도를 터득한 후
그는 용을 타고 승천하였으니 원무지신이라 한다." 이러한 신화는 믿을만
한 것이 못된다. 원나라 사람 식자홀이 그 전설의 허구를 파해쳤다. 그
가 저술한 무당사적서에 의하면 "임금의 명을 받들어 균주성에 부임했
다. 무당산이 복지라는 것을 일찍이 전해 들은 것이 있어 전설에 대한 사
실을 파헤쳐 나갔다. 그러나 모든 사람의 애기가 제각기 달라 믿을 것
이 못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3. 무당 기공의 종류 무술적 기공의 단련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
데, <북숭소림, 남존무당>이라 하여 숭산의 소림사와 태극권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무당파의 기공법이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무당파
의 기공, 즉 무당공은 무당도인 서본선의 <<무당비공>>이라는 책에 그
종류와 연공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천화포접공, 구궁장공, 건
곤구공, 야행술공, 현무공, 유골공, 연경공, 차장공, 태극구공, 면장공
등이 기록되어 있다.
1)천화포접공 : 천화포접공은 무당산 자소궁의 구궁팔괘문에 속하는 단련
법의 하나로 이 기공의 목적은 전진, 후진, 도약력 등의 운동능력과 기
술을 계속익히는 경우에 훈련한다.
2)구궁장공 : 구궁장공은 아홉개의 벽돌을 사용해 몸의 움직임의 민첩성
과 발의 안정성을 기르기 위해 사용하는 기공법이다.
3)건곤구공 : 건곤구공은 주로 눈의 힘과 발놀림을 키우기 위한 기공법이
다. 익숙해지면 날 듯이 달리며, 적의 품으로 자유자재로 잠입하는 경공
의 기술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연공방법은 약 600그램 정도의 돌이
나 철구를 사용해 한손으로 공중으로 던지고, 다른 손으로는 잡는 연습
을 한 후 익숙해지면 양발에 모래주머니나 철추를 매달고 급격한 산길이
나 비탈길을 오르며 던지고 잡는 연습을 한다. 이것이 익숙해지면 원숭이
처럼 가볍고 묘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4)야행술 : 공유신공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밤중의 활동능력을 기르기
위한 기공법이다.
5)태극구공 : 이 기공을 연습하려면 적당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목제
로 만든 공을 준비한 후 마보(마보)를 취한뒤, 양손바닥으로 이 공 하나
를 잡고 회전시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잡아 들어올리기도 하고 내리기
도 한다. 동작은 어디까지나 천천히, 몸은 절대로 흔들거려서는 않된다.
<기>는 다리에서 발생하여, 허리를 통해 단전으로 순환시켜 간다. 하나
의 나무공으로 200회 정도 수련하면 점차 목구에서 석구, 철구 등의 무거
운 것으로 바꾸어 연습한다. 이것이 능숙해지면 연습자의 손에는 끈기가
생겨 일단 잡힌 상대는 절대로 이쪽의 손에서 빠져나가지 못한다.
6)면장공 : 이 기공은 무당파 기공 중 가장 중요한 단련법의 하나이
다. 단련방법은 세수공이라는 기공법을 사용해 전신으로 기가 와닿는 것
처럼 훈련하고 그 것이 가능해지면 높이 1.5m 가로 3m 정도의 벽돌을 2열
로 늘어세운 벽이 있는 곳에서 단련을 한다. 단련자는 이앞에서 세수공
을 행해 기가 가득한지 가늠해보고, 양손바닥으로 동시에 이 벽을 친다.
이 벽을 박살낼 수 있게 되면, 이번에는 이 벽위에 목화로 만든 종이를
몇십장 붙이고 이 것을 찢어버리지 않고 벽을 쳐서 쓰러뜨리도록 단련해
간다. 손은 처음에는 양손을 같이 사용하지만 익숙해지면 한 손만으로도
똑같은 위력이 생길 때까지 단련해 간다.
7)태극기공 : 중국 무술의 한 종목목인 태극권은 원래가 기공적인 사상에 입각하여 만들어진 권법인지라 기를 기르고 단련하기에 적합한 동작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태극권 수련을 양생에 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태극권은 어디까지나 공수를 목적으로하는 무술이므로 건강법으로는 불필요한 동작도 있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그래서 기공에 알맞은 동작만을 가려내어 배우기 쉬운 공법으로 재편한 것이 나오게 되었는데, 그것을 "태극기공" 이라 부른다. 태극기공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중에서 이름있는 것으로는 임후성의 "태극기공 십팔식", 초극서의 "기공태극 십오세", 주염풍의 "기공태극 십삼세", 마예당의 "태극공" 등이 있다. 특히 "태극기공 십팔식"은 체조식으로 엮은 것이어서 여럿이 음악에 맞추어 연습하기 적합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태극기 공회에 의해 제일 먼저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와는 달리 동작중의 자세에 중점을 두는 '기공태극 십오세'도 주목할 공법으로서 이미 국내에 소개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4. 참고 사항 무당파(혹은 무당도)는 장삼봉이 세운 문파가 아니라 적어도 당나라 말기에는 성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교의 일파로서의 무당도는 원나라 말기에 전란에 의해서 거의 파괴되었다가 명나라 성조 영락제에 의해서 부흥되었다. 성조는 1412(영락10)년 칙령을 내려 다음과 같이 말했다. 무당산은 천하의 명산이고 현천상제를 모시는 곳이라 도관이 있었는데 원말의 소란으로 모두 타 버리고 말았다. 자신은 즉위할 때 신명의 가호를 받았기때문에 무당산에 도관을 건립하여 태로 부처의 영을 위로함과 동시에 천하만민의 복을 기도하려 한다고... 성조는 삼십여 만명을 동원하고 막대한 비용을 들여 玄天玉虛宮, 興聖五龍宮, 大聖南巖宮, 태현자소궁 등 네 도관을 건립했다. 또 다른 자료에 의하면 이 외에도 다섯개의 도관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 도관에는 많은 전답이 하사되고, 면세특권이 주어졌다고 한다. 성조가 이런 일들을 한 것은 사실 무당도에 귀의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당시 저명한 도사였던 두려 했다는 설이 있다. 확실히 장삼봉은 무당파와 관계가 있었고 벽곡에도 뛰어났기 때문에(즉 도력이 높았다) 일반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또 그가 무당파의 부흥에 노력했던 것도 사실이다. 아마도 성조는 호북성 방면의 인심을 사려 했던 것 같다. 무당파는 성조의 도관 건립에 의해 경제적 기초가 확립되고 동시에 도록사(당시 도교의 관리를 맡았던 관청)의 한 자리에 무당파의 도사가 임명되어 도교의 관리 행정면에도 일정한 지위를 차지 하게 되었다. 무당파는 연단과 驅邪를 본령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인들 사이에서 꽤나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영종 때부터는 환관이 무당산을 관리하게 되어 그들에 의해 이용을 당하기도 했다
(<도교사> 참조).
-구파일방의 하나.
-호북성(湖北省) 균현(均縣) 무당산(武當山).
-북송(北宋-서기 960년에서 1126년까지) 휘흠시(徽欽時) 무당산(武當
山:균현 남쪽 100리 지점에 위치한 명산)의 선인(仙人)이었던 장삼봉
(張三峯)을 시조로 꼽는다. 또는 원말명초(元末明初)에 역시 무당산에
은거하던 선인 장삼봉(張三 :장군실(張君實) 혹은 장전일(張全一)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웠다)을 시조로 꼽기도 한다. 불문무학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소림사의 무학과 더불어 무당파의 무학은 도가무학의 원류로
서 중원무학의 이대지류(二大支流)에 해당되며, 소림사의 무학이 강
한 발력(發力) 위주<主剛)>의 외가공부(外家功夫)인데 반하여 무당파
의 무학은 철저한 발경(發勁) 위주<主柔>의 내가공부(內家功夫)라고
할 수 있다(무당파의 주장). 명사(明史) 방기전(方技傳)에는 장삼봉(張
三 )의 금단(金丹:선도), 부록(符 :예언 등), 권술(拳術), 검술(劍術)
이 실려 있는데, 장삼봉은 이 네 가지 비법을 각기 거어(居於), 전기
(展旗), 남엄(南嚴), 오룡(五龍)의 네 제자에게 나누어 전수했으며, 그
뒤 이 네 명의 제자들은 다시 회선관(會仙?)이라는 곳에 모여 주진득(周
眞得)이라는 인물의 일신(一身)에 모든 것을 전수했다고 한다.
-조사전(祖師殿), 자소궁(紫 宮), 진무관(眞武觀), 해검지(解劍池).
-왕종악(王宗岳).
-태극신공(太極神功), 양의무극신공(兩儀無極神功), 현허칠성신공(玄虛
七星神功), 무당구양신공(武當九陽神功), 무당구음신공(武當九陰神
功), 양의신공(兩儀神功), 양심신공(兩心神功), 진산장(震山掌), 무당
면장(武當綿掌), 유운장력(流雲掌力), 태극신권(太極神拳), 칠성수(七星
手:권법), 양의권법(兩儀拳法), 무당장권(武當長拳), 태극신지(太極神
指), 유운지(流雲指), 태극십삼세(太極十三勢:금나수), 호조절호수(虎爪
絶戶手:금나수), 십팔소금나수(十八小擒拿手), 제운종(梯雲縱:신법),
유운신법(流雲身法), 칠성둔형(七星遁形:보법), 태극혜검(太極慧劍),
현허칠성검법(玄虛七星劍法), 칠십이초요지유검(七十二招繞指柔劍), 유
운검법(流雲劍法), 양의검법(兩儀劍法), 신문십삼검(神門十三劍), 삼재
검법(三才劍法), 현허도법(玄虛刀法),
1. 무당의 소재지 무당은 산의 이름으로 호북성 균현에 위치해 있다. 남
웅주기에 의하면, 무당산은 하늘로 높이 솟아있고, 그 모양은 향로 같으
며 사시사철 안개에 싸여 있다고 한다. 그리고 형주기에 의하면, 무당산
은 균현 남쪽 이백 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오악의 하나라고 한다.
수경주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무당산은 산세가 수려해 봉우리가
향로 같으며 증수가 산기슭에서 발원된다." 무당산기에는 보다 자세한 설
명이 수록되어 있다. "무당산의 둘레는 사,오백리. 많은 봉우리 중에 삼
령이란 봉우리가 있는데 높이가 이십여리에 달하며 늘 흰구름에 싸여 있
다. 해가 이곳에서 떠올라, 이곳에서 저물어 또한 일조산이라 한다. 하
여 많은 참배자가 모여들며, 도관이 많이 세워져 있다." 여지기에 의하
면, "무당산은 모두 72봉과 36암, 24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천주봉. 일명 자소봉이라 한다." 삼재도회무당산도고에는 무당
의 위치가 옛이름으로 적혀 있다. " 무당산은 양양부 균주성에 위치해 있
다."
2. 무당산의 이름과 신화 형주기에 의하면, 무당산은 일명 선실, 일명
태화라 한다. 수경주에 의하면, 무당산은 태화산, 혹은 삼상산,혹은 선실
이라 한다. 그외에도 무당산은 사라산, 태악, 대악으로도 불리워졌다. 무
당산이란 이름은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원나라 대오룡령응만수궁비에 의
하면 "양한 균방 부근에 산이 있어 그 둘레가 팔백리에 달하니...산의 이
름은 태화였다. 한데 원무신이 이 곳에서 득도하여 이름을 무당이라 고쳤
다. 원무신이 아니면 이 산을 당할 수 없다는 데에서 유래된 것이다."
명나라 때 유삼오가 쓴 무당산오룡령비에 의하면 전설로 내려오는 이야기
가 있다. "원천지기의 신이 건원씨 때 정락국에서 태어났다. 열다섯이
되던 해, 그는 요마를 소탕하겠다는 일념으로 부모의 곁을 떠났다. 하여
옥청자원군으로부터 무극상도를 전수받았다. 그후 바다를 건너 중원으로
돌아와 명산을 순례하던 중 어느날 한 산봉오리에 올랐다. 당시 그 산에
는 자소면양이란 요귀가 기거하고 있었으니 원천지기의 신은 검은 낙타
의 뿔로 만든 검으로 요귀를 죽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했다. 그 산이 바
로 무당산이다." 원나라 성거천의 대천일진경만수궁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산봉우리의 최고봉은 남암이라 한다. 암앞에 동굴이
두개 있으니... 이름하여 대안황애와 천연정극풍천이라 한다. 위로는 뜬
구름 아래로는 가파른 절벽. 원숭이가 떼지어 살며 야수들이 우굴거린
다. 사람은 이곳으로 한 걸음도 들여놓기 어렵다. 그런데 용한년대 허위
지정이 내려와 사람으로 둔갑하여 산에서 수도를 했다. 도를 터득한 후
그는 용을 타고 승천하였으니 원무지신이라 한다." 이러한 신화는 믿을만
한 것이 못된다. 원나라 사람 식자홀이 그 전설의 허구를 파해쳤다. 그
가 저술한 무당사적서에 의하면 "임금의 명을 받들어 균주성에 부임했
다. 무당산이 복지라는 것을 일찍이 전해 들은 것이 있어 전설에 대한 사
실을 파헤쳐 나갔다. 그러나 모든 사람의 애기가 제각기 달라 믿을 것
이 못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3. 무당 기공의 종류 무술적 기공의 단련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
데, <북숭소림, 남존무당>이라 하여 숭산의 소림사와 태극권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무당파의 기공법이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무당파
의 기공, 즉 무당공은 무당도인 서본선의 <<무당비공>>이라는 책에 그
종류와 연공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천화포접공, 구궁장공, 건
곤구공, 야행술공, 현무공, 유골공, 연경공, 차장공, 태극구공, 면장공
등이 기록되어 있다.
1)천화포접공 : 천화포접공은 무당산 자소궁의 구궁팔괘문에 속하는 단련
법의 하나로 이 기공의 목적은 전진, 후진, 도약력 등의 운동능력과 기
술을 계속익히는 경우에 훈련한다.
2)구궁장공 : 구궁장공은 아홉개의 벽돌을 사용해 몸의 움직임의 민첩성
과 발의 안정성을 기르기 위해 사용하는 기공법이다.
3)건곤구공 : 건곤구공은 주로 눈의 힘과 발놀림을 키우기 위한 기공법이
다. 익숙해지면 날 듯이 달리며, 적의 품으로 자유자재로 잠입하는 경공
의 기술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연공방법은 약 600그램 정도의 돌이
나 철구를 사용해 한손으로 공중으로 던지고, 다른 손으로는 잡는 연습
을 한 후 익숙해지면 양발에 모래주머니나 철추를 매달고 급격한 산길이
나 비탈길을 오르며 던지고 잡는 연습을 한다. 이것이 익숙해지면 원숭이
처럼 가볍고 묘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4)야행술 : 공유신공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밤중의 활동능력을 기르기
위한 기공법이다.
5)태극구공 : 이 기공을 연습하려면 적당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목제
로 만든 공을 준비한 후 마보(마보)를 취한뒤, 양손바닥으로 이 공 하나
를 잡고 회전시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잡아 들어올리기도 하고 내리기
도 한다. 동작은 어디까지나 천천히, 몸은 절대로 흔들거려서는 않된다.
<기>는 다리에서 발생하여, 허리를 통해 단전으로 순환시켜 간다. 하나
의 나무공으로 200회 정도 수련하면 점차 목구에서 석구, 철구 등의 무거
운 것으로 바꾸어 연습한다. 이것이 능숙해지면 연습자의 손에는 끈기가
생겨 일단 잡힌 상대는 절대로 이쪽의 손에서 빠져나가지 못한다.
6)면장공 : 이 기공은 무당파 기공 중 가장 중요한 단련법의 하나이
다. 단련방법은 세수공이라는 기공법을 사용해 전신으로 기가 와닿는 것
처럼 훈련하고 그 것이 가능해지면 높이 1.5m 가로 3m 정도의 벽돌을 2열
로 늘어세운 벽이 있는 곳에서 단련을 한다. 단련자는 이앞에서 세수공
을 행해 기가 가득한지 가늠해보고, 양손바닥으로 동시에 이 벽을 친다.
이 벽을 박살낼 수 있게 되면, 이번에는 이 벽위에 목화로 만든 종이를
몇십장 붙이고 이 것을 찢어버리지 않고 벽을 쳐서 쓰러뜨리도록 단련해
간다. 손은 처음에는 양손을 같이 사용하지만 익숙해지면 한 손만으로도
똑같은 위력이 생길 때까지 단련해 간다.
7)태극기공 : 중국 무술의 한 종목목인 태극권은 원래가 기공적인 사상에 입각하여 만들어진 권법인지라 기를 기르고 단련하기에 적합한 동작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태극권 수련을 양생에 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태극권은 어디까지나 공수를 목적으로하는 무술이므로 건강법으로는 불필요한 동작도 있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그래서 기공에 알맞은 동작만을 가려내어 배우기 쉬운 공법으로 재편한 것이 나오게 되었는데, 그것을 "태극기공" 이라 부른다. 태극기공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중에서 이름있는 것으로는 임후성의 "태극기공 십팔식", 초극서의 "기공태극 십오세", 주염풍의 "기공태극 십삼세", 마예당의 "태극공" 등이 있다. 특히 "태극기공 십팔식"은 체조식으로 엮은 것이어서 여럿이 음악에 맞추어 연습하기 적합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태극기 공회에 의해 제일 먼저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와는 달리 동작중의 자세에 중점을 두는 '기공태극 십오세'도 주목할 공법으로서 이미 국내에 소개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4. 참고 사항 무당파(혹은 무당도)는 장삼봉이 세운 문파가 아니라 적어도 당나라 말기에는 성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교의 일파로서의 무당도는 원나라 말기에 전란에 의해서 거의 파괴되었다가 명나라 성조 영락제에 의해서 부흥되었다. 성조는 1412(영락10)년 칙령을 내려 다음과 같이 말했다. 무당산은 천하의 명산이고 현천상제를 모시는 곳이라 도관이 있었는데 원말의 소란으로 모두 타 버리고 말았다. 자신은 즉위할 때 신명의 가호를 받았기때문에 무당산에 도관을 건립하여 태로 부처의 영을 위로함과 동시에 천하만민의 복을 기도하려 한다고... 성조는 삼십여 만명을 동원하고 막대한 비용을 들여 玄天玉虛宮, 興聖五龍宮, 大聖南巖宮, 태현자소궁 등 네 도관을 건립했다. 또 다른 자료에 의하면 이 외에도 다섯개의 도관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 도관에는 많은 전답이 하사되고, 면세특권이 주어졌다고 한다. 성조가 이런 일들을 한 것은 사실 무당도에 귀의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당시 저명한 도사였던 두려 했다는 설이 있다. 확실히 장삼봉은 무당파와 관계가 있었고 벽곡에도 뛰어났기 때문에(즉 도력이 높았다) 일반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또 그가 무당파의 부흥에 노력했던 것도 사실이다. 아마도 성조는 호북성 방면의 인심을 사려 했던 것 같다. 무당파는 성조의 도관 건립에 의해 경제적 기초가 확립되고 동시에 도록사(당시 도교의 관리를 맡았던 관청)의 한 자리에 무당파의 도사가 임명되어 도교의 관리 행정면에도 일정한 지위를 차지 하게 되었다. 무당파는 연단과 驅邪를 본령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인들 사이에서 꽤나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영종 때부터는 환관이 무당산을 관리하게 되어 그들에 의해 이용을 당하기도 했다
(<도교사> 참조).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10 | 대한제국군의 계급. | 안곤친위대장 | 2006/01/21 | 2565 |
9 | 오스만 투르크의 친위대 <예니체리> | 안곤친위대장 | 2005/06/28 | 3404 |
8 | [요청]무협에서... | 수련엄마 | 2004/08/02 | 2315 |
7 | [요청]은씨세가와 쓰는 검법을 알고싶어여. | 샤테이엘 | 2003/10/30 | 2250 |
6 | [무협]청성파(靑城派)에 대해서 | 하이네루 | 2003/07/11 | 2605 |
5 | [무협]점창파(點蒼派)에 대해서 | 하이네 | 2003/07/11 | 2677 |
4 | [무협]아미파(峨嵋派)에 대해서 | 하이네 | 2003/07/11 | 2613 |
3 | [무협]곤륜파(崑崙派)에 대해서 | 하이네 | 2003/07/11 | 2417 |
» | [무협]무당파에 대해 | 하이네 | 2003/07/11 | 2562 |
1 | [정보]무협의 개방파 | 하이네 | 2003/07/10 | 21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