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
내력 : 거지들로 이루어진 문파. 궁가방이라고도 한다. 구파일방의 일방이 바로 이 개방이다. 무림에서 제일 큰 방파이며 소림파와 함께 나란히 위세를 떨침.
신물 : 타구봉(打狗棒)
개방의 구조
총타(總舵) 하나와 천하 각처에 백여개의 분타(分舵)가 있다. 각 분타에 백여명에서 천여명의 인원이 있고, 전체 방도들의 숫자는 거의 오만여에 달한다고 한다.
개방의 조직
방주 1명과 여러명의 장로들 그리고 1대서부터 9대제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장로들과 제자들의 서열과 지위는 매듭 등으로 지위를 표시하며, 매듭이 없는 대기상태의 제자를 백의제자(白衣弟子)라고 하고, 그 위에 분타주(分舵主), 총순찰(總巡察), 장로(長老), 등이 있다. 방주는 타구봉이란 신물로 방주임을 입증한다. 개방의 방칙은 상당히 특이한데 의를 숭상하라는 단 한가지의 방칙을 지닌다. 단 한가지 방칙이지만는 이 방칙을 지킨다는게 얼마나 어려운일인지는 다 아시는 일일 것이다.
개방의 입단
개방에 입단 시에도 특이한 법칙이 있다. 그것은 바로 입단 시에 자신이 가진 모든 재산을 처분하여야만 한다는 것인데. 대개 결혼한 사람은 가족에게 모든 재산을 남겨주고 나오던지, 아직 미혼일 경우는 처분한 재산을 주위의 가난한 이에게 나누어준다. 즉 거지들의 집단인 개방에 가입하려면 완전한 거지가 되어야 한다는 뜻인데. 신기하게도 불가의 명언인 공수래 공수거와 딱 맞아떨어지는 사례이다.
개방의 방주
개방의 방주는 간단히 말하자면 거지왕초이다. 보통 거지의 왕초라면 대개 그 사람을 깔보지만 개방거지의 왕초라면 무림에서는 대접해 주는 실정이다. 그만큼 개방방주의 권위는 상당하다. 그에 따라서 개방의 방주는 무공도 무공나름이지만 인품을 더 따지는 실정이며 방주의 추대는 전대방주가 후대방주에게 물려주는 형식이다. 만약 여기서 새로이 추대될 방주를 개방원들이 반대한다면 그 사람은 방주에 추대될수없다. 또 방주는 방주로 추대될때 모든 개방거지들의 침을 한번씩 받도록 되어있는데. 아마도 거지는 침세례나 받으면서 다니는 존재이니 거지의 왕초는 모든거지의 침세례를 받아봐야한다는 약간 유머러스한 생각에 그 근거를 두고있다고 보여진다.
무공
내공
옥현귀진현공(玉玄歸眞玄功)
백결연화신공(百結蓮花神功)
홍무자염신공(洪武紫焰神功)
혼천강룡신공(混天降龍神功)
취팔선공(醉八仙功)
혼원귀일신공(混元歸一神功)
봉법
타구봉법(打狗棒法): 개방의 방주만이 전수받을 수 있는 봉법의 한 가지. 타구봉 삼절초 (타단구퇴, 구구입동, 취구번신)와 타구십팔초(광구견미, 규화타구,아구흘뇨, 풍구난교, 사족앙천, 구급도장, 황구복천, 사각난붕 등)가 유명하다.
삼십육로타구봉법(三十六路打狗棒法)
천화봉법
검법
규지검법(叫枝劍法)
수공
용음십이수(龍吟十二手)
권법
지척천애권
백결신권(百結神拳)
취팔선권(醉八仙拳)
파옥권(破玉拳)
장법
강룡십팔장(降龍十八掌): 장력이 거의 강기의 수준이나 근력과 내공을 빨리 소모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회선장법,
용호팔십팔장,
옥룡팔장,
옥현쇄심장력(玉玄碎心掌力)
백결신장(百結神掌)
파옥신장(破玉神掌),
연화장(蓮花掌)
지법
쇄심지(碎心指)
쇄옥파운지(碎玉破雲指)
연화지(蓮花指)
금나수
동추수(銅錘手)
신법
취팔선과천,
취리건곤보
만리추풍신법(萬里追風身法)
비천무영신법(飛天無影身法)
선풍신법(旋風身法)
연화락(蓮花落)
취팔선보(醉八仙步)
연쌍비(燕雙飛)
음공
산비벽정,
창룡음
진법
타구진: 약 800명 정도의 인원이 모여서 이루는 대진이다. 타구진의 특징은 허술하면서도 탄탄한 구성인데. 타구진을 펼칠시에는 진을 이루는 거지들이 제각각 구걸을 하는 동작이나 술취해서 비틀거리는 동작등을 취하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그냥 거지들이 모여서 푸념하는것 같지마는 실상으로는 거의 완벽한 위장공격을 하는것이다. 대개의 적들은 타구진이 펼쳐지면 그 소란스러운 모습에 당황하므로 일종의 심리전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진법의 기초는 음양오행설에 그 근거를 두고있는 것 같다.
기타
만리신향(萬里神香)
내력 : 거지들로 이루어진 문파. 궁가방이라고도 한다. 구파일방의 일방이 바로 이 개방이다. 무림에서 제일 큰 방파이며 소림파와 함께 나란히 위세를 떨침.
신물 : 타구봉(打狗棒)
개방의 구조
총타(總舵) 하나와 천하 각처에 백여개의 분타(分舵)가 있다. 각 분타에 백여명에서 천여명의 인원이 있고, 전체 방도들의 숫자는 거의 오만여에 달한다고 한다.
개방의 조직
방주 1명과 여러명의 장로들 그리고 1대서부터 9대제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장로들과 제자들의 서열과 지위는 매듭 등으로 지위를 표시하며, 매듭이 없는 대기상태의 제자를 백의제자(白衣弟子)라고 하고, 그 위에 분타주(分舵主), 총순찰(總巡察), 장로(長老), 등이 있다. 방주는 타구봉이란 신물로 방주임을 입증한다. 개방의 방칙은 상당히 특이한데 의를 숭상하라는 단 한가지의 방칙을 지닌다. 단 한가지 방칙이지만는 이 방칙을 지킨다는게 얼마나 어려운일인지는 다 아시는 일일 것이다.
개방의 입단
개방에 입단 시에도 특이한 법칙이 있다. 그것은 바로 입단 시에 자신이 가진 모든 재산을 처분하여야만 한다는 것인데. 대개 결혼한 사람은 가족에게 모든 재산을 남겨주고 나오던지, 아직 미혼일 경우는 처분한 재산을 주위의 가난한 이에게 나누어준다. 즉 거지들의 집단인 개방에 가입하려면 완전한 거지가 되어야 한다는 뜻인데. 신기하게도 불가의 명언인 공수래 공수거와 딱 맞아떨어지는 사례이다.
개방의 방주
개방의 방주는 간단히 말하자면 거지왕초이다. 보통 거지의 왕초라면 대개 그 사람을 깔보지만 개방거지의 왕초라면 무림에서는 대접해 주는 실정이다. 그만큼 개방방주의 권위는 상당하다. 그에 따라서 개방의 방주는 무공도 무공나름이지만 인품을 더 따지는 실정이며 방주의 추대는 전대방주가 후대방주에게 물려주는 형식이다. 만약 여기서 새로이 추대될 방주를 개방원들이 반대한다면 그 사람은 방주에 추대될수없다. 또 방주는 방주로 추대될때 모든 개방거지들의 침을 한번씩 받도록 되어있는데. 아마도 거지는 침세례나 받으면서 다니는 존재이니 거지의 왕초는 모든거지의 침세례를 받아봐야한다는 약간 유머러스한 생각에 그 근거를 두고있다고 보여진다.
무공
내공
옥현귀진현공(玉玄歸眞玄功)
백결연화신공(百結蓮花神功)
홍무자염신공(洪武紫焰神功)
혼천강룡신공(混天降龍神功)
취팔선공(醉八仙功)
혼원귀일신공(混元歸一神功)
봉법
타구봉법(打狗棒法): 개방의 방주만이 전수받을 수 있는 봉법의 한 가지. 타구봉 삼절초 (타단구퇴, 구구입동, 취구번신)와 타구십팔초(광구견미, 규화타구,아구흘뇨, 풍구난교, 사족앙천, 구급도장, 황구복천, 사각난붕 등)가 유명하다.
삼십육로타구봉법(三十六路打狗棒法)
천화봉법
검법
규지검법(叫枝劍法)
수공
용음십이수(龍吟十二手)
권법
지척천애권
백결신권(百結神拳)
취팔선권(醉八仙拳)
파옥권(破玉拳)
장법
강룡십팔장(降龍十八掌): 장력이 거의 강기의 수준이나 근력과 내공을 빨리 소모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회선장법,
용호팔십팔장,
옥룡팔장,
옥현쇄심장력(玉玄碎心掌力)
백결신장(百結神掌)
파옥신장(破玉神掌),
연화장(蓮花掌)
지법
쇄심지(碎心指)
쇄옥파운지(碎玉破雲指)
연화지(蓮花指)
금나수
동추수(銅錘手)
신법
취팔선과천,
취리건곤보
만리추풍신법(萬里追風身法)
비천무영신법(飛天無影身法)
선풍신법(旋風身法)
연화락(蓮花落)
취팔선보(醉八仙步)
연쌍비(燕雙飛)
음공
산비벽정,
창룡음
진법
타구진: 약 800명 정도의 인원이 모여서 이루는 대진이다. 타구진의 특징은 허술하면서도 탄탄한 구성인데. 타구진을 펼칠시에는 진을 이루는 거지들이 제각각 구걸을 하는 동작이나 술취해서 비틀거리는 동작등을 취하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그냥 거지들이 모여서 푸념하는것 같지마는 실상으로는 거의 완벽한 위장공격을 하는것이다. 대개의 적들은 타구진이 펼쳐지면 그 소란스러운 모습에 당황하므로 일종의 심리전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진법의 기초는 음양오행설에 그 근거를 두고있는 것 같다.
기타
만리신향(萬里神香)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10 | 대한제국군의 계급. | 안곤친위대장 | 2006/01/21 | 2565 |
9 | 오스만 투르크의 친위대 <예니체리> | 안곤친위대장 | 2005/06/28 | 3404 |
8 | [요청]무협에서... | 수련엄마 | 2004/08/02 | 2315 |
7 | [요청]은씨세가와 쓰는 검법을 알고싶어여. | 샤테이엘 | 2003/10/30 | 2250 |
6 | [무협]청성파(靑城派)에 대해서 | 하이네루 | 2003/07/11 | 2605 |
5 | [무협]점창파(點蒼派)에 대해서 | 하이네 | 2003/07/11 | 2677 |
4 | [무협]아미파(峨嵋派)에 대해서 | 하이네 | 2003/07/11 | 2613 |
3 | [무협]곤륜파(崑崙派)에 대해서 | 하이네 | 2003/07/11 | 2417 |
2 | [무협]무당파에 대해 | 하이네 | 2003/07/11 | 2562 |
» | [정보]무협의 개방파 | 하이네 | 2003/07/10 | 21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