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왕실관직:>
영국의 왕실관직의 순서는
고문관- 대법관- 재무장관 - 추밀원 의장 - 옥새상서(수석 재판관- 최고 재판관 - 주장)- 시종장관- 보안무장관- 원수(중장- 주지사)- 해군 장관(북부 제독, 동부 제독)- 수석집사- 의전장관( 의상부장- 왕령 행정관) 순이었습니다. (왼쪽으로 갈 수록 높은 직위고, 괄호 안의 직위는 그 관직 아래에 있는 관직을 뜻함 예를 들어 옥새상서는 수석재판관, 최고재판관, 주장을 수하로 거느림)
가. 정부관련 관직
1. Lord High Steward(고문관): 원래 노르만의 명예관직으로 1153년 부터, 레체스터 백작과 레카스터 백작가문에서 역임했으나 14세기 렝카스터 공작 존 곤트가 이 직위를 맡으면서 고문관의 임무에 귀족회의의 의장 등을 추가해 권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렝카스터 공작들이 이 직위를 역임했다. 왕 다음가는 권력을 행사한 관직.
연봉: 약 830플로린 (약 3억 7천 5백만원)
2. Lord High Chancellor(대법관): 11세기 참회왕 에드워드가 만든 관직으로 왕의 비서 역할과 옥새의 보관, 행정업무의 수장 업무 및 사법임무를 맡았으나, 점점 사법임무를 주로 맡았다. 주로 고위 성직자들이 이 관직을 역임했다. 현대의 법무장관+ 내무장관 정도의 관직 이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3. Lord High Treasurer(재무 장관): 대법관 아래에서 국가의 재정을 책임지던 장관
연봉: 600플로린 (약 2억 7천만원)
4. Lord President of the Council(추밀원 의장): 왕의 자문회 비슷한 기관으로, 학식있는 귀족이 국왕의 조언자 역할을 맡은 직위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천5백만원)
5. Lord Privy Seal(옥새 상서): 국새를 보관하던 관리로 정책을 공식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옥새상서의 국새가 필요했다. 그 아래로 수석 재판관,최고 사법관, 주장이 사법권을 지니고 있었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Lord Chief Justice(수석 재판관) 왕국의 사법권을 쥐고 있었던 판사로 현대의 대법원장 정도의 직위를 가진 관직
연봉: 약 330플로린 ( 약 1억 5천만원)
Justiciar (최고 사법관): 주의 사법권을 책임지는 판사로 현대의 고등법원 판사 정도 되는 직위
연봉: 250플로린 (약 1억 2천 5백만원)
Sheriff(주장): 주의 정부를 책임지던 관리.
연봉: 담당 구역 세입의 일부
6. Lord Great Chamberlain(시종장관): 옥스포드 백작이 맡은 직위로 왕궁의 대소사를 처리하는 수장이며, 그 밑으로는 수석집사, 의전장관, 의상부장, 왕령 행정관이 있었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10. Lord Steward(수석 집사): 국왕 직할지의 대소사를 관장한 직위
연봉: 평화시~약 21플로린(약 940만원),
전쟁시~ 약 210플로린( 약 9천 4백만원)
11. Lord Chamberlain(의전장관): 왕궁의 대소사를 담당한 관직. 궁내부 장관정도 되는 직위.
연봉: 300플로린(약 1억 1250만원)
Wardrobe(의상 부장): 왕실의 지출을 담당한 관직으로, 각종 물품 및 무기를 구입했다. 경리부장 정도의 직위
연봉: 160플로린 (약 7200만원)
Baillis of Royal Estates(왕령 행정관): 국왕 직할지 중 한 주에 해당하는 정도의 영토를 관할. 국왕 직속의 도지사 정도의 직위.
연봉: 세입의 5퍼센트
나. 군 관련 직위:
7. Lord High Constable of England (보안무관장): 영국군의 총사령관으로 그 아래로 원수가 있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8. Marshal (원수): 군대 사령관으로 북부 국경지대에 관한 지휘권이 있었던 일종의 야전 사령관.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Lieutenant General (중장): 임시직으로 일정지역에 관한 군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직위였다.
Lords Lieutenant of Array(주지사): 한 주의 민병대를 지휘하는 장군,
연봉: 약 66플로린 이상( 약 3천만원, 지휘하는 병력 수에 따라서, 연봉이 추가됨)
9. Lord High Admirals(해군장관), 영국의 전체 함대에 관한 지휘권이 있었다.
Lord High Admiral of the North(북부 해군 제독): 북부함대 사령관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Lord High Admiral of the East(동부 해군 제독), 해군 장관 아래의 해군사령관으로 함대를 지휘했다.
연봉: 500 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프랑스의 왕실관직>
가. 정부관련관직: (아래로 갈 수록 지위가 낮은 직위)
1. Chancellier (재상): 정부의 수장이나, 그 아래의 장관들은 직접 국왕에게 보고를 하도록 돼있었다.
연봉: 약 1660플로린 (약 7억 5천만원)
2. Grand Chamberlain (궁내부 장관): 사법, 재무, 도량에 관한 임무를 총괄
했다. 재무장관+법무부 장관 정도의 관직
연봉: 약 1330 플로린 (약 6억원)
3. Bouteiller(궁내성 주류관): 왕실이 주관하는 각종 행사를 주관했고, 귀족에 관한 재판권이 있었으며, 국왕의 식탁과 와인을 관리했다.
연봉: 약 830플로린 (약 3억 2500만원)
4. Chambrier(파리 시장): 파리의 시장으로 그 아래로 식품부 장관, 사냥부 장관, 산림청 부장이 있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5. Grand Pannetier(식품부 장관): 파리 시내의 빵집 등, 식품과 관련된 업체를 관리했다.
6. Grand Veneur(사냥부 장관): 왕실 숲의 관리자.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7. Grand Maitre de Eaux et Forests(산림청 부장): 각종 하천과 숲을 관리한 관직
연봉: 약 330플로린(약 1억 5천만원) + 세입의 5퍼센트
8. Senechal(왕궁 집사): 왕궁내의 모든 것을 관리한 관직으로 그 아래로 궁내부장, 마구부장, 매 부장 있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9. Grand Maitre de l'Hostel et de la Maison du Roi(궁내부장):왕궁 집사 바로 아래의 직위로 부 집사 정도 된 직위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10. Grand Ecuyer(마구부장): 국왕의 말을 관리했으며, 여러 전령을 수하에 두고 있었다. 전령사 부장 정도의 직위
연봉: 약 330 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11. Grand Falconer(매 부장): 왕실에서 주관하는 사냥을 관리한 관직
연봉: 약 330 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12. Grand Queux(요리부장): 이름 그대로, 국왕의 주방장 인 관직
나. 프랑스의 군 관련 관직 (아래로 갈수록 낮은 직위)
Connetable(육군장관): 프랑스 전군을 통솔한 총사령관, 현대의 국방부 장관 정도의 직위
연봉: 약 1330플로린 (약 6억원)
Amiral de France(해군장관): 프랑스 해군을 통솔한 사령관, 현대의 해군참모총장 정도의 직위
연봉: 약 880 플로린 (약 4억원)
Marcheaux de France (원수): 군의 실질적인 총사령관으로 2명의 원수가 프랑스 군을 책임졌다.
연봉: 약 880플로린 (약 4억원)
Lieutenant General(중장): 국왕이 직접 임명한 지위로 일정 지역사령관의 성격이 강했다. 국왕이 위임한 지역에서는 중장이 최고 지휘권이 있었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Port Oriflamme(국왕 기수): 왕실기를 전투에 들고다닌 사람으로, 상당한 권위가 보장되는 직위였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Grand Maitre de Arbalestries (궁병 단장): 군의 전 궁병을 담당한 사령관
연봉: 약 165플로린 (약 7500만원)
Grand Maitre de l'Artillerie (포병 단장): 포병(각종 공성기 포함) 전체를 담당한 사령관
연봉: 약 165플로린 (약 7500만원)
< 외교관>:
외교관은 크게 특사(ambassador), 사절(emissary), 사자(heralds), 로 나뉘었는데, 특사는 최고 등급의 외교관이고, 사절은 일반적인 외교관, 사자는 가장 하등급의 외교관 이었다.
1. Ambassador(특사): 특사는 황제나 교황에게 보낸 외교관으로, 최고위 귀족이 이 직위를 맡았다.
연봉: 250~ 330 플로린 (약 1억 1천만~ 1억 5천만원)
2. Emissary(사절): 국왕이 타 국왕에게 보내는 사신이나, 대영주 사이에 사신을 맡은 외교관으로 임무의 중요도에 따라서, 다양한 계급의 귀족이 이 임무를 맡았다. 때로는 유명한 성직자가 사절로 뽑히는 경우도 있었다.
연봉: 165플로린 (약 7500만원)
3. Heralds(사자): 가장 하등급의 외교관으로, 주로 교육받은 하급 성직자가 맡은 직위. 단순히 메세지만을 전하는 역할을 맡았다.
출처 : 라니안 판타지 자료실
영국의 왕실관직의 순서는
고문관- 대법관- 재무장관 - 추밀원 의장 - 옥새상서(수석 재판관- 최고 재판관 - 주장)- 시종장관- 보안무장관- 원수(중장- 주지사)- 해군 장관(북부 제독, 동부 제독)- 수석집사- 의전장관( 의상부장- 왕령 행정관) 순이었습니다. (왼쪽으로 갈 수록 높은 직위고, 괄호 안의 직위는 그 관직 아래에 있는 관직을 뜻함 예를 들어 옥새상서는 수석재판관, 최고재판관, 주장을 수하로 거느림)
가. 정부관련 관직
1. Lord High Steward(고문관): 원래 노르만의 명예관직으로 1153년 부터, 레체스터 백작과 레카스터 백작가문에서 역임했으나 14세기 렝카스터 공작 존 곤트가 이 직위를 맡으면서 고문관의 임무에 귀족회의의 의장 등을 추가해 권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렝카스터 공작들이 이 직위를 역임했다. 왕 다음가는 권력을 행사한 관직.
연봉: 약 830플로린 (약 3억 7천 5백만원)
2. Lord High Chancellor(대법관): 11세기 참회왕 에드워드가 만든 관직으로 왕의 비서 역할과 옥새의 보관, 행정업무의 수장 업무 및 사법임무를 맡았으나, 점점 사법임무를 주로 맡았다. 주로 고위 성직자들이 이 관직을 역임했다. 현대의 법무장관+ 내무장관 정도의 관직 이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3. Lord High Treasurer(재무 장관): 대법관 아래에서 국가의 재정을 책임지던 장관
연봉: 600플로린 (약 2억 7천만원)
4. Lord President of the Council(추밀원 의장): 왕의 자문회 비슷한 기관으로, 학식있는 귀족이 국왕의 조언자 역할을 맡은 직위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천5백만원)
5. Lord Privy Seal(옥새 상서): 국새를 보관하던 관리로 정책을 공식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옥새상서의 국새가 필요했다. 그 아래로 수석 재판관,최고 사법관, 주장이 사법권을 지니고 있었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Lord Chief Justice(수석 재판관) 왕국의 사법권을 쥐고 있었던 판사로 현대의 대법원장 정도의 직위를 가진 관직
연봉: 약 330플로린 ( 약 1억 5천만원)
Justiciar (최고 사법관): 주의 사법권을 책임지는 판사로 현대의 고등법원 판사 정도 되는 직위
연봉: 250플로린 (약 1억 2천 5백만원)
Sheriff(주장): 주의 정부를 책임지던 관리.
연봉: 담당 구역 세입의 일부
6. Lord Great Chamberlain(시종장관): 옥스포드 백작이 맡은 직위로 왕궁의 대소사를 처리하는 수장이며, 그 밑으로는 수석집사, 의전장관, 의상부장, 왕령 행정관이 있었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10. Lord Steward(수석 집사): 국왕 직할지의 대소사를 관장한 직위
연봉: 평화시~약 21플로린(약 940만원),
전쟁시~ 약 210플로린( 약 9천 4백만원)
11. Lord Chamberlain(의전장관): 왕궁의 대소사를 담당한 관직. 궁내부 장관정도 되는 직위.
연봉: 300플로린(약 1억 1250만원)
Wardrobe(의상 부장): 왕실의 지출을 담당한 관직으로, 각종 물품 및 무기를 구입했다. 경리부장 정도의 직위
연봉: 160플로린 (약 7200만원)
Baillis of Royal Estates(왕령 행정관): 국왕 직할지 중 한 주에 해당하는 정도의 영토를 관할. 국왕 직속의 도지사 정도의 직위.
연봉: 세입의 5퍼센트
나. 군 관련 직위:
7. Lord High Constable of England (보안무관장): 영국군의 총사령관으로 그 아래로 원수가 있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8. Marshal (원수): 군대 사령관으로 북부 국경지대에 관한 지휘권이 있었던 일종의 야전 사령관.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Lieutenant General (중장): 임시직으로 일정지역에 관한 군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직위였다.
Lords Lieutenant of Array(주지사): 한 주의 민병대를 지휘하는 장군,
연봉: 약 66플로린 이상( 약 3천만원, 지휘하는 병력 수에 따라서, 연봉이 추가됨)
9. Lord High Admirals(해군장관), 영국의 전체 함대에 관한 지휘권이 있었다.
Lord High Admiral of the North(북부 해군 제독): 북부함대 사령관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Lord High Admiral of the East(동부 해군 제독), 해군 장관 아래의 해군사령관으로 함대를 지휘했다.
연봉: 500 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프랑스의 왕실관직>
가. 정부관련관직: (아래로 갈 수록 지위가 낮은 직위)
1. Chancellier (재상): 정부의 수장이나, 그 아래의 장관들은 직접 국왕에게 보고를 하도록 돼있었다.
연봉: 약 1660플로린 (약 7억 5천만원)
2. Grand Chamberlain (궁내부 장관): 사법, 재무, 도량에 관한 임무를 총괄
했다. 재무장관+법무부 장관 정도의 관직
연봉: 약 1330 플로린 (약 6억원)
3. Bouteiller(궁내성 주류관): 왕실이 주관하는 각종 행사를 주관했고, 귀족에 관한 재판권이 있었으며, 국왕의 식탁과 와인을 관리했다.
연봉: 약 830플로린 (약 3억 2500만원)
4. Chambrier(파리 시장): 파리의 시장으로 그 아래로 식품부 장관, 사냥부 장관, 산림청 부장이 있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5. Grand Pannetier(식품부 장관): 파리 시내의 빵집 등, 식품과 관련된 업체를 관리했다.
6. Grand Veneur(사냥부 장관): 왕실 숲의 관리자.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7. Grand Maitre de Eaux et Forests(산림청 부장): 각종 하천과 숲을 관리한 관직
연봉: 약 330플로린(약 1억 5천만원) + 세입의 5퍼센트
8. Senechal(왕궁 집사): 왕궁내의 모든 것을 관리한 관직으로 그 아래로 궁내부장, 마구부장, 매 부장 있었다.
연봉: 약 660플로린 (약 3억원)
9. Grand Maitre de l'Hostel et de la Maison du Roi(궁내부장):왕궁 집사 바로 아래의 직위로 부 집사 정도 된 직위
연봉: 500플로린 (약 2억 2500만원)
10. Grand Ecuyer(마구부장): 국왕의 말을 관리했으며, 여러 전령을 수하에 두고 있었다. 전령사 부장 정도의 직위
연봉: 약 330 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11. Grand Falconer(매 부장): 왕실에서 주관하는 사냥을 관리한 관직
연봉: 약 330 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12. Grand Queux(요리부장): 이름 그대로, 국왕의 주방장 인 관직
나. 프랑스의 군 관련 관직 (아래로 갈수록 낮은 직위)
Connetable(육군장관): 프랑스 전군을 통솔한 총사령관, 현대의 국방부 장관 정도의 직위
연봉: 약 1330플로린 (약 6억원)
Amiral de France(해군장관): 프랑스 해군을 통솔한 사령관, 현대의 해군참모총장 정도의 직위
연봉: 약 880 플로린 (약 4억원)
Marcheaux de France (원수): 군의 실질적인 총사령관으로 2명의 원수가 프랑스 군을 책임졌다.
연봉: 약 880플로린 (약 4억원)
Lieutenant General(중장): 국왕이 직접 임명한 지위로 일정 지역사령관의 성격이 강했다. 국왕이 위임한 지역에서는 중장이 최고 지휘권이 있었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Port Oriflamme(국왕 기수): 왕실기를 전투에 들고다닌 사람으로, 상당한 권위가 보장되는 직위였다.
연봉: 약 330플로린 (약 1억 5천만원)
Grand Maitre de Arbalestries (궁병 단장): 군의 전 궁병을 담당한 사령관
연봉: 약 165플로린 (약 7500만원)
Grand Maitre de l'Artillerie (포병 단장): 포병(각종 공성기 포함) 전체를 담당한 사령관
연봉: 약 165플로린 (약 7500만원)
< 외교관>:
외교관은 크게 특사(ambassador), 사절(emissary), 사자(heralds), 로 나뉘었는데, 특사는 최고 등급의 외교관이고, 사절은 일반적인 외교관, 사자는 가장 하등급의 외교관 이었다.
1. Ambassador(특사): 특사는 황제나 교황에게 보낸 외교관으로, 최고위 귀족이 이 직위를 맡았다.
연봉: 250~ 330 플로린 (약 1억 1천만~ 1억 5천만원)
2. Emissary(사절): 국왕이 타 국왕에게 보내는 사신이나, 대영주 사이에 사신을 맡은 외교관으로 임무의 중요도에 따라서, 다양한 계급의 귀족이 이 임무를 맡았다. 때로는 유명한 성직자가 사절로 뽑히는 경우도 있었다.
연봉: 165플로린 (약 7500만원)
3. Heralds(사자): 가장 하등급의 외교관으로, 주로 교육받은 하급 성직자가 맡은 직위. 단순히 메세지만을 전하는 역할을 맡았다.
출처 : 라니안 판타지 자료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47 | [번역] 성 지침서 2장-기사의 하루 | 억새풀 | 2004/10/07 | 3980 |
46 | [조로아스터교] 일월신교 또는 명교 의 통칭 | 샤로스™ | 2004/02/18 | 17603 |
45 | [자료] 닌자에 대한 것 (사실 아랫글의 대답임) | 명우 | 2004/01/20 | 2999 |
44 | 전투에서의 부대의 등급 | K.kun | 2004/01/17 | 2995 |
43 | 전투에서의 부대의 종류 | K.kun | 2004/01/16 | 3024 |
42 | [요청] 무당에 대한 자료 | K.kun | 2003/12/22 | 2557 |
41 | 군사 직위 에 대해서...알고 싶습니다. | 카르시안 | 2003/09/30 | 2101 |
» | [펌]중세 유럽의 고위 관리직 | 현이 | 2003/08/14 | 2589 |
39 | 마법사 명칭에 대한 정의 | 유린 | 2002/12/25 | 1763 |
38 | [분류] 마법의 효과에 따른 마법사의 분류 | 억새풀 | 2002/12/23 | 1880 |
37 | [분류] 마법의 발현방식에 따른 마법사의 분류 | 억새풀 | 2002/12/16 | 1771 |
36 | 판타지 직업 ( 3 ) | Rei | 2002/12/15 | 2369 |
35 | 판타지 세계 직업 | 환타지소설의 팬 | 2002/12/15 | 2374 |
34 | 판타지 직업 ( 2 ) | Rei | 2002/12/15 | 2338 |
33 | 판타지 직업 ( 1 ) | Rei | 2002/12/13 | 2425 |
32 | [자료] 직업 | 카이린 | 2002/10/07 | 1655 |
31 | [요청]저기요 판타지에 여러가지 직업좀~~~ | 디킬런 | 2002/10/06 | 1587 |
30 | [분석]직업분석 2편. 워리어-팔라딘(Paladin) | 억새풀 | 2002/08/13 | 2192 |
29 | [분석]직업분석 1편. 워리어-파이터(Fighter) | 억새풀 | 2002/08/09 | 2265 |
28 | [분석]정령사, 그들은 어디서 온 자들인가! | 억새풀 | 2002/08/05 | 17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