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룡도법:대룡을 흉내낸 도법. 대룡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엄청난 공격력을 지녔으나 느리고 움직임이 크
기 때문에 회피하기 쉽다.
▶대룡현신공:신공.대룡현신공은 운공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성격을 패기 넘치고 활발하게 한다.
또한 운공자의 경우 근육의 발달이 쉬워지고
적은 근육으로도 큰 힘을 발휘 할 수 있게된다.
▶도초식
-대룡난무참:'중'과 '강'도법. 특별한 검로없이 빈틈을 향해
마구잡이로 검을 휘두른다. 하지만 공격이 이어
질 수록 속도와 공격력이 강해지므로 위협적.
-대룡태환:'중'과 '파'도법. 안그래도 큰 움직임을 크게 하여
십자로 벤다. 굉장히 느리지만 맞는 순간 충분한
내력을 가진 상대가 아니라면 날아가버릴 정도의
파괴력을 지녔다. 하지만 의외로 흘려버리는 수에
약하다.
-대룡곤명후:'파'의 도법. 땅이 흔들릴 정도라는 말에 맞게
좌우로 검을 휘두를 때마다 도에 실린 파괴력에
땅이 진동하며 검의 풍압만으로도 적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을 정도.
-대룡분광도:'중'과 '쾌'도법. '중'과 '쾌'의 묘리가 같이
들어가 있는 말도 안되는 도법이다. 주 검로는
사선이며 좌우로 휘두르기도 한다. 파괴력도
받쳐주는데다 꽤 빠르므로 피하기도 어렵다.
단점은 이것을 쓸 경우 빠른 속도로 지쳐간다는
것이다.
-대룡파혼도:'파'의 도법. 상단에서 하단,하단에서 상단으로
연속으로 내려치고 올려치는 도법. 한번 벨 때
마다 빈틈이 크지만 위력적인 공격력으로 무마
시키는 도법. 곤명후 처럼 풍압만으로도 타격을
줄 수 있다.
-대룡소천도:'파'와 '강'도법. 상단을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적에게 상단을 신경쓰게 하고 내려쳤던 도를
순간적으로 공력을 집약시켜 빠르게 위로 쳐낸다.
위를 막던 적으로써는 막거나 피하기 힘들다.
-대룡쇄격도:'연'의 도법. 파고드는 도법이다. 지속적으로
파고듬과 동시에 큰 움직임으로 마구 공격해대
기 때문에 갑자기 사용하면 적은 당황하게 된다.
-대룡유곤도:'유'와 '중'도법. 대룡특유의 한방 한방의 강력한
공격력을 조금 감소시키는 대신 유연하게 움직
이는 도의 움직임으로 빈틈을 없애는 도법.
방어형의 도법이라고 볼 수 있다.
-대룡소살:'파'의 도법. 웃으며 죽인다라는 이름에 걸맞게
둔중한 타격이 적어지고 쾌활하게 공격하는 도법.
주로 십자베기로 공격한다.
-대룡철쇄참:'중'과 '파'도법. 말 그대로 적의 무기를 파괴
시키기 위한 도법이다. 아에 상대를 적의 무기로
바꿔 버리기 때문에 왠만한 명검이 아니고는 대룡
의 공격에 철쪼가리로 변해버린다.
▶일격기
-대룡광난무:십자로 3번 벤다.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힘을 내기
때문에 막더라도 엄청난 내상을 입힌다.
하지만 쓰고 난 뒤 시전자의 근육도 손상을 입는다.
-대룡소천섬:'섬'의 도법. 땅을 박차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도를
올려 벤다. 소천도와 중복시켜 사용하면 위력은 배
가 된다.
-대룡쾌연격:'연'의 도법. '중'의 묘리를 버리고 빠르게 연속
공격하는 것. 7번 좌우로 베며 마지막으로 상단에
서 하단으로 공격한다.
-대룡유속격:대룡쾌연격 이후 사용할 수 있는 무공. 쾌연격 이후
하단으로 내려친 상태에서 도의 움직임을 바꿔 더욱
빠른 속도로 앞으로 나아가며 좌우로 3번 벤다.
쾌연격 이후 빈틈이 많아 방심하고 있던 적을 상대
하기 좋은 기술.
-대룡살혼파:강하게 내려치거나 좌우로 벤다. 베어낸 움직임에
따라 엄청난 풍압이 생겨나며 적을 사정없이 갈긴다.
가까이 있을 수록 위력을 발휘하는 공격.
-대룡파곤참:'중'과 '파'도법. 말 그대로 적 주변의 땅을 친다.
적을 직접 공격하기 보다는 땅을 쳐 친 곳에서 퍼져
나가는 풍압과 돌 파편으로 공격하는 기술.
굉장히 강하게 치기 때문에 날아가는 돌파편도 치명타
를 줄 수도 있다.
-대룡명지도:'중'의 도법. 정말이지 속도를 버리고 '중'에만 매달
리는 도법. 굉장히 느린 덕분에 합격이 아니면 쓰지
않는 도법. 하지만 적의 빈틈을 확실하게 찾아 공격
할 경우 위력 대단하다.
▶비격기
-대룡광폭격:소룡의 광폭격과는 달리 그냥 마구잡이로 공격하는
공격이다. 하지만 공격속도가 많이 상승하기 때문에
밀어 붙이는 것에는 최고.
-대룡폭렬도:도에 담겨 있는 내공의 성질을 변화시켜 공격한다.
바뀌는 도의 속성은 '폭'.
'폭'속성으로 바뀌는 만큼 도에 무언가 닿았을 시
도의 내공이 폭팔한다. 시전자 또한 충격을 받지만
미미한 정도. 그에 비해 상대가 맞는 충격은 외상과
내상 모두 무시무시한 타격을 받는다.
-대룡소연도:자기 자신의 내공을 불태워(추가소비하여) 공격력은
그대로 이나 속도를 증가 시킨다. 이때 소모된 내공
은 사흘간 다시 보충할 수 없다.(한마디로 내공의
최대치가 감소한다)
-대룡선풍도:주로 소연도를 사용한 뒤 사용하는 무공. 소연도로
인한 속도 상승으로 강한 풍압과 속도로 상대방을
제압한다.
▶궁극기
-대룡광폭세:광난무와 광폭격의 위력을 몇 배 증가 시켜주는 무공.
일단 사용하게 되면 가벼운 흥분 상태이며 몸 주위로 붉은
기운이 솟아오르며 내공이 얕은 사람이라면 움직이지도 못
하게 된다.
-대룡공비도:몸을 웅크린 뒤 하단에서 상단으로 도를 쳐내며 공중으로
뛴다. 그리 큰 대미지는 주지 못한다.
-대룡건곤참:공비도를 쓰는 이유. 공비도를 쓰며 공중에 뜬 상태로 내공
을 운용하여 자신과 도의 무게를 증가 시킨다.
그 상태로 떨어지며 공격하게 되는데. 위력은 가히 발군.
무게 덕분에 빨리 떨어지게 되므로 피하기도 쉽지않다.
-대룡현신:대룡의 기운이 사용자의 몸에 현신하게 된다.
모든 기술의 속도와 공격력이 상승하며 기본적으로 판타지의
드래곤이 가지는 '피어'를 내뿜는다.
내력의 상승은 미미하나 채력이 폭발적으로 상승하며 모든
기술을 극성의 상태로 운용이 가능하다.
▶조합기
-대소쌍극섬:'소룡'과 함께 사용하는 무공. 우선 소룡이 빠르게 나아
가며 공격하여 빈틈을 만들고 그 뒤에 대룡이 따라오며 그
빈틈을 강하게 공격하는 기술.(둘 다 현신을 사용해야 한다)
-대마살광섬:'마룡','광룡'과 함께 사용하는 무공.
마룡과 광룡의 기운을 대룡에게 보내어 대룡이 적에게 쏘아
보내는 무공이다. 공격할시 검은 빛과 하얀 빛의 두개의
섬광이 쏘아져나가며 그 위력은 산에 바람 구멍을 낼 정도.
(3룡 모두 현신 해야 함)
-대룡헌제검:전방으로 대룡의 기운을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공격한다.
용제를 위해 바치는 검이라는 이름에 맞게 굉장한 위력
을 지녔다 '강'계열의 성향이 강하다.
쓰고 난 뒤엔 대룡검법을 몇년간 사용불가능하다.
(현신 후 사용가능)
*여러분의 성원에 힘입어(누가 성원했는데?) 대룡도 끝마쳤습니다.
제가 전에 내놓았던 용제검을 보신 분은 아실 겁니다.
그렇습니다! '검'법이 '도'법으로 바뀌었습니다!!
이것은 제가 대룡검법의 움직임과 특징을 써내려가면서 대룡에게
맞는 것은 '검'이 아닌 '도'라는 생각에 수정한 것입니다.
이외 지룡,수룡,뇌룡,비룡의 무기가 바뀌었으며 자세한 것은 용제검
을 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설명은 소룡의 설명과는 약간 다릅니다. 조만간 소룡의 설명도
이에 맞게 다시 바꿀 것입니다. 그럼 모두 안녕히 ⌒_⌒
※다운로드에 용제검도 넣어 놨습니다.
엄청난 공격력을 지녔으나 느리고 움직임이 크
기 때문에 회피하기 쉽다.
▶대룡현신공:신공.대룡현신공은 운공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성격을 패기 넘치고 활발하게 한다.
또한 운공자의 경우 근육의 발달이 쉬워지고
적은 근육으로도 큰 힘을 발휘 할 수 있게된다.
▶도초식
-대룡난무참:'중'과 '강'도법. 특별한 검로없이 빈틈을 향해
마구잡이로 검을 휘두른다. 하지만 공격이 이어
질 수록 속도와 공격력이 강해지므로 위협적.
-대룡태환:'중'과 '파'도법. 안그래도 큰 움직임을 크게 하여
십자로 벤다. 굉장히 느리지만 맞는 순간 충분한
내력을 가진 상대가 아니라면 날아가버릴 정도의
파괴력을 지녔다. 하지만 의외로 흘려버리는 수에
약하다.
-대룡곤명후:'파'의 도법. 땅이 흔들릴 정도라는 말에 맞게
좌우로 검을 휘두를 때마다 도에 실린 파괴력에
땅이 진동하며 검의 풍압만으로도 적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을 정도.
-대룡분광도:'중'과 '쾌'도법. '중'과 '쾌'의 묘리가 같이
들어가 있는 말도 안되는 도법이다. 주 검로는
사선이며 좌우로 휘두르기도 한다. 파괴력도
받쳐주는데다 꽤 빠르므로 피하기도 어렵다.
단점은 이것을 쓸 경우 빠른 속도로 지쳐간다는
것이다.
-대룡파혼도:'파'의 도법. 상단에서 하단,하단에서 상단으로
연속으로 내려치고 올려치는 도법. 한번 벨 때
마다 빈틈이 크지만 위력적인 공격력으로 무마
시키는 도법. 곤명후 처럼 풍압만으로도 타격을
줄 수 있다.
-대룡소천도:'파'와 '강'도법. 상단을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적에게 상단을 신경쓰게 하고 내려쳤던 도를
순간적으로 공력을 집약시켜 빠르게 위로 쳐낸다.
위를 막던 적으로써는 막거나 피하기 힘들다.
-대룡쇄격도:'연'의 도법. 파고드는 도법이다. 지속적으로
파고듬과 동시에 큰 움직임으로 마구 공격해대
기 때문에 갑자기 사용하면 적은 당황하게 된다.
-대룡유곤도:'유'와 '중'도법. 대룡특유의 한방 한방의 강력한
공격력을 조금 감소시키는 대신 유연하게 움직
이는 도의 움직임으로 빈틈을 없애는 도법.
방어형의 도법이라고 볼 수 있다.
-대룡소살:'파'의 도법. 웃으며 죽인다라는 이름에 걸맞게
둔중한 타격이 적어지고 쾌활하게 공격하는 도법.
주로 십자베기로 공격한다.
-대룡철쇄참:'중'과 '파'도법. 말 그대로 적의 무기를 파괴
시키기 위한 도법이다. 아에 상대를 적의 무기로
바꿔 버리기 때문에 왠만한 명검이 아니고는 대룡
의 공격에 철쪼가리로 변해버린다.
▶일격기
-대룡광난무:십자로 3번 벤다.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힘을 내기
때문에 막더라도 엄청난 내상을 입힌다.
하지만 쓰고 난 뒤 시전자의 근육도 손상을 입는다.
-대룡소천섬:'섬'의 도법. 땅을 박차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도를
올려 벤다. 소천도와 중복시켜 사용하면 위력은 배
가 된다.
-대룡쾌연격:'연'의 도법. '중'의 묘리를 버리고 빠르게 연속
공격하는 것. 7번 좌우로 베며 마지막으로 상단에
서 하단으로 공격한다.
-대룡유속격:대룡쾌연격 이후 사용할 수 있는 무공. 쾌연격 이후
하단으로 내려친 상태에서 도의 움직임을 바꿔 더욱
빠른 속도로 앞으로 나아가며 좌우로 3번 벤다.
쾌연격 이후 빈틈이 많아 방심하고 있던 적을 상대
하기 좋은 기술.
-대룡살혼파:강하게 내려치거나 좌우로 벤다. 베어낸 움직임에
따라 엄청난 풍압이 생겨나며 적을 사정없이 갈긴다.
가까이 있을 수록 위력을 발휘하는 공격.
-대룡파곤참:'중'과 '파'도법. 말 그대로 적 주변의 땅을 친다.
적을 직접 공격하기 보다는 땅을 쳐 친 곳에서 퍼져
나가는 풍압과 돌 파편으로 공격하는 기술.
굉장히 강하게 치기 때문에 날아가는 돌파편도 치명타
를 줄 수도 있다.
-대룡명지도:'중'의 도법. 정말이지 속도를 버리고 '중'에만 매달
리는 도법. 굉장히 느린 덕분에 합격이 아니면 쓰지
않는 도법. 하지만 적의 빈틈을 확실하게 찾아 공격
할 경우 위력 대단하다.
▶비격기
-대룡광폭격:소룡의 광폭격과는 달리 그냥 마구잡이로 공격하는
공격이다. 하지만 공격속도가 많이 상승하기 때문에
밀어 붙이는 것에는 최고.
-대룡폭렬도:도에 담겨 있는 내공의 성질을 변화시켜 공격한다.
바뀌는 도의 속성은 '폭'.
'폭'속성으로 바뀌는 만큼 도에 무언가 닿았을 시
도의 내공이 폭팔한다. 시전자 또한 충격을 받지만
미미한 정도. 그에 비해 상대가 맞는 충격은 외상과
내상 모두 무시무시한 타격을 받는다.
-대룡소연도:자기 자신의 내공을 불태워(추가소비하여) 공격력은
그대로 이나 속도를 증가 시킨다. 이때 소모된 내공
은 사흘간 다시 보충할 수 없다.(한마디로 내공의
최대치가 감소한다)
-대룡선풍도:주로 소연도를 사용한 뒤 사용하는 무공. 소연도로
인한 속도 상승으로 강한 풍압과 속도로 상대방을
제압한다.
▶궁극기
-대룡광폭세:광난무와 광폭격의 위력을 몇 배 증가 시켜주는 무공.
일단 사용하게 되면 가벼운 흥분 상태이며 몸 주위로 붉은
기운이 솟아오르며 내공이 얕은 사람이라면 움직이지도 못
하게 된다.
-대룡공비도:몸을 웅크린 뒤 하단에서 상단으로 도를 쳐내며 공중으로
뛴다. 그리 큰 대미지는 주지 못한다.
-대룡건곤참:공비도를 쓰는 이유. 공비도를 쓰며 공중에 뜬 상태로 내공
을 운용하여 자신과 도의 무게를 증가 시킨다.
그 상태로 떨어지며 공격하게 되는데. 위력은 가히 발군.
무게 덕분에 빨리 떨어지게 되므로 피하기도 쉽지않다.
-대룡현신:대룡의 기운이 사용자의 몸에 현신하게 된다.
모든 기술의 속도와 공격력이 상승하며 기본적으로 판타지의
드래곤이 가지는 '피어'를 내뿜는다.
내력의 상승은 미미하나 채력이 폭발적으로 상승하며 모든
기술을 극성의 상태로 운용이 가능하다.
▶조합기
-대소쌍극섬:'소룡'과 함께 사용하는 무공. 우선 소룡이 빠르게 나아
가며 공격하여 빈틈을 만들고 그 뒤에 대룡이 따라오며 그
빈틈을 강하게 공격하는 기술.(둘 다 현신을 사용해야 한다)
-대마살광섬:'마룡','광룡'과 함께 사용하는 무공.
마룡과 광룡의 기운을 대룡에게 보내어 대룡이 적에게 쏘아
보내는 무공이다. 공격할시 검은 빛과 하얀 빛의 두개의
섬광이 쏘아져나가며 그 위력은 산에 바람 구멍을 낼 정도.
(3룡 모두 현신 해야 함)
-대룡헌제검:전방으로 대룡의 기운을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공격한다.
용제를 위해 바치는 검이라는 이름에 맞게 굉장한 위력
을 지녔다 '강'계열의 성향이 강하다.
쓰고 난 뒤엔 대룡검법을 몇년간 사용불가능하다.
(현신 후 사용가능)
*여러분의 성원에 힘입어(누가 성원했는데?) 대룡도 끝마쳤습니다.
제가 전에 내놓았던 용제검을 보신 분은 아실 겁니다.
그렇습니다! '검'법이 '도'법으로 바뀌었습니다!!
이것은 제가 대룡검법의 움직임과 특징을 써내려가면서 대룡에게
맞는 것은 '검'이 아닌 '도'라는 생각에 수정한 것입니다.
이외 지룡,수룡,뇌룡,비룡의 무기가 바뀌었으며 자세한 것은 용제검
을 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설명은 소룡의 설명과는 약간 다릅니다. 조만간 소룡의 설명도
이에 맞게 다시 바꿀 것입니다. 그럼 모두 안녕히 ⌒_⌒
※다운로드에 용제검도 넣어 놨습니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209 | [용제검]중 '천룡검법'에 대한 설명 | 세라프 | 2006/12/23 | 4689 |
208 | [요청]도움을 구합니다(직업_gunner) | 백명기 | 2006/12/05 | 4448 |
207 | [용제검]중 '지룡창법'에 대한 설명 | 세라프 | 2006/11/28 | 4415 |
» | [용제검]중 '대룡도법'에 대한 설명 | 세라프 | 2006/11/27 | 4937 |
205 | [용제검] 중 '소룡검법'의 설명 | 세라프 | 2006/11/26 | 4561 |
204 | 도메인 | Wefan_Juro | 2006/06/27 | 4258 |
203 | 자작 무공 -용제검-[대폭 재수정] | 세라프 | 2006/05/07 | 5382 |
202 | 슬레이어즈. 마법관련. | 철편 | 2006/01/20 | 3710 |
201 | 1~9써클 마법 | 비현 | 2005/11/23 | 3006 |
200 | 무협 초식의 종류 | 닌자뿌요 | 2005/07/26 | 3101 |
199 | [무협]초식의 의미란? | 하이네 | 2005/04/09 | 3741 |
198 | [번역] 성 지침서 5장-성의 건설 | 억새풀 | 2004/11/01 | 2833 |
197 | [번역] 성 지침서 4장-성의 진보 | 억새풀 | 2004/10/22 | 2805 |
196 | [무협]가장흔한 심법/삼재심법(三才心法) | 하이네 | 2004/10/05 | 3799 |
195 | 아웃레인지 공격-(쩝! 다음엔 좀더 긴 자료 올리겠습니다.) | 서희선 | 2004/07/12 | 2184 |
194 | 환타지 글 쓸때 제가 참고하는 자료들입니다. | 서희선 | 2004/07/12 | 2898 |
193 | [번역] 페이룬의 마법/마법의 이해 | 억새풀 | 2004/07/11 | 2536 |
192 | The Complete Psionic's Handbook | 억새풀 | 2004/03/10 | 2918 |
191 | [택견] 한국 전통 무예 택견 입니다.. | 샤로스™ | 2004/01/30 | 4100 |
190 | 한국의 전통술법(?) | 이영호 | 2004/01/29 | 4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