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이름: 알렉산더 카렐린

생년월일: 1967년 9월 19일

키/체중: 192cm/134kg

소재/조직: 러시아 노보시빌스크(시베리아)/러시아레슬링협회

스타일: 그레코로만 레슬링

취미 : 러시아 고전문학.  몇가지 국어를 자유자재로 한다. 의외로 인텔리..
         (하긴 밥샵도 명문대의 문학도였죠 -_-;;)

닉네임 : 지상최강의 영장류 / 인간기중기 / 킹콩

직위 : 러시아 국경수비대 중장 / 대통령 경호실장 / 두마(러시아 국회의원)

필살기 : 카렐린즈 리프트 (빠떼루 자세를 취한 130kg 이상의 덩치를 양팔 만으로 들어올려 '메다꽂는' 기술)

주요전적:

86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준우승 (당시 19살)

87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88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89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0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1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2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3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4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5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6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7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8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9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89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0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1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2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4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6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7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8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99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우승 - 전시합 무실점
89년 FILA선정 올해의 선수
90년 FILA선정 올해의 선수
93년 FILA선정 올해의 선수
95년 FILA선정 올해의 선수
88 서울 올림픽 무제한급 금메달리스트 - 전시합 무실점
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무제한급 금메달리스트 - 전시합 무실점
96 애틀란타 올림픽 무제한급 금메달리스트 - 전시합 무실점

00 시드니 올림픽 무제한급 은메달리스트 - 결승에서 13년만에 1실점 (반칙으로 인한 1실점. 당시나이 34세)

특기사항 :

◆ 태어나서 처음 해본 벤치프레스를 320kg까지 성공.
◆ 130kg를 넘는 몸에 10%이하의 체지방을 유지해 수많은 도핑테스트를 받았지만 모두 통과,
    의사들이 '걸어다니는 화학 실험실' 이라는 별칭을 붙였다.
◆ 애틀란타 레슬링 올림픽 결승전에서 카렐린에게 완패 당한 미국의 가파리는 이렇게 말했다.
    "최강의 영장류, 즉, 고릴라에게 레슬링을 가르치는 것 외에 그에게 이길 방법은 없다."
◆ 대형냉장고를 어깨에 들쳐매고 아파트 5층까지 숨하나 안고르고 뛰어서 올라가 갔다놓은 일화.
◆ 국제레슬링연맹(FILA)이 더 이상 체중감량을 못 하던 그를 위해 원래 125㎏이던 헤비급 한계체중을
    130㎏으로 재조정하였다.  올림픽 레슬링 130kg 이상의 그레코로만 급은 그렇게 탄생했다.
◆ 그가 노려보는 것만으로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몇몇 선수들이 기권을 했다.
    "나와 대전하는 대부분의 선수들의 눈에는 공포심이 보인다."
◆ 前 러시아 삼보 챔피언 (삼보 : 러시아 고유무술.)
◆ 前 러시아 아마복싱 챔피언
◆ 자유형 레슬러들이 그레코로만형은 재미가 없다, 기술이 없다 라는 등의 발언을 하자
    나와 경기를 해보자고 발언. 그 한마디에 자유형 레슬러들이 모두 꼬리를 내렸다는 이야기.

인터뷰 :

- 누군가가 이기면 누군가는 반드시 진다. 그것이 투쟁이고 스포츠다. 스포츠에 있어

서 승리의 추구란 "공인된 에고이즘" 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승리는 확실히 단순한 기쁨이긴 하다. 큰 기쁨이다. 언젠가는 찾아오게 될 패배마저 상상시키지

않는 기쁨이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그것은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격투기의 세계에서 모든 선수가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다. 누구에게나 강한 점과 약한 점이 있다.

경기에 대비하면서 "나를 이겨낼 선수는 있을 수 없다" 고 결코 생각하지 않는다. 오로지 최고의 컨디션으로

매트에 오를 수 있도록 집중할 뿐이다. 계속 이겨나가면 거기에 따라 책임도 생겨난다. 가족 혹은 동료가 승리의

소식을 기다리며 나를 뒷받침해주는 사람들에게 대한 책임감이 태어나는 것이다.

나는 자연의 힘을 이용해서 체력을 단련하고 있다. 내가 살고있는 시베리아의

노보시빌리스크는 11월부터 4월에 걸쳐 눈에 덮여있다. 허리높이까지 쌓인 눈을

가르며 달린다. 가능하다. 다리를 눈의 표면까지 걷어올려차면서 달리는 것이다.

그렇게 부하를 조절하면서 3시간가랑 달린다. 보통의 조깅은 단단하고 평탄한 길을

달리니까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눈속에서는 스피드가 나지 않기 때문에 얼마나

달렸느냐 하는 거리가 문제가 된다. 보트의 노도 젓는다. 보통의 경기용 보트가 아니라

유람선 같은 무거운 보트다. 게다가 숲속을 달린다. 일부러 울퉁불퉁한 길을 달린다. 때로는

무거운 돌을 멀리까지 운반해가서 집어던진다. 큰나무에 몸을 부딪친다던지, 온힘으로 밀기도 한다.

체육관에도 다닌다. 그러나 머신(유압식 체력강화 기구 등의 machine)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6Kg 내지는 32Kg 정도의 아령을 주로 쓴다. 검은 고무튜브도 여러가지 트레이닝에 쓴다.

"기구보다도 자연을 이용해서 키운 힘이 더 강하다"는 의견에 나는 찬성한다. 레슬링에서는

잡아당기는 힘이 중요하지만 때로 상대방에게 잡혔을 때 이를 뿌리치기 위해 미는 힘도 필요하다.

그래서 조금은 미는 힘을 키우기 위해 머신을 쓸 때는 있다. 벤치프레스의 기록은 150Kg을 3차례쯤

이고 바벨을 어깨에 지고 앉았다 일어나는 스쿼트는 320Kg 정도이다. 또 통상의 달리기에서는 단거리를

달리지 않고 1500M, 3000M, 10000M 등 중장거리를 달리고 있다. 나에게는 천부적인 체력이 있다.

그러나 나는 체력과 기술을 대립시키는 사고방식에는 반대다. 이 두가지를 갈라놓고 보는 것은 옳지 못하다.

체력과 기술이 하나가 되어야 비로소 자립한 일류선수라고 나는 생각한다.

"힘과 몸이 뛰어난 자는 기술훈련을 소홀히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나는 그렇지 않다."

실제로 나는 힘 만으로는 이길 수 없었다. 그래서 기술을 익혀야 된다고 생각했다. 물론 그렇게 나를

이끌어 준 것은 코치다.

TOTAL COMMENTS : 0

이 게시물은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